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병와 이형상을 기억하는 두 시선, 심방 그리고 일반인 -구비 전승으로 형상화된 신당 철폐의 자취와 기억- (Two Perspectives on Remembering Lee Hyung-sang, Jeju’s Shamans and The ordinary person -Traces and Memories of Disbanding the Sacred Shrine Shaped by Oral Traditio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4.06
41P 미리보기
병와 이형상을 기억하는 두 시선, 심방 그리고 일반인 -구비 전승으로 형상화된 신당 철폐의 자취와 기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54호 / 35 ~ 75페이지
    · 저자명 : 이현정, 유형동

    초록

    이 글은 ‘특정한 사건’과 그에 따른 ‘기억의 재구성’, 해당 기억을 반복적으로 환기하는 ‘전승 주체’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쓰였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구비 전승의 주체로 뭉뚱그려져 왔던 ‘민간’의 범주를 두 집단―‘심방(집단)과 일반인(일반 백성)’―으로 나누어, 두 전승 주체가 구비 전승물로서 ‘병와 이형상의 신당(神堂) 철폐 사건’을 기억·전승해 온 의도와 맥락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짚고자 하였다.
    병와 이형상이 제주목사로 부임하여 주도한 신당 철폐 사건은 제주도 무속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다. 하지만 이형상이 약 1년여 만에 면직하여 제주도를 떠나게 되면서, 제주도 무속사회는 이러한 문화적 충격을 흡수하고 붕괴된 신앙들을 수습·재건하였다. 이후 심방 집단은 <날과국섬김>, 당신본풀이 속 신당의 내력, <영천이목사본(永川李牧使本)>, <고대장본> 등의 전승에 해당 사건을 삽입하며 무속 탄압에 대한 극복 의지뿐만 아니라, 무속신앙의 위상과 자신들의 집단 정체성 등을 일종의 ‘문화적 기억’으로서 내재화·활성화하며 ‘무속사회’를 지탱하고자 애썼다. 이 과정은 심방 집단의 결속을 다지고, 무속신앙의 생명력과 공고함을 강조하려 한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구연자가 심방일 경우, 본풀이가 아닌 전설로서 채록된 자료에서도 이러한 특성은 반드시 내재되어 있었다. 이 지점은 같은 대상과 사건을 이야기하여 온 일반인의 구연 자료와 뚜렷하게 변별된다. 따라서 해당 요소가 ‘심방 집단의 기억 서사’로서 특정될 만한 자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대적으로 일반인들은 구비 전승에서 신당 철폐 사건을 중심으로 ‘무속 탄압의 역사’, ‘무속신앙의 위상’, ‘무속사회의 생명력’을 강조하기보다, ‘제주목사 이형상의 자취와 그에 대한 평가’를 위주로 관련 이야기들을 기억·전승하는 동시에 재편·변주하여 온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반인 전승에서 이형상 관련 구비 전승은 제주목사(혹은 위정자)의 직책(직무)와 엮일 만한 기존 전승(전설)들―김녕사굴 전승(서련 판관 관련), 골총 치산 전승(기건 목사 관련) 등―을 견인하며 서사적 자장을 넓혀 온 것으로 확인된다. 그렇기에 일반인이 구연한 관련 전승에서 이형상의 자취는 ‘신당 철폐’라는 사건을 중심으로 ‘혁파’ 혹은 ‘개혁’으로 평가되어 온 ‘제주목사 이형상의 자취와 자질’을 형상화하는 방향으로 꾸려져 오게 되었다. 이 같은 이분된 평가와 함께 구비 전승에서 징치의 유무나 정도 등을 달리하는 결말도 생산하게 되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한편 이형상 관련 구비 전승에서 심방 집단과 일반인들의 기억과 입장이 완충된 사례로서 <두리빌렛당신본풀이>와 그 신앙 전설을 주목해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하였다. 두리빌렛당의 신앙적 내력을 심방 집단과 일반인의 입장에서 각각 구연한 자료들을 비교한 결과, 두 집단의 목적이 절충될 수 있었던 것은 <두리빌렛당신본풀이>의 서사가 공동체의 ‘현실적인 위기 상황(기근)’에 대처하는 ‘구휼의 문제’로 가닿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해당 전승은 심방 집단에게 의미화·학습화된 기억, 일반인들의 현실 인식과 제주목사를 향한 희구(希求), 사신(蛇神)을 숭앙하는 자신들의 신앙에 대한 차별성과 당위성을 담보받으려는 의도들이 완충되는 지점에 놓인 전승물로서 ‘집단화된 기억의 선회와 굴절을 이루어낸 산물’로서 의의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주지하다시피 기존 연구에서 이형상 관련 구비 전승들은 기록 전승의 대척점에 놓인 대상이자, ‘지배 계층’의 억압에 대항하였던 ‘피지배계층―신앙공동체, 민중, 민간’의 ‘처지와 기억’이 녹아든 결과물이라는 다소 일변도된 해석들만이 거듭되어 왔다. 반면에 이 글에서는 구비 전승의 영역에서 동질 집단으로 취급되어 온 대상들일지라도 거듭 사건과 연계된 신분(사회적 지위), 영향 정도 등에 따라 사건의 체험과 기억을 전승하는 의도나 인식적 지향을 달리할 수 있다는 점, 이것이 곧 서기적(敍岐的) 변주를 이루며 전승에서 다른 의미를 발산케 한 기제일 수 있다는 점 등을 새로이 검증하여 보았다. 이러한 접근은 이형상 관련 구비 전승뿐만 아니라, 답보 상태에 놓인 제주 설화 연구에서 ‘민간 전승’이라는 틀에서 뭉뚱그려져 온 전승 주체―심방(집단)과 일반인―, ‘구비 전승’·‘설화’의 영역에서 뭉뚱그려져 온 다른 유형들―‘본풀이’와 ‘전설’―의 틈에 존재하는 ‘기억과 서사의 간극’에도 더욱 면밀한 고찰과 구명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환기한 사례로서 나름 유의미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written to examine ‘specific events,’ ‘reconstruction of memory’ regarding them, and the ‘transmitter of transmission’ who repeatedly ventilates such memories. In particular, departing from the conventional lumping of ‘The public’ as the subject of transmission in existing research, it divides into two groups—‘Shimbang (Jeju’s Shamans) group’ and ‘the general public (ordinary people)’—thus pointing out the somewhat different orientations in the intention and context of remembering and transmitting the event of the abolition of ‘The incident of shrine demolition caused by Byeong-wa Lee Hyung-sang’ as a transmitted material between the two transmitters.




    The disbandment of the Byongwa Lee Hyung-sang Shrine was a significant event that shook Jeju Island’s indigenous faith. However, with Lee Hyung-sang leaving Jeju after about a year, Jeju’s shamanistic society absorbed such cultural shocks and moved quickly to recover and reconstruct collapsed beliefs. Subsequently, the Shimbang group, through transmissions like <Nalgwagug-seomgim>, the history of shrines within “Dangsin-bonpuri,” <Yeongcheon-Leemoksa-bonpuri(永川李牧使本)>, <Godaechang-bonpuri>, among others, embedded the event within their narratives not only to overcome oppression but also to internalize and activate ‘cultural memories’ regarding the status of shamanism, their group identity, and to support the ‘shamanistic society.’ This process aimed to strengthen the cohesion of the Shimbang group and emphasize the vitality and solidity of shamanistic faith. Even in legends recorded as folklore rather than in bonpuri if the storyteller was a Shimbang, these characteristics were inherently present, distinguishing them significantly from folklore narrated by the ordinary person.
    When examining relatively recorded folklore, it was noted that the ordinary person tended to reshape and vary related stories by focusing on ‘the figure of Lee Hyung-sang and his evaluation’ rather than emphasizing the ‘history of shamanistic oppression’ or the ‘status of shamanistic faith and society.’ Particularly, in this category, related transmissions often incorporated existing transmissions associated with the duties or tasks of Jeju’s pastors or officials—such as Kimnyeong-Sagul transmission(related to Seo-ryeon), transmission of Golchong (related to Ki-geon)—thus expanding the narrative scope of transmissions. Therefore, in folk tales related to Lee Hyung-sang narrated by the ordinary person, Lee Hyung-sang’s traces were constructed around the event of ‘shrine disbandment,’ presenting a ‘reform’ or ‘revolution’ as the essential aspect of ‘Lee Hyung-sang’s qualities as a Jeju Magistrate.’ This often led to the production of endings with varying evaluations and whether punishment was warranted.




    Furthermore, it was discussed tha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cases where the viewpoints of the Shimbang group and the general public were reconciled in related belief legends such as <DuriBillet-Dangsin-bonpuri>. The related transmission narratives of the Duri-Billet-Dang entail how the Shimbang group and the ordinary person narrated the folklore of Duri-Billet-Dang, and when the gap in collective memory touches upon the ‘issue of collective survival (famine)’ in the community’s ‘realistic crisis situation,’ they seem to reach a consensus. Therefore, these transmissions were considered as products of ‘the recollection of collective memories’ for the Shimbang group, and as materials where the perception of reality and the aspiration towards Jeju Magistrate among the ordinary person were reconciled, representing ‘reconciliation of collective memories’ placed at the juncture.




    As noted, while existing research has interpreted the related folklore of Lee Hyung-sang as subjects placed at the opposite end of recorded transmissions, representing ‘the dominated class’ that resisted the oppression of the ‘dominant class,’ ‘faith communities,’ ‘the ordinary person,’ whose memories intertwined with social status and implications. On the other hand, this article scrutinized and validated the fact that the subjects treated as homogeneous groups in related folklore can differ in their intentions or perceptual directions in transmitting event experiences and memories depending on their status (social position), degree of influence, etc., and that this could lead to narrative diversification, thus potentially changing the meanings in transmissions. This approach not only applies to the folklore related to Lee Hyung-sang but also suggests the need for a more detailed distinction and elucidation of the ‘gap between memory and narrative’ existing between ‘Shimbang (group) and the ordinary person,’ ‘Bonpuri’ and ‘folklore’ in studies on oral tradition, which are currently in a state of limb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