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인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 활동의 여가문화적 성격-경북 칠곡군 A아파트 경로당 사례를 중심으로- (The Leisure Cultural Properties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 Participation Activities-Focused on Cases of the A Apartment Senior Center in Chilgok County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0.04
32P 미리보기
노인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 활동의 여가문화적 성격-경북 칠곡군 A아파트 경로당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71호 / 71 ~ 102페이지
    · 저자명 : 최유정

    초록

    이 연구는 민속학적, 문화론적 접근을 통해 경북 칠곡군 A아파트 경로당에서 운영되는 노인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 활동의 실태를 현지조사하여 분석하고, 오늘날 노인의 여가문화로서 노인 치매 예방 프로그램이 가진 여가문화적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노인들의 삶과 일상생활의 맥락에서 노인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 활동이 여가문화로서 어떤 의미가 있을 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노인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 활동에서 수강자들은 지자체에 의해 수강자들이 동원된 측면이 있다는 점, 지자체가 기획한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타율적이고 수동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수강자들은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치매 예방보다 놀이를 즐기거나, 운동을 하거나 지식을 습득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 알찬 여가 시간을 보낼 수 있다고 인식한다는 점,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개발 혹은 자아실현 등의 경험을 한다고 생각하는 점에서 ‘진지한 여가’활동으로 평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노인들의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 활동이 전통적인 자발적 여가문화와 확연히 구별된다.
    그럼에도 수강자들의 삶과 일상생활의 여가양상을 살펴볼 때 그들이 치매 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치매 예방 프로그램은 이미 만들어진 프로그램에 참여만하는 것이기 때문에 굳이 여가활동에 품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 또한 시간만 허비하는 기존의 ‘일상적 여가’활동보다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게 해준다. 나아가 아파트 단지 내 경로당이라는 가정과 멀지 않은 공간에서 비슷한 연령대에 얼굴을 아는 사람들끼리 함께 즐길 수 있다. 이점에서 노인들의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는 현대적인 여가 욕구를 충족하게 해주는 적합한 여가활동이다.
    노인의 ‘일상적 여가’활동과 비교할 때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 활동은 ‘타율적 여가’, ‘이식된 여가’, ‘계획된 여가’, ‘설계된 여가’, ‘의도된 여가’, ‘복잡한 여가’, ‘힘이 드는 여가’라는 특징이 확인된다. 전통사회 뿐만 아니라 오늘날 노인들은 일상적으로 스스로 여가를 즐기는 주체이다. 그러나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 활동의 여가문화적 성격으로 볼 때 노인들은 기존의 여가활동과는 달리 주제와 객체의 경계점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노인들은 전통적인 여가문화에서 벗어나 점점 현대사회의 여가문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를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로서 노인들의 치매 예방 프로그램 참여 활동을 주목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ducted field surveys on and analyzed the conditions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 participation activities operated at the A Apartment Senior Center through folkloristic and cultural approaches to examine leisure cultural properties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as leisure culture for the elderly. For this, observations were made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 participation activities from contexts of the lives and everyday lives of the elderly.
    The fact that participants were gathered by local governments for dementia prevention program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he fact that they were a part of a program that was already planned by local governments displayed heteronomous and passive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confirmations were also made of characteristics as ‘serious leisure’ activities as participants enjoyed play, exercised, or acquired knowledge rather than focus on dementia prevention through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 perceived that they were able to spend their leisure time meaningfully, and experienced self-development or self-realization through the program. These can be considered aspects that display points of vagueness at which it is difficult to consider dementia prevention program participation activities to be leisure culture.
    Still, observations of the leisure aspects of the lives and everyday lives of the participants showed that they participated in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the following reasons.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simply require participation in programs that have already been made so additional efforts are not required with regard to handling their leisure activities. Also, they allow time to be spent more meaningfully than with existing ‘everyday leisure’ that did nothing but waste time. Further, they could be enjoyed with familiar people of similar age in a senior center within the apartment complex, a space that is not far from home. From these point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n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was appropriate for and satisfied the modern leisure desires of the elderly.
    In comparison with the ‘everyday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dementia prevention program participation activities had the leisure cultural properties of being ‘heteronomous leisure’, ‘transplanted leisure’, ‘planned leisure’, ‘planned leisure’, ‘intentional leisure’, ‘complex leisure’, and ‘difficult leisure’. The elderly serve as the leisure theme of traditional society and of modern everyday life. However, observations of the leisure cultural properties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 participation activities show that, unlike existing leisure activities, the elderly are located at the boundary point between subjects and objects. Therefore, the elderly of today are breaking away from traditional leisure culture and are increasingly experiencing leisure culture of modern society an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elderly are cases that display th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