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南冥集』 初刊年代 辨正 (Demonstration about the first edition of the Nam-myeong Collec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0.12
38P 미리보기
『南冥集』 初刊年代 辨正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30호 / 211 ~ 248페이지
    · 저자명 : 이상필

    초록

    이 논문은 『남명학연구』 29집 소재 「『南冥集』 諸板本의 刊行年代」라는 오이환의 논문에 대한 반박 논문이다. 요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명집』 기유본 문경호 발문의 ‘임인(1602) 년간’은 문집의 편집 작업이 진행된 시점을 언급한 것이고, 초간된 것은 서문이 찬술된 갑진(1604)년이며, 장판각에 불이 난 뒤 순찰사 유영순의 후원에 의해 병오(1606)년 무렵에 1차 중간이 있었고, 다시 이를 부분적으로 수정하고 보유를 추가하여 간행한 것이 기유(1609)본이다.
    둘째, ‘年間’, 즉 ‘즈음’이란 용어가 간행연대를 적시한 용어로 보기에는 분명하지 않고 너무나 느슨하다. 간행한 것은 분명한 것이고, 문집 편찬을 의논한 것은 오늘날처럼 간행위원회를 만든 것이라기보다는, 1600년의 『퇴계집』 간행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그 시기가 불분명하였던 것이다.
    셋째, 갑진년 8월에 정인홍이 찬술한 서문이, 문경호가 발문을 실은 그 책에 같이 실려 있다는 것은 문집의 초간이 갑진년에 있었다는 것을 가장 웅변적으로 말해주는 것이다.
    넷째, 초간본의 장판각이 불타고 유영순에 의해 중간이 되었다면 이는 유영순의 관찰사 재임 기간[1605년 9월-1607년 3월]과 관련시키면 병오(1606)년 무렵이라 해야지, 오이환처럼 갑진(1604)년으로 볼 수는 없다.
    다섯째, 오이환이 『고대일록』의 신축(1601)년과 임인(1602)년 등에 보이는 ‘看役’이 문집 간행의 일이라고 해석할 근거가 없다. 더구나 계묘(1603)년 겨울에 李堉이 鄭逑의 심부름으로 『남명집』의 편집 작업을 주도하던 鄭仁弘에게 특정한 글을 제외하기를 요구하였는데, 정인홍이 “선생의 문자라면 片言隻字라도 가볍게 취하거나 뺄 수 없다.”며 거절하였으니, 이는 1603년 겨울 이전까지 문집의 편집 작업이 계속되고 있었다는 근거 자료가 된다.
    여섯째, 이상 네 가지 이유로 임인(1602)년에 『남명집』이 초간되었다고 주장한 오이환의 설이 설득력을 잃게 된다.
    일곱째, 이에 오이환은 유영순에 관한 문경호의 기록이 신빙성이 없다며, 하징의 「덕천서원기」와 배대유의 「신산서원기」에서의 관찰사 기록 착각의 예를 들었다. 그러나 이는 논리가 닿지 않는다. 하징과 배대유가 설사 관찰사에 대하여 착각했다 해도, 그것이 문경호의 착각에 어떻게 작용했는지를 증명할 길이 없다. 그러나 필자는 그것조차 오이환이 사실이 아닌 주장을 한 것으로 논증하였다.
    여덟째, 우선 하징의 「덕천서원중건기」에서 윤근수가 관찰사로서 재임 기간[1574년 10월-1575년 10월] 중에 덕천서원의 창건을 지원하였다는 것을 오이환은 하징이 착각하여 잘못 기록한 것이라 생각하고 있지만, 재임 중에 그가 지원한 뒤 1576년 봄부터 일을 시작했다고 보면 하징의 기록에 전연 무리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아홉째, 배대유의 「신산서원기」는 『모정집』 기록을 보면 ‘방백읍재’ 밑에 윤근수와 하진보가 각각 세주로 처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세주를 후인이 추기한 것으로 보지 않으려는 것은, 오이환이 배대유가 착각했다고 보기 위함에 다름 아니다. 배대유는 당시의 관찰사 김수와 김해부사 양사준의 인품을 문제삼아 그들의 이름을 드러내지 않으려는 의도에서 애초에 ‘방백읍재’라고만 하고, ‘金方伯睟梁知府思俊’이라 표현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ends to refute the suggestions made by I-hwan Oh in his paper entitled "The timing of the publication of various editions of the Nam-myeong Collection," which is put in the 29th collection of "A research into the Nam-myeong study" published on June 30, 2010. The following are this research's summary.
    First, the phrase ‘published in 1602’ in the epilogue written by Gyeong-ho Mun of the 1609 edition of the Nam-myeong Collection tells the timing when the compilation of the collection was started.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in 1604 when the prologue was composed. The first reprinting was done around 1606 with supports from Royal Envoy Yeong-sun Yu after the national library was burned down. The reprinted edition was partially corrected and complemented and then issued again in 1609.
    Second, ‘in that year’ or ‘at that time’ is too unclear and loose to pinpoint the timing of the publication. That the publication was made is very clear, but the timing is not clear since publishing the collection was not discussed by the appropriate publishing committee, as in these days, but the publishing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issuance of the Toe-gye Collection in 1600.
    Third, that the first collection was published in 1604 is most definitely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the prologue was composed by In-hong Jeong in August 1604 and the epilogue written by Gyeong-ho Mun are in the same book.
    Fourth, if the first edition was burned down along with the national library and it was reprinted by Yeong-sun Yu, the timing for its reprinting should not be in 1604 as I-hwan Oh contends, but around 1606 considering the tenure of Governor Yeong-sun Yu (from September 1605 to March 1607).
    Fifth, there is no ground for I-hwan Oh to interpret that the word ‘supervision’ attested in the 1601 edition and the 1602 edition of the Ancient Daily Records is connected to the collection in question. Moreover, it is crystal clear that the collection was being compiled in winter 1603 when, at Gu Jeong's request, Yuk Yi asked In-hong Jeong, who was leading the compiling, to remove specific phrases from the collection and then Jeong refused it by saying, “One jot or one tittle shall be in no wise removed from the book.”Sixth,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our reasons, the contention of I-hwan Oh that the Nam-myeong Collection was first published in 1602 is groundless.
    Seventh, I-hwan Oh says that Gyeong-ho Mun's records about Yeong-sun Yu are not reliable since the records are mistaken about the governor in the Deok-cheon Private School Records written by Jing Ha and in the Sin-san Private School Records written by Dae-yu Bae. But this saying is contrary to logic. Even though Jing Ha and Dae-yu Bae were deluded about the governor, there is no way to prove how the delusion affected the mistakes of Gyeong-ho Mun. Yet, the present author has already demonstrated that the contention of I-hwan Oh is not true as well.
    Eighth, according the Records about the Reconstruction of Deok-cheon Private School written by Jing Ha, during his tenure (between October 1574 and October 1575), Governor Geun-su Yun supported the foundation of Deok-cheon Private School. And I-hwan Oh asserts these records are wrong and mistaken. Nevertheless, the records should not be considered wrong when it is understood that Geun-su Yun supported the foundation during his tenure and then the construction as begun in spring 1576.
    Ninth, according to the Mo-jeong Collection, Geun-su Yun and Jin-bo Ha are each considered as a 'government official' in the Sin-san Private School Records written by Dae-yu Bae. I-hwan Oh will not accept that the word 'government official' was not added by someone in later times, just because he wants to interpret that Dae-yu Bae made a mistake. It seems that Dae-yu Bae did not clearly declare the names of Provincial Governor Su Kim and Kimhae County Governor Sa-jun Yang but vaguely mentioned them just as government officials, since Bae was not favorably inclined to their bad charac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