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魏晋南北朝-隋唐時代 葬俗·葬具의 變化와 墓誌銘 - 그 資料的 性格- (Epitaphs and the Change of Funeral Custom and Instruments during Wei-Jin,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and Sui-Tang Periods)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4.09
56P 미리보기
魏晋南北朝-隋唐時代 葬俗·葬具의 變化와 墓誌銘 - 그 資料的 性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75호 / 5 ~ 60페이지
    · 저자명 : 박한제

    초록

    묘지명은 장속의 변화에 따라 나타난 葬具의 하나이다. 여러 장구들 가운데 墓碑와墓誌銘은 가장 유사한 것이다. 물론 묘비가 紀功의 성격이 강하고, 묘지명은 標識의 성격이 강하지만 묘지명 문학이 난숙기에 들어선 당대, 특히 당후기가 되면 그 서술상의구별은 그리 크지 않다. 묘지명은 曹魏시대 禁碑令 선포의 영향으로 묘 앞의 묘비가 묘속에 들어감으로써 나타난 것이다. 묘지명의 사회적 유행과 관련하여 필자가 남달리 관심을 가졌던 것은 강남 남조의 여러 왕조보다는 중원 북조의 왕조에서 크게 유행한 이유와 수・당대에 와서 묘지명과 묘비가 병존하는 문제를 어떻게 해석할 것이냐의 문제였다. 필자는 前稿에서 묘지명은 금비령 반포이후 碑의 대체 장구로서 남조에서 먼저 출현했지만, 예제와의 합치되지 않는다는 인식의 영향으로 발달하지 못했다고 결론지었다.
    반면 북조에서는 동진-남조처럼 금비령이 반포된 적이 없었지만, 유목민족의 고유의장속인 즉 虛葬, 潛埋습속과 농경 한족의 碑銘 문화가 합쳐져 묘지명이 활발하게 유행하게 되었다고 추론하였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한대이후 당말까지 중국에서 발굴된 묘비와 묘지명을 계량적으로 시대별로 비교해 본 결과 한대(특히 後漢)가 墓前 葬具와 碑石의 시대라고 한다면, 동진-남조도 이 전통을 계승하였으며(물론 帝室의 墓葬文化에 한정), 北朝는 묘지명시대이고, 수・당시대는 묘비-묘지명 병존시대라는 결론을 확인하게되었다. 아울러 묘지명이 북조-수・당시대에 유행하게 된 것은 유목민족의 葬俗과 깊은연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조에서는 위에서 보았듯이 묘비는 제실 구성원(太子・太子妃 이상)에게만 허용된것이었고, 素族[귀족사대부])에게는 묘지명만이 허락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예제에 맞지 않는 묘지명이 별로 선호되지 않았다. 아울러 남조 제왕의 능묘에서는 묘지명대신 哀策이 들어가고, 그 외 鎭墓文이나 買地券 등이 납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북조[특히 북위]에서는 사회적 등급에 따른 묘지명 크기 등에 대한 규정을 발견할 수 없으나발굴된 현물을 볼 때 규정이 있었을 가능성이 보인다. 아울러 수대에 이르면 장구 등에대한 신분별 규정이 명확하게 등장한다. 다만 묘지명의 경우 묘비와는 달리 자의성이 보다 강하기 때문에 그런 규정이 준수되는 것이 어렵지 않았을까 여겨진다.
    묘지명의 사료적 가치는 제작 이후 이차 가공이 되지 않았던 것이기 때문에 대단히높지만, 자의성이 강한 만큼 기존사료에 근거해서 이용해야 한다. 특히 묘비보다도 과장의 정도가 더 심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Epitaphs (muzhiming 墓誌銘) were included in funeral instruments as the funeralcustoms changed. The function of epitaphs was similar to that of tombstones (墓碑mubei), more than any other funeral instruments, There was a subtle difference betweenepitaphs and tombstones in that tombstones aimed to commemorate one’s feat,while epitaphs were supposed to demonstrate personal history of the dead. However,during the Tang Dynasty, especially in the second half of the Tang, when epitaph literatureflourished, it was hard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tombstones’ way of descriptionand epitaphs’. During Cao-Wei dynasty, tombstones, which were located in frontof the tomb had to be moved into the tomb pit because the government prohibitedusing them. With regard to the epitaph’s popularity, I would like to focus on two questions.
    First, Why were epitaphs more popular in Northern Dynasties than Southern Dynasties?Second, why did both tombstones and epitaphs co-exist during Sui-TangDynasties? Previously, I have concluded that epitaph culture emerged as a substitutefor funeral instruments in Southern Dynasties, but it did not flourish as it was regardedunfit for the legitimate funeral ceremony. On the other hand, epitaphs were extremelypopular in Northern Dynasties even though they did not prohibit the tombstones. Ihave inferred that the popularity came from the intermixture of nomadic tribes’ burialcustoms - fake burial and secret burial - and Han Chinese’s epitaph culture. Along withthis, I analyzed the tombstones and epitaphs in Chinese history from Han Dynasty toTang Dynasty quantitatively. Putting funeral instruments and tombstones in front ofgraves was popular during Han period and this trend was still in fashion during EasternJin and Southern Dynasties, while epitaphs flourished in Northern Dynasties. DuringSui-Tang period, tombstones and epitaphs co-existed. Also, I am certain that the popularityof epitaphs in Northern Dynasties and Sui-Tang period has much to do with the peculiar burial customs of nomadic tribes.
    In Southern Dynasties, while the scholar-officials could only have epitaphs, theimperial family also possessed tombstones. However, epitaphs were not favored asthey were regarded unfit for the burial custom. It is not certain that there were regulations about standards on epitaphs. It is probable that they put lament texts (aice 哀策)instead of epitaphs in the imperial tombs along with tomb-securing texts (zhenmu wen鎭墓文) and land contracts (maidi quan 買地券). From the excavated articles, it can beinferred that there had been regulations on epitaphs in the Northern Dynasties, eventhough we can’t find them. With the start of Sui dynasty, the norms of the usage of funeral instruments according to social status became evident. Epitaph may have beenfree from regulation for it was a rather arbitrary option.
    Epitaphs have more historical value than tombstones in that they did not go through secondary processing. However, it is recommended that they’d be analyzed rigorously based on existing historical materials, for they contain a lot of elements of arbitrary exaggerations. We need to analyze them more sternly for they may have outrageous overstat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