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평 성덕리의 당문서를 통해 본 마을신앙의 전승양상과 변화 (Transmission of Village Belief and changes though a Case Study of Seongdeok-ri in Yangpyeo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6.04
30P 미리보기
양평 성덕리의 당문서를 통해 본 마을신앙의 전승양상과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59호 / 311 ~ 340페이지
    · 저자명 : 김종대

    초록

    일반적으로 우리의 전통문화가 가장 크게 훼손된 때는 일제강점기로 알고 있다. 민족 정체론 등을 근거로 들어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흔들었을 뿐만 아니라, 우리 전통문화의 전승을 지속적으로 방해하여 왔다. 이런 사실을 토대로 기왕에 우리의 민간신앙에 대한 훼손도 역시 심각한 상태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평가하여 왔다.
    이런 현상을 확인하기 위해서 최근 조사된 양평 성덕리의 당문서를 분석한 결과 매우 의외에 결과를 찾아낼 수 있었다. 성덕리에서는 국수당과 도당할아버지와 도당할머니, 그리고 첩당, 장승 등이 어우러진 마을신앙을 전승시켜왔다. 특히 국수당 안에는 철마까지 봉안되어 있어서 이 지역에서 솥점행위가 이루어졌다는 점도 확인된 바 있다.
    이러한 신앙형태에 대한 당문서의 내용은 일반적인 유교식 제의 뿐만 아니라, 도당굿이 크게 벌어졌다는 사실까지도 담고 있다. 즉 유교식 제의가 끝난 후 3일 동안 굿청을 마련하여 굿이 벌어졌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줄타기 등의 난장이 벌어지고 노름판까지 서는 등 많은 사람들이 참여해서 놀 수 있는 공간이 조성되었다. 따라서 일제강점기만 해도 엄청나게 큰 판이 벌어져 인근의 사람들까지 모두 참여해서 놀 만큼 대규모 축제가 행해졌다는 것이다. 큰 축제가 이런 산골마을에서 행해진 것은 특징적인 생업방식 때문이다. 즉 양자산을 생업터전으로 삼고 있는 사람들의 축제가 성덕리의 마을제의와 결합하여 전승되어 왔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축제가 일제강점기에도 큰 변화없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는 것을 당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당문서에는 고창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지서의 순사나 면서기 등을 대상으로 한 접대비가 지출되고 있었다. 특히 순사들이 고창제를 인정할 수밖에 없는 신이한 경험담까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이러한 사정은 주민들의 고창제를 유지시키려는 노력이 얼마나 강했는가를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런데 1975년의 당문서를 보면 고창제의 제물목록이 확연히 축소되어 나타난다. 굿패를 불렀다는 기록도 사라진 점으로 미루어 도당굿을 행하지 않고 산제사 중심의 유교식 제의만이 행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변화의 중심에는 미신타파를 내세운 새마을운동이 있으며, 동시에 양자산이라는 생업적 터전을 상실한 인근 주민들의 출입이 끊겼다는 사실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성덕리의 고창제는 1999년에 양평문화원의 지원을 받아 과거의 고창제를 재현하려고 하였으나 1회성 행사로 그친다. 이후 2005년도 국수당을 개축하고 마을의 신들을 한 곳으로 모으는 작업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신목은 없어지고, 신위로 대신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과거처럼 고창을 벌이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나, 현재 전승내용은 윷놀이와 사물놀이 패들을 부른 행사용으로 전락한 실정이다.

    영어초록

    Generally speaking, it is believed that Korean traditional culture was seriously ruined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During this time, national identity was often disrespected and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 was disturbed in many ways. In this regard, it was widely accept that folk beliefs were also damaged under the hardship of Japanese colonization.
    Field research recently conducted at a shrine in Seongdeok Village, Yangpeong County uncovered a dangmunseo, a register listing the annual offerings at the shrine as well as the donors’ names. Having examined this register, a few interesting facts about this region were discovered. For example, villagers believed in several deities, such as Gooksudang (shrine to the village deity), Dodang halabeoji, Dodang halmeony, Cheopdang, and Jangseung. In particular, people enshrined Cheolma (a small steel horse figure that blacksmiths made to wish for wealth and safety), which shows that blacksmithing was in this area.
    The dangmunseo describes not only Confucian rituals but also shamanic tutelary rites. First, a Confucian -ritual was carried out, and then a shamanic rite followed for the next three days. At the same time, a big festival was held, so people opened markets; gambling places, etc. to entertain villagers. Since Seongdeok Village is located on the corner of Mt. Yangjasan, which isstate-owned land, woodcutters used the forest frequently. The festival was carried out as a ritual for Seongdeok Village and a festive event for the people who relied on the mountain for a living.
    Seondeok Village’s case as documented in the dangmunseo clearly shows that village’s ritual and festival continued despite the colonization. The register also shows that villagers had to spend money to entertain (or bribe) Japanese policemen or township officers. Also included are documented stories of the police’s mysterious experiences, who eventually felt the need for the rituals. This line shows the villagers’ efforts to maintain their ritual.
    However, changes in dangmunseo appeared in 1975. The list of offerings was definitely reduced. There is no evidence of shaman rites being conducted; only Confucian rituals were prepared. At the center of these changes was the Saemaeul Movement (new community movement forced by the state government starting in 1970s). Additionally, people who used go to Mt. Yangjasan stopped their work in the mountain.
    In 1999, people in Seongdeok Village tried to revitalize their village shrine ritual with the sponsorship of Yangpeong Cultural Centre; however, it happened only once. Since 2005, village people rebuilt the old shrine and looked for deities. Unfortunately, at some point a sacred tree to the gods had been demolished, and it was replaced with tablets. Despite villagers’ efforts, it became a simple event with a few folk games and traditional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