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5세기 중후반 신라 소지마립간대의 대고구려 관계 (Relation between Goguryeo and Silla during the Sojimaripgan period, in the mid-late 5th centur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9.02
34P 미리보기
5세기 중후반 신라 소지마립간대의 대고구려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51권 / 1 ~ 34페이지
    · 저자명 : 윤성호

    초록

    신라는 눌지마립간 34년(540)에 실직에서 고구려 변장을 살해한 사건 이후부터 나제동맹을 통하여 고구려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소지마립간대의 대고구려 관계는 삼국의 역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주제이므로, 기왕의 연구 성과와 고고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이 시기 신라의 대고구려 관계를 재검토하였다.
    우선 소지마립간 초반 니하 일대의 전투 기사를 분석하였다. 481년에 소지마립간의 비열성(안변) 순행에 자극을 받은 고구려는 니하(남한강 상류)를 타고 국원-제천-단양-영월-정선을 통하여 삼척과 울진 방향으로 동해안으로 넘어가서, 미질부(포항 흥해)까지 남하하였다. 그러나 신라는 백제의 지원을 받아 고구려군을 몰아내고 니하에서 격퇴하였다.
    신라 소지마립간은 483년과 488년 두 차례에 걸쳐 일선 지역을 순행하였고, 485년에 구벌성(의성)을 쌓고, 486년에는 삼년성(보은 삼년산성)과 굴산성(옥천 이성산성)을 개축하였다. 488년에는 도나성(상주), 490년에는 비라성(미상)을 축조하였다. 한편 484년에는 고구려가 모산성(문경 고모산성)을 공격하자 신라는 이를 막아내었지만, 489년에는 호산성(미상)을 고구려에게 상실하였다. 그렇지만 신라는 494년에 오히려 살수(괴산)에서 고구려를 공격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우산성 전투와 날이군 순행의 의미를 통하여 소백산맥 이북 지역에서의 신라의 영역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신라가 소백산맥을 넘어 니하 일대에 대한 영역화를 강화하자 496년에 고구려는 우산성(영월 정양산성)을 공격하였고, 이듬해에 신라는 우산성을 빼앗기게 된다. 그렇지만 500년 소지마립간이 날이군(영주)을 순행한 것과 5세기 후반 단양 지역의 신라의 진출이 확인되는 고고학적 정황을 통하여 얼마 후 신라는 우산성을 탈환하였을 것이다.
    이와 같이 소지마립간기의 대고구려 관계는 6세기 중반에 신라가 한강 유역으로 진출하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므로, 삼국의 대외관계뿐만 아니라 신라사의 입장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Aggressive Goguryeo Relations in Silla-Baekje Alliance at Sojimaripgan Period i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of power between the Three Kingdoms Period at that time.
    In this paper, We review the various nominations appearing in the literatu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e past, and reviewed the archaeological achievements that have accumulated in recent years, and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Goguryeo in this period.
    First, I analyzed the article of battle at the Niha area during the early Sojimaripgan period. Goguryeo was stimulated by Silla's advancement to Anbyeon in 481, passing through Niha(Upstream of the Namhangang River), going to Samcheok and Uljin to the east coast and advanced south to Mijilbu. With the support of Paekche, Silla pursued Goguryeo to Niha and repulsed them.
    Next, I looked at the article that noted that the Fortress at Sojimaripgan and battle between Silla-Goguryeo at the Sobacksan mountain range. In 483 and 488, Sojimaripgan visited the area on Ilsun. and Silla built many fortress. In 486 to 490. On the other hand, in 484, Goguryeo attacked Mosanseong (Gomosanseong Fortress), but Silla blocked it. In 489, Silla was taken to Hosanseong by Goguryeo. However, in 494, Silla attacked Goguryeo in the Salsu(Goesan).
    Finally, through the Usanseong(Jungyangsanseong Fortress) battle, we examined the territorialization process of Silla in the north Sobaeksan mountain range area. When Silla strengthened its control over the territory of Niha, in 496, Goguryo attacked Usanseonge. In the following year, Silla was taken to the Usanaseong by Goguryo. However, Silla recaptured the Usanseong.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lla-Goguryeo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Silla laid the foundations for entering the Hangang River basin. This is important not only in the external relations of the Three Kingdoms but also in the position of Sil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