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함안 성산산성 출토 4면 목간의 ‘代’ - 17차 발굴조사 출토 23번 목간을 중심으로 - (‘Dae(代)’ in Four-Sided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Seongsan Mountain Fortress of Hamman Count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7.12
25P 미리보기
함안 성산산성 출토 4면 목간의 ‘代’ - 17차 발굴조사 출토 23번 목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05호 / 153 ~ 177페이지
    · 저자명 : 이수훈

    초록

    본고는 함안 성산산성에서 출토된 4면 목간(23번)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 23번 목간은 문서목간으로서, 6세기 당시 신라의 지방행정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그 실상을 단편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본고는 이 23번 목간의 墨書 가운데 특히 ‘代’라는 용어의 의미를 밝히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 ‘代’의 의미가 제대로 파악되어야만 중고기 당시의 신라 국가권력이 어떤 형태로 일반 民을 지배하였는지 그 일단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검토한 내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고에서는 23번 목간의 墨書를 새롭게 판독·해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기왕의 연구에서 기정사실로 받아들인 ‘代法’의 존재여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代法’의 실체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뚜렷한 실체도 없는 ‘代法’의 존재를 토대로 하여 23번 목간의 전반적인 상황을 판단하거나, 중고기 사회의 단면을 파악하려는 시도는 곤란함을 알 수가 있었다.
    둘째, 그동안 23번 목간에서 가장 주목을 받은 용어인 ‘代’는, ‘작업 일수(날짜)’의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곧 ‘代’는 ‘60日代’=‘60日의 작업 일수(날짜)’와 ‘30代’=‘30日의 작업 일수(날짜)’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중고기 당시에 ‘작업 일수(날짜)’를 헤아리는 단위로 사용되었다고 짐작된다. ‘代’가 단위를 나타내는 용어로 쓰인 흔적은, 조선시대를 거쳐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곧 ‘곤장 열 대’나 ‘담배 한 대’, ‘주사 한 대’ 등의 사례를 통해서 확인된다. 특히 현재 경상도지역의 작업현장에서 일용근로자들이 작업 일수(날짜)를 계산할 때 사용하는 ‘(몇) 대가리’라는 단어의 語源이, 이 ‘代’로 판단된다. ‘작업 일수(날짜)’의 단위를 나타내는 ‘代(의존명사)’에 ‘가리’(접미사)가 결합한 것이 ‘대가리’(代+가리)라는 용어로 추정된다.
    셋째, 23번 목간의 墨書 가운데 가장 판독하기가 힘든 4면의 9번째 글자를 ‘回’로 판독하였다. 이와 같은 판독은 글자의 모양과 運筆의 흐름을 함께 고려하여 도출하였다. 그 결과 6세기 당시의 신라사회에 ‘回法’, 곧 ‘일반 民들의 力役 동원 횟수와, 1回(한 번) 동원될 때마다의 작업 일수(날짜)를 규정한 法’이 존재하였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word ‘Dae(代)’ in particular, among ink inscriptions in four-sided wooden tablets (Article 23) excavated from Seongsan Mountain Fortress of Hamman County.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fter investigating the existence of ‘Dae-beop(代法)’ accepted as the established fact in previous researches, it is established that there was no substance of ‘Dae-beop.’ By the same token, some fundamental problems would arise if the whole contents in four-sided wooden tablets were judged on the basis of ‘Dae-beop.’ Secondly, it is confirmed that the word ‘Dae(代)’ in four-sided wooden tablets that has drawn most attention so far was used to refer “a day’s work amount.” Some evidence showing that the word ‘Dae’ was used to denote a unit remained in the Joseon Dynasty and even today.
    Thirdly, the ninth word that was especially indecipherable among the ink inscriptions in the four-sided wooden tablet is deciphered. As a result, it is proven that ‘Hoe-boep(回法)’ existed in Silla society during the 6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