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星湖 李瀷과 白雲 沈大允의 國風說 비교 연구 -朱熹가 규정한 淫詩를 대상으로- (The Comparison Study Between 星湖 李瀷 and 白雲 沈大允’s 國風說 - Focused on 淫詩 Defined by 朱熹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04
32P 미리보기
星湖 李瀷과 白雲 沈大允의 國風說 비교 연구 -朱熹가 규정한 淫詩를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33권 / 239 ~ 270페이지
    · 저자명 : 홍유빈

    초록

    본고는 조선후기 經世致用 학파의 거장인 星湖 李瀷(1681-1763)과 재야의 학자로 지내면서도 당시에는 보기 드물게 反朱子的 시각에서 ‘利’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던 白雲 沈大允(1806-1872)의 詩經 國風說을 비교한 논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성호와 백운의 국풍설에 유사한 측면도 있지만 그 세부 내용에 있어서는 차이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시경과 국풍을 바라보는 성호의 입장은 음시설에 대한 의심을 통한 주희의 설로부터의 이탈 과정이라 한다면, 백운의 입장은 주희의 음시설을 완전히 부정한 이후의 의미를 밝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방법 역시 성호는 근거 제시를 통한 다양한 방증에 주력한 측면이 있다면, 백운은 ‘聖經으로서의 시경’을 전제한 가운데 연역적인 방법으로 그 微意에 대한 규명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성호는 때로는 漢代 小序의 설로 회귀하기도 하지만, 백운은 그러한 경우가 드물다는 점도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邶風‧靜女〉나 〈鄭風〉의 〈野有蔓草〉 등과 같은 다수의 시편에서 의견의 일치를 보이는 점이 흥미로운데, 이는 상대적으로 객관적 증명을 추구했던 성호의 시경설과 선험적 전제 아래 주견을 강하게 드러낸 백운의 시경설이 만나는 양상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깊다고 생각한다. 한편 《詩經》의 시편들을 ‘求賢治民의 詩’로 바라보는 성호 이익과 백운 심대윤의 시각은 주희의 시경설이 구한말까지 지속되었던 조선 시경학 안에서는 독특한 입론이지만, 시야를 좀 넓혀 중국 청대의 시경설까지 살펴보면 심심치 않게 눈에 띈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성호와 백운이 시경의 시편들을 ‘求賢治民의 詩’로 바라보는 것은 기존 연구에서 제기한 것처럼 성호와 백운 특유의 현실지향적 자세나 경세적 경학 연구의 측면에서 볼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평가를 내리기에 앞서 經學的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지를 먼저 검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학술적 차원에서의 검증을 거치는 과정에서 성호와 백운의 시경설 및 국풍관이 가지는 본연의 가치가 보다 온전히 드러나리라 생각하는 바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between 星湖 李瀷 who was the main leader of the school of 經世致用 and 白雲 沈大允 who was the field scholar with the positive perspective toward “利” from 反朱子的 perspective regarding as 詩經 國風說. Comprehensively, the perspective of 星湖 toward 詩經 and 國風 was doubtful about 朱熹’s 淫詩說 and finally out of it, however, 白雲’s perspective denied completely 朱熹’s 淫詩說 and found the meaning of the study. Therefore, 星湖’s method was relied on providing evidence, however, 白雲’s method was to define 詩經 as scared document and to seek the original meaning of 詩經. Then in the middle of the process, 星湖 went back to 小序’s theory in Han dynasty sometimes but 白雲 did not accept of that theory. And this is the difference of two scholars. Regardless of this difference, it is very interesting that they agreed with the similar interpretation toward as “邶風‧靜女” “鄭風‧野有蔓草”. It is profound that 星湖’s 詩經說 which was more objective than 白雲’s 詩經說, however, two scholars’ opinions was congruent. On the other hand, 星湖 and 白雲 both considered 詩經’s poem as “求賢治民’s 詩”, it was rare in 朝鮮 詩經學. But broadened toward 淸 Dynasty in China, it was common in those times. In this dimension, to look at 詩經 詩篇 as “求賢治民’s 詩” was maybe considered as reality-oriented attitude or political attitude, as the previous studies suggested. In order to evaluate like previous studies, through examinations are needed. Especially in the middle of the evaluation process in terms of the scholar dimension, the value of 星湖 and 白雲’ 詩經說 and 國風觀 will be completely revea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과 해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