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文化大革命과 ‘血統論’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And “Bloodline 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8.08
41P 미리보기
文化大革命과 ‘血統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사연구 / 115호 / 245 ~ 285페이지
    · 저자명 : 손승회

    초록

    본문에서는 ‘혈통론’의 등장, ‘혈통론’과 ‘출신론’의 논쟁, ‘4ㆍ3파’와 ‘4ㆍ4파’의 논쟁 그리고 ‘可敎子女’ 문제 등을 살펴봄으로써 문혁 전 기간을 통해 ‘혈통론’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혁파의 공식적인 부정에도 불구하고 이렇듯 ‘혈통론’이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은 그것이 사회주의 중국을 유지시킬 수 있는 기본적인 사유구조 가운데 하나였기 때문이었다. 특히 계급적ㆍ혁명적 적/아의 구분과 대립을 주요한 특징으로 삼는 문혁시기에 있어 ‘출신 성분’은 가장 명확한 정치적 자산이자 멍에로 작용할 수 있었다. 이는 문혁이 지니는 아이러니, 즉 보수적 성격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이기 하다. 반면, ‘혈통론’ 논쟁과 ‘4ㆍ3파’ 논쟁 그리고 ‘가교자녀’의 하향운동 과정에서 등장하는 문혁의 피해자는 곧 문혁의 급진적 흐름을 주도하는 주요한 세력으로 등장한다. ‘혈통론’이라는 비이성적 차별 속에서 조반을 경험한 이들 피해자들에게 문혁은 새로운 가능성이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들 가운데 일부는 문혁의 ‘수습’ 국면에서 중앙ㆍ관방 측의 현실 문혁에 반대하는 민간 극좌파의 길로 나아 갈 수 있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emergence of “bloodline theory”, the debates between “bloodline theory” and “identification theory”, the debate between “the clique of 4 ㆍ 3” and “the clique of 4 ㆍ 4”, and finally the problem of “the children who can be well educated.” Through this, it was revealed that “bloodline theory” was continuously functioning throughout the entire Cultural Revolution period. Despite the formal denial of the clique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e “bloodline theory” could be maintained. It was because “bloodline theory” was one of the fundamental reasoning structures for maintain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particular, in the period of the Cultural Revolution, which was characterized by the distinction and confrontation between enemy and friend of the class, the bloodline could be the most definite political asset and burden. This, on the other hand, is an example of the irony that the Cultural Revolution possesses, that is to say, the its conservative character. Meanwhile, the victim of the Cultural Revolution, who emerged in the process of “bloodline controversy” and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children who can be well educated” soon emerged as a major force leading the radical stream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e Cultural Revolution was a new possibility for those victims who experienced the rebel in the irrational and violent discrimination of bloodline. In this context, some of them were able to move to the path of the idealistic clique of the ultra-leftist who opposed to the real and central Cultural Revolu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