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학생운동의 ‘위기’와 혁신의 모색 -연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The ‘Crisis’ of the Student Movement and the Search for Innovation in the 1990s - Focusing o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09
38P 미리보기
1990년대 학생운동의 ‘위기’와 혁신의 모색 -연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학림 / 48권 / 125 ~ 162페이지
    · 저자명 : 이세영

    초록

    본 연구는 학생운동의 퇴조기인 1990년대, 연세대학교를 중심으로 ‘학생운동의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시도들이 어떻게 진행되었는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기층에서의 학생운동 인식과 활동을 보다 풍부하게 복원하고자 함이다.
    1990년대 초부터 학생운동이 위기에 빠지고 있으며, 대안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어 갔다. 이는 학생들의 학생회/학생운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 저하로부터 비롯되었다. 1990년대 대학사회와 문화는 한국의 경제적 성장, 졸업 후 취업난 심화, 사회주의권 붕괴 등으로 크게 변화했으며, 학생들의 의식도 변화하였다. 그런 가운데, 학생회의 비민주성이 지적되면서 학생회를 보다 민주적으로 변화시켜야만 학생운동도 다시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었다.
    연세대학생들은 ‘네트워크 총학생회’를 건설하는 등 학생회를 보다 민주화시키기 위한 실험을 하였으며, 기존 정치투쟁 중심의 학생운동 대신 보다 다원화된 부문운동을 벌여 학생운동의 저변을 확대하고자 시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90년대 전반의 이런 인식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1996년 들어 학부제가 실시되면서 학생회의 인적 결속력은 급속히 약화되었고, 8월 벌어진 ‘연대 항쟁’으로 인해, 학생들의 학생운동에 대한 불신은 돌이킬 수 없이 커져갔다. 그 결과 본격적으로 학생운동을 반대하는 세력들이 97년도 총학생회를 차지하기도 하였다.
    연세대 내에서 학생운동 혁신 논의는 학우대중의 불신에 더해 정권의 ‘한총련’ 이적단체규정에 의하여 더욱 어렵게 전개되어 갔다. 한총련을 사수할 것인지, 탈퇴할 것인지가 주요 이슈가 되면서, 학생운동 혁신 논의는 부차적인 것으로 밀려났다. 그렇지만, 거대연합체 운동의 한계, 학생운동의 학생회 중심성 등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운동 방식의 모색은 계속되었다. 새로운 진보정당 건설에 참여하거나, 교육권 투쟁과 같이 부문운동에보다 천착하려는 것이 그것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attempts were made to cope with the ‘crisis of student movement’ centered on Yonsei University in the 1990s, when the student movement was at its decline.
    Since the early 1990s, there has been a widespread perception that the student movement is in crisis and that alternatives are needed. This resulted from a decline in students’ interest in and participation in student councils/student movements. Amid the change in university culture, it was analyzed that the student movement could only be revitalized if the undemocratic student council was changed more democratically.
    Yonsei University students conducted experiments to further democratize the student council and attempted to expand the base of the student movement by conducting a more diverse sector movement instead of political struggle.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the student council’s human solidarity weakened rapidly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undergraduate system in 1996. Also, due to the ‘YONSEI uprising’ in August, students’ distrust of the student movement has grown irrevocably.
    Despite all the difficulties, the search for a new mode of movement continued, criticizing the limitations of the large coalition movement and the student council’s centrality. It was to participate in the construction of a new progressive party, or to be more inclined to sector movements, such as the struggle for educational ri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