•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묵담대종사 금란가사의 특성 고찰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olden Kasaya of the Great Master Mukdam)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2.12
34P 미리보기
묵담대종사 금란가사의 특성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도문화연구 / 47호 / 407 ~ 440페이지
    · 저자명 : 강선정

    초록

    전남 담양군에 위치한 용화사는 묵담 성우(黙潭聲祐, 1896~1981)대종사에 의해 창건되었으며, 현재 묵담유물관에는 경전, 공예, 불화, 불전 장엄구, 가사, 장삼 등 많은유물이 보존관리 되고 있다. 본 논고에서는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한국적인 가사의 특징으로 정립된 홍가사의 마지막 변천이라고 할 수 있는 묵담대종사의 1959년과 1964년에 조성된 금란가사 2점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고자 한다. 묵담대종사는 조계종과 태고종종정을 지냈으며, 해동율맥을 전수받아 율사로서의 계율 실천과 함께 선·교·율에 능통했음으로 금란가사 2점을 여법하게 조성하였으리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가사 피봉식(皮封式)에 증명과 조성된 가사를 받는 퇴수(退受)에 성우(聲祐)라는 법명이 기록된 것으로 보면 이 스님이 가사 조성 전반에 걸쳐 관여한 것을 알 수 있다.
    묵담대종사의 금란가사는 동시대 가사와 확연히 구분되는 특징을 보이는데, 조선후기에 정립된 홍가사는 일월광첩이 가사의 좌측 상단에 상하로 부착되는 특징이 있지만, 묵담대종사의 가사는 주복을 중심으로 사각형의 첩(貼)이 부착되어 있다. 첩의 수(繡) 구성도 십바라밀정진도와 법계도가 주 문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사천왕첩도 이 시기에는 가사 상단에 천(天) 자를 좌우, 하단에는 왕(王) 자를 좌우로 배치했으며, 같은색의 바탕천에 다른 색으로 천왕을 수놓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묵담대종사의 금란가사는 사천왕 형상을 직접 수 놓아 표현했다.
    가사의 명칭은 일반적으로 조수, 문양, 직물 순서로 정하지만 묵담대종사의 금란가사는 직물의 문양보다는 가장 큰 특징인 첩(貼)을 부각시켜 가사의 명칭을 25조화엄일승법계도단가사(二十五條華嚴一乘法界圖緞袈裟)와 25조화엄일승법계도사가사(二十五條華 嚴一乘法界圖紗袈裟)로 표기하였다. 2점의 가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가사 중앙에위치한 법계도이다. 이를 중심으로 모든 상징이 겹겹이 배치되어 있다.
    25조화엄일승법계도단가사에는 법계도→십바라밀도→쌍룡·화염보주·범어·만자→ 불보살·부처와 신중 명호→20마리의 용·화염보주·만자가 표시되었고, 25조화엄일승법계도사가사는 법계도→십바라밀도→쌍룡·만자·옴·남·꽃→신묘장구대다라니·부처와 신중 명호→십바라밀·화염보주·만자 순서로 구성되어 법계도를 외호하는 형상으로 묵담대종사의 화엄사상을 가사에 담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Yonghwasa Temple located in Damyang-gun, Jeonnam was founded by the Great Master Mukdam-seongwoo (黙潭聲祐. 1896~1981), and its Mukdam Artifact Hall currently maintains lots of artifacts such as scriptures, crafts, Buddhist paintings, Buddhist reliquary, Kasaya, and formal robes.
    This treatise sought to closely review two pieces of Mukdam’s Golden Kasaya made in 1959 and 1964, respectively, considered to be the last transition of red Kasaya which was established as the characteristic of Korea’s traditional Buddhist monk’s Kasaya (hereinafter called Kasaya). He served as supreme patriarch of the Jogye Order and the Taego Order, inherited religious precepts of Haedongyulmaek and practised religious commandments, being versed in meditation, teaching and religious precepts.
    So the study could presume he made two pieces of the Golden Kasaya according to Buddhist’s teachings. Looking at the fact that his Buddhist name Seongwoo was recorded after completing the production of the Kasaya along with its verification in the beginning, the study argues that he was involved throughout its production. Mukdam’s Kasaya was clearly distinct from the contemporary Kasaya; red Kasaya established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had Ilwolgwangcheop attached at the top of the left on the Kasaya horizontally, while Mukdam’s Kasaya had rectangular cloth (貼) in the center of the Kasaya. In the composition of embroidered rectangular cloth, the drawing of ten virtues to be practised (十波羅密) and the Dharmadhatu drawing were allocated as the main pattern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Sacheonwangcheop also put the letter of 天 (heaven) at the top of the Kasaya and the letter of 王 (king) in its bottom horizontally, respectively. And the heavenly king (四天王) was also usually embroidered with different colors on the base cloth but his Golden Kasaya had the shape of heavenly king embroidered directly. Kasaya were usually named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seams, pattern and textile, while Mukdam’s Golden Kasaya put more emphasis on rectangular cloth - its main feature – over the pattern. And as a result, its name was rededicated as the 25johwaeomilseungbeopgyedodan Kasaya and 25johwaeomilseungbeopgyedosa Kasaya.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se two pieces of the Kasaya was the Dharmadhatu drawing situated in the middle of the Kasaya. Centered on this drawing, every symbol was allocated in layers. The former vestment described Dharmadhatu drawing → the drawing of ten virtues to be practised → two dragons, beads, Sanskrit, the letter of 卍 → Bodhisattva, Buddha, Bodhisattva protectors → 20 dragons, beads, 卍. The latter described the Dharmadhatu drawing → the drawing of ten virtues to be practised → two dragons, 卍, flowers → prayer of Sinmyojanggudaedarani, Buddha, Bodhisattva protectors → 24 dragons, ten virtues to be practised, beads, 卍. They had the formation of protecting Dharmadhatu drawing from outer part and the study argues Mukdam intended to express his thought of Hwaeom in his Kasay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