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慈藏의 新羅歸國과 大國統 취임문제 고찰 (A Consideration on Jajang’s Returning to Silla and Inauguration as Daegugtong(大國統))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5.12
33P 미리보기
慈藏의 新羅歸國과 大國統 취임문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59호 / 231 ~ 263페이지
    · 저자명 : 염중섭

    초록

    자장은 본국인 신라의 요청으로 唐에서 귀국하게 된다. 이후 선덕왕에 의해서 대국통에 취임하여, 계율을 통한 승단정비와 황룡사구층목탑 및 通度寺 戒壇設置와 같은 國家佛敎를 전개한다.
    자장의 귀국은 643년 3월 16일 絲浦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신라에서 자장의 귀국을 요청하는 것은, 국내외정세의 복잡한 양상으로 인한 국가적인 위기상황을 당 황실의 존중을 받는 자장을 통해서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도선은 「慈藏傳」에서, 자장이 귀국 직후 대국통으로 임명되어 선덕왕을 보필해 국가불교의 기틀을 확립한 것으로 적고 있다. 그러나 당시 선덕왕의 왕권이 약화된 상황에서, 이것이 순탄할 수 있는지 의문이 존재한다. 그런데 일연의 「慈藏定律」에는, 자장이 대국통이 되는 것이 황룡사의 법회에서의 甘露異蹟이 있은 이후라고 적고 있다. 이 기록은 선덕왕의 반대세력을 압도하는, 종교적인 異蹟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즉 도선과 일연은, 자장이 대국통이라는 特別僧職에 임명되는 이유를 서로 다르게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선덕왕에 대한 반대세력의 존재유무와 관련된 내용이라는 점에서 주의가 요구된다.
    본고는 당시의 정세에 대한 여러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일연의 기록이 더 타당하다는 것을 변증했다. 자장의 대국통 취임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이후 자장의 승단정비 및 국가불교 전개와 만년의 행보를 이해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시사한다.

    영어초록

    Jajang was called from his home country Silla and came back from Tang. After then, he was appointed as Daegugtong by Queen Seondeog to carry out the national Buddhism projects such as the arrangement of Samgha through śīla-vinaya and the construction of Hwangyongsa 9-floor wooden tower and Tongdosa Simā.
    Jajang’s returning was made through Sapo on March 16, 643. The reason why Silla asked Jajang to return to Silla was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es caused by misrule of Queen Seondeog through Jajang who was respected by Tang royal family.
    According to 「Jajangjeon(慈藏傳)」 written by Doseon, Jajang was appointed as Daegugtong right after returning from China and settled the foundation of national Buddhism with the help of Queen Seondeog. But, the power of Queen Seondeog was so weak at that time that many people have asked if it could be possible. By the way, Ilyeon said in his 「Jajang Jeongyul(慈藏定律)」 that Jajang became Daegugtong only after the miracle of amṛta(甘露, sweet dew) at the Buddhist convention of Hwangyeongsa. This record is noteworthy, for it is about the religious miracle that overwhelmed the opposite powers against Queen Seondeog. That is, Doseon and Ilyeon are different in recording the reason why Jajang was appointed as Daegugtong a special monk position. It requires our notice because it is related with the existence of opposite people against Queen Seondeog.
    This paper vindicates that Ilyeon’s record is more plausible based on the several precedent studies about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at time. The right understanding about Jajang’s inauguration as Daegugtong is very significant in understanding Jajang’s afterward conducts such as the arrangement of Samgha, development of national Buddhism and other accomplish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