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持寶珠如來像에 대한 硏究 - 南北朝∼唐代 持寶珠如來像의 成立과 展開를 中心으로 (A Study On the Buddha is holding maṇi)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7.03
29P 미리보기
持寶珠如來像에 대한 硏究 - 南北朝∼唐代 持寶珠如來像의 成立과 展開를 中心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23권 / 31 ~ 59페이지
    · 저자명 : 김은아

    초록

    본 연구 과제는 보주(寶珠)를 지물(持物)로 들고 있는 ‘지보주여래상(持寶珠如來像)’에 대한 것으로 이 상들에 대한 양상, 전개과정, 제작배경, 종교적 역할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경전에 근거하여 지물을 든 여래상으로는 약사여래상이 잘 알려져 있지만 이 지보주여래상은 약사여래상과는 다르게 여원인(與願仁)을 결한 왼손의 손바닥에 보주를 조각하였으며, 여래상은 마치 보주를 신자(信者)들에게 보여 주는 듯한 자세를 취한다.
    현존하는 상을 기준으로 지보주여래상의 양상을 파악해 보면 이 상은 양(梁), 북주(北周), 수(隋), 당대(唐代)에 이르기까지 제작되었으며, 지역적으로는 사천, 섬서지역에서 집중적으로 확인된다. 제작시기 및 제작지와의 상관성을 생각해 볼 때 가장 흥미로운 점은 남조(南朝)의 양과 북조(北朝)인 북주에서 이 상들이 연속적으로 제작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개과정을 보이는 것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역사적 사실과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즉, 서위(西魏)는 양나라 왕족 사이에서 내흥이 일어나자 폐제(廢帝) 2년(553)사천성을 점령하고, 양의 무릉왕(武陵王)을 토벌하게 되었는데 서위를 계승한 북주도 서위에 이어 사천을 지배하게 되었다. 지보주여래상이 확인되는 만불사지(萬佛寺址)는 사천성의 중심지인 성도(成都)에 위치하고 있는데 성도를 지배하게 된 북주로 인해 사천지역은 남북조의 불교문화가 서로 융합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성도와 장안 사이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는 광원 황택사 석굴에서 제15호굴(북주), 제28호굴(초당)의 본존여래상이 지보주여래상으로 확인 된다는 것은 이러한 추론에 더욱 힘을 실어준다.
    지보주여래상의 왼손바닥에 조각된 보주를 바라보는 신자들은 일체의 소원을 들어주고, 일체의 번뇌를 없애주기를 기대하였거나 여래상이 현현(顯現)한 불세계(佛世界)를 체험하고, 보리심(菩提心)을 일으켜, 열반에 들기를 기대했을 수도있다. 신자들에게 보여주는 것처럼 보주를 들고 있는 여래의 자세로부터 생각해 볼 때, 보주는 여래상과 신자 간의 종교심을 승화시키는 매개체로서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 분명해 졌다.
    이상 지보주여래상에 대한 연구 과제를 살펴보았는데 본 연구가 이후 한국, 일본에서 확인되는 지물을 들고 있는 여래상의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 named the Buddha statues holding an Cintāmaṇi (寶珠) in their hand the “Cintāmaṇi-holding Buddha Statues (持寶珠如來像)” and examined their figure types, production backgrounds and religious roles. Among the Buhhda statues holding an Cintāmaṇi, Bhaisajyaguru (Medicine Buddha) statue is most wellknown throughout the Buddhist scriptures, but, unlike such statues, the Cintāmaṇi-holding Buddha statues hold an Cintāmaṇi in their left hand lacking the symbolic blessing gesture of vara-mudra and pose as if they intend to show the Cintāmaṇi to the faithfuls.
    If I examine their figure types based on the existing statues, they turn out to have been extensively produced across the Liang (梁代), Beizhou (北周;Northern Zhou), Sui (隋) and Tang (唐) dynasties of China, particularly in the provinces of Sichuan (四川) and Shaanxi (陝西). What is most intrigu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roduction ages and locations is that the statues were successively made between the Liang Dynasty of the Southern Dynasties (南朝) and Beizhou of the Northern Dynasties (北周). I judge this developmental process is associated with the following historical facts.
    Following an internal strife among the royal families of the Liang Dynasty, Xiwei (Western Wei; 西魏) occupied the Sichuan Province in the second year of the Emperor Fèi Dì(553) to defeat the Prince of Wuling, and Beizhou also conquered Sichuan after Xiwei. One of the Cintāmaṇi-holding Buddha statues can be found in the site of The Ten Thousand Buddhas Monastery (萬佛寺) that is located in Chengdu (成都), a sub-provincial city of the Sichuan Province, and it can be easily assumed that Beizhou, which came to control Chengdu, interacted with the Buddhist culture of Liang. This assumption is strongly supported by fact that the Cintāmaṇi-holding Buddha statues were found in the Cave No.15 of Beizhou and the Cave No.28 of Tang in the Huangze Temple (Temple of Imperial Favour; Guangyuan City (廣元市) that is a major traffic point between Chengdu and Chang’an (長安).
    The faithfuls that looked at the Cintāmaṇi-holding Buddha statues at that time may have expected the Cintāmaṇi to grant all of their wishes and clear them of any worldly anguish, or let them experience the incarnation of the Buddha cosmos (佛世界) and Bodhicitta (菩提心; spontaneous wish to attain enlightenment) to ultimately enter nirvana. Judged from the statues' postures of holding the Cintāmaṇi as if they intend to show it to the faithfuls, the Cintāmaṇi must have played as a medium that sublimates the faithfulness between the Cintāmaṇi and the faithfuls. I wish this result of our examination of the Cintāmaṇi-holding Buddha Statues to contribute to the ongoing studies on such statutes being conducted in Korea and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