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주지역 간도특설대의 설립과 활동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Jiandao Detached Unit(間島特設隊))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08.12
31P 미리보기
만주지역 간도특설대의 설립과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31호 / 169 ~ 199페이지
    · 저자명 : 김주용

    초록

    간도특설대는 1938년부터 1945년 해방 때까지 간도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친일무장단체이다. 간도특설대는 간도지역 독립군에 대한 탄압과 이주민에 대한 경계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특히 한인무장단체가 활동하던 1930년대 말 만주국은 총동원체제 하에서 한인 청년들을 징병제의 틀 속에서 재구성하고자 간도특설대를 설립한 것이다. 이는 만주국 군대 조직의 특성상 한인들이 치외법권에서 벗어나 이제는 만주국의 성원이 되었지만 이들을 이용하여 군대를 만들기에 가장 적절한 지역적 안배가 고려되었던 것이다. 한인을 이용하여 한인을 감시하고 탄압하는 방식은 일제가 즐겨 사용했던 방식으로 간도특설대 역시 이 범주안에 있다. 하지만 간도특설대는 지역적으로 간도를 벗어나 직접 전투를 치른 무장단체라는 점에서 이전의 친일단체와는 구별된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군대라는 특성을 들 수 있다. 간도특설대의 설립부터 군인들이 관여하였으며, 군관학교 및 각종 부대에서 위관급을 뽑아 지휘관으로 삼았다. 특히 간도특설대의 별칭을 담당 군인의 이름으로 불린만큼 군인들의 역할은 절대적이었다. 간도특설대는 1기부터 7기까지 배출하였는데 그 조직 역시 군대조직과 같았다. 또한 군대의 신속한 작전을 위해 둘 정도였다.
    둘째, 지역적 범위를 벗어났다. 간도특설대는 1938년 설립 이후 약 5년간 간도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를 색출하거나 항일무장단체를 탄압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1944년부터는 치열하게 전투가 전개되었던 열하성으로 그 활동무대를 옮긴다. 열하성에서의 전투능력을 인정받아 하북성으로 그 활동영역을 넓혔다. 따라서 간도특설대는 1944년 이후부터는 ‘간도특설대’라는 이름이 무색할 정도로 간도를 벗어나 산해관 지역으로 그 활동무대를 넓혔던 것이다.
    셋째, 대민 공작의 최전선에 있었다는 점이다. 간도특설대는 설립부터 대민활동에 주력하였다. 직접 마을로 가서 선전활동을 전개하거나 그것이 미진할 때는 그 마을을 ‘소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간도특설대가 그 활동영역을 열하성과 하북성으로 옮기면서 그들의 대민활동은 정점에 달하였다. 특히 한인에 대한 나쁜 이미지를 심어주기에 충분한 활약(?)을 펼쳤다. 항일단체를 색출한다는 명목으로 마을 전체를 소각하거나 민간인을 학살한 예는 한인들로 하여금 일제가 간도특설대를 설립한 목적에도 부합하는 행동들이었다. 가장 악랄한 방법은 한인들이 쓴다는 것을 일반인에게 인식시키기에 충분하였다.
    요컨대 간도특설대는 한인들로 구성된 무장단체였지만, 그 활동범위는 공간적, 시간적 영역을 넘어 간도뿐만 아니라 만주지역과 열하성, 하북성 일대에서도 가장 잔인하게 항일세력을 탄압한 세력의 대명사가 되었다.

    영어초록

    Jiandao Detached Unit(間島特設隊) was a pro-Japanese militant group which was operating in Jiandao area from 1938 to the Liberation in 1945. It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oppressing the Korean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in Jiandao area and of controlling the Korean immigrants in the region. During the late 1930’s, when Korean militant groups were flourishing, Manchuria established Jiandao Detached Unit intending to re-organize the Korean youth into a conscription system under general mobilization system. The Japanese Government preferred the way of controlling and oppressing Koreans by the hand of Koreans, and Jiandao Detached Unit was a kind of this policy. Unlike previous pro-Japanese groups, however, Jiandao Detached Unit had a specialty that it was engaged in real battle in and around Jiandao. It had several features distinguished from other pro-Japanese groups.
    Firstly, it was an army. Military men participated in establishing Jiandao Detached Unit, and the leaders of the group were also chosen from officers in military academies or troops. The role of those military men was so absolute that even the group was nicknamed after the officer who was in charge.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Jiandao Detached Unit was similar to that of an army.
    Secondly, it operated beyond its local area. Jiandao Detached Unit focused on searching out leader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oppressing anti-Japanese militant groups in Jiandao for 5 years from its establishment in 1938. After 1944, however, it expanded its scope of activity into Lehe province(熱河省), where there was heavy fighting, and then into Hebei province(河北省) in acknowledgement of its ability to fightshowed in Lehe province. Therefore, Jiandao Detached Unit expanded its operating area into Sanhaiguan(山海關) out of Jiandao after 1944, regardless of its name derived from its local region, ‘Jiandao’.
    Thirdly, Jiandao Detached Unit was at the forefront of the maneuver towards civilians. It focused on activities towards the public from the beginning. It spread propaganda visiting towns and even exterminated the towns when propaganda activities were unsatisfying. Its maneuver towards civilians reached the peak when Jiandao Detached Unit broadened its scope of activity into Lehe province and Hebei province. Those activities engendered bad images about Koreans in the regions. Jiandao Detached Unit destroyed a whole town on the pretext of exposing anti-Japanese groups and slaughtered civilians, which fulfilled the Japanese intention of establishing it.
    To sum up, Jiandao Detached Unit was a militant group which consisted of Koreans, and it extended its operating area, far beyond Jiandao, over Manchuria, Lehe province and Hebei province, where it was notorious for its brutality. Manchuria established Jiandao Detached Unit in reward for the Korean youth in Jiandao area, where the biggest number of them resided. This conciliatory measure that Manchuria took split the Korean society, and the activities of Jiandao Detached Unit shook the society again after the Lib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