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왕산 세심대, 정조가 주도한 새로운 인문공간의 형성 - 『洗心臺賡載軸』 소재 작품의 문학적 형상화 고찰 - (Formation of a New Humanities Space, Inwang Mountain Seshimdae Led by Jeongjo (正祖) - A Review of the Literary Formation of Classical Chinese Poems(漢詩), “Seshimdae Gaengjaechuk (洗心臺賡載軸)”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11
36P 미리보기
인왕산 세심대, 정조가 주도한 새로운 인문공간의 형성 - 『洗心臺賡載軸』 소재 작품의 문학적 형상화 고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학연구 / 93호 / 107 ~ 142페이지
    · 저자명 : 채지수

    초록

    세심대는 한양 도성의 인왕산 언덕에 위치한 조선시대 명소였다. 세심대는 임진왜 란 이전부터 한양에 거주하는 문인들의 거처이자 유람처로 애호되었다. 그러다 영조 연간 한성부 북부 순화방 일대에 왕실 사묘 건립이 활성화되면서 세심대 일대는 왕위 정통성을 상징하는 지역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특히 사도세자의 초기 사당이 세심대 밑에 건립되었다가, 동부로 이전하게 된 사건을 계기로 정조는 즉위 후 1791년 봄부터 1795년 봄까지 지속적으로 세심대를 찾았다. 이 시기는 정조가 사도세자의 명예회복 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던 시기로, 정조의 세심대 행차 역시 이러한 그 의 의도와 밀접한 연관을 지닌다. 정조는 먼저 세 차례의 세심대 연회에서 이루어진 갱 재시축을 통해 봄 꽃 경관이 찬란한 인왕산과 도성의 경관을 묘사함으로써 태평성세의 기운을 형상화하였다. 그리고 을묘년의 화성 행차와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직후 세심 대에서 본격적으로 사도세자를 추모하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사도세자가 탄생한 옛 을묘년에 인왕산에서 朴文秀가 읊어 성세의 기쁨을 표출하였다는 시에 차운함으로써, 비운의 인물인 사도세자의 이미지를 쇄신하고 명예를 회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또 정조의 숙원이었던 갑자년의 구상을 세심대에서 신료들 앞에 언급함으로써, 사도세 자 추숭을 향한 방향성을 알린 의미 있는 장소가 되었다. 그러나 정조의 사망으로 그의 꿈은 실현되지 못했고, 세심대에 부쳤던 그의 바람은 점차 희미해졌다. 세심대는 인왕 산의 다른 명소에 비해 현대까지도 옛 경관을 유지하고 있는 전통성을 지닌 장소이다. 앞으로 세심대를 명소로 지정하여 보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Seshimdae (洗心臺) is located at the foot of Inwang Mountain, one of the mountains surrounding Hanyang (漢陽) capital (都城), old Seoul.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lace- ness of Seshimdae changed, starting from this period, by highlighting records for the regular visits of King Jeongjo (正祖) of Joseon to Seshimdae from 1791 to 1795, and Gaengjae_ poems (responding poems; 賡載詩) created collectively with officials at the time. In the early Joseon period, Seshimdae was loved as a residence and resting place for generations of the literati living in Hanyang. This study representatively introduced the traces that the Park Yun-won (朴胤源) clan and the Jangdong Kim_family (壯洞 金氏) clan continuing from Kim Sang-heon (金尙憲) to Kim Chang-eop (金昌業) had lived in Seshimdae.
    However, during the king Yeongjo (英祖) Reign, when the construction of shrines for royal relatives in this area became active, the Seshimdae area emerged as an area symbolizing royal authority. The shrine of Crown Prince Sado (思悼世子), who met an unfortunate death, was originally built under Seshimdae, but was moved to another location. The period from 1791 to 1795, when Jeongjo consistently visited Seshimdae, was a time when he was actively pursu- ing various projects to restore the honor of his biological father, Crown Prince Sado. In the end, Jeongjo’s procession to Seshimdae was also closely related to his political intentions.
    In the poems (詩) written by the king and his subjects at the three Seshimdae banquets, the spirit of peace and prosperity was symbolized by describing the scenery of Inwang mountain and the capital with its splendid spring flower scenery. In particular, in 1795, the 60th anniversary of Crown Prince Sado’s birth, he visited Seshimdae after visiting Suwon Hwaseong and led the way to commemorate Crown Prince Sado in earnest. An attempt was made to create a similar work modeled after a poem written by the bureaucrat Park Mun- su (朴文秀) at Inwang Mountain 60 years ago when Crown Prince Sado was born, praising the Great Peaceful Era. These literary creative activities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renew the image and restore the honor of Crown Prince Sado, an ill-fated figure. Additionally, Jeongjo mentioned his long-standing wish to crown Prince Sado as king in front of the of- ficials at Seshimdae. Therefore, Seshimdae holds important significance as the place where king Jeongjo revealed his direction to commend crown Prince Sado as king. However, due to Jeongjo’s death, his plan was ultimately not realized, and his wishes he had bestowed on Seshimdae gradually faded. Compared to other attractions in Inwang mountain, Seshimdae is a traditional place that has maintained its old scenery even to modern times. In future, ef- forts should be made to preserve Seshimdae by designating it as a famous landma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