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고기 신라의 대(代)와 대법(代法)에 대한 고찰 - 함안 성산산성 17차 발굴조사 출토 사면 문서목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ae(代) and Dae-beop(代法) of Silla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 focused on the four-sided wooden documents(Article 23) found by the 17th excavation of Haman area’s Seongsan mountain for)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7.09
34P 미리보기
중고기 신라의 대(代)와 대법(代法)에 대한 고찰 - 함안 성산산성 17차 발굴조사 출토 사면 문서목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현실 / 105호 / 181 ~ 214페이지
    · 저자명 : 전덕재

    초록

    본 논고는 함안 성산산성 제17차 발굴조사에서 발견된 사면 문서목간(23번 목간)의 판독과 해석, 거기에 기재된 대법(代法)의 성격과 ‘대(代)’의 의미에 대하여 살핀 것이다. 필자는 23번 목간 3면 5번째 글자를 ‘夲’자로, 4면의 7번째 글자를 ‘寀’자로 판독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23번 목간 묵서를 ‘3월에 진내멸촌주(眞乃滅村主)가 괴로워하고 두려워하며 아뢰었다(1면)/ □성에 계신 미즉등지(弥卽等智) 대사(大舍)와 하지(下智) 앞에 나아가 아룁니다(2면)/ 곧 아뢰기를, ‘앞선 때에 지금의 대법(代法)은 엉성한 모습입니다.’라고 하였습니다(3면)/ 이탁리급벌척(伊汑罹及伐尺)의 채(寀)로 말하면, 법에 의거하여 돌아보아 30대(代)였다고 고하였으나, 지금 30일 만에 다 먹어버렸다고 아룁니다(4면).’로 해석하였다. 목간에 보이는 ‘대(代)’는 벼 한 묶음(1束)을 가리키는 수확량의 단위뿐만 아니라 벼 1속(束)을 수확할 수 있는 토지면적의 단위였고, 대법(代法)은 1대(代)의 곡물 수확량과 토지면적, 대제(代制)의 운영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항을 규정한 법률이었다. 7세기에 결(結)·부(負)·속(束)을 토지면적의 단위로 삼는 법령을 제정하여 시행함에 따라 대(代)라는 용어를 더 이상 쓰지 않게 되면서 대법(代法) 역시 폐지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deco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four-sided woodendocuments(Article 23) that were found in the 17th excavation of Haman area’sSeongsan mountain fortress. This article also investigates the nature ofDae-beop(Dae-law: 代法) and the meaning of the word Dae(代) in thedocuments. In this study, the 5th letter in the 3rd side of Article 23 will be readas ‘夲’ and the 7th letter of the 4th side as ‘寀’. Based on this interpretation,inscriptions in black ink in it can be read as ‘In March, here I, headman ofJinnaemyeol village, inform you with suffer and fear(Side 1)’/ ‘Here I report toMijeukdeungji(弥卽等智) Daesa(大舍) and Haji(下智) in name unknown castle(Side 2)’/ ‘Soon it is said that Daebeop of the early times was not in itswell-developed form(Side 3)’/ ‘Speaking of Itari Geubbeolcheok’s Chae(寀;salary), though at first Itari reported that according to the law, his salary was30Dae(代), he ate all and has exhausted all his salary in a month(Side 4)’. Theword ‘Dae’ in the wooden documents was not only a unit of yield indicatinga sheaf of rice(1Sok<束>), but also a unit of land area in which a sheaf ofrice(1Sok) could be harvested. ‘Dae-beop’ was a law that stipulated grain yieldand land size per 1Dae(代). It also provided criteria for various matters relatedto the operation of Dae system. In the 7th century, by enacting and enforcinglaws that made Gyeol(結)・Bu(負)・Sok(束) as units of area, Dae-beop wasabolished as the term ‘Dae’ was no longer u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현실”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