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밀양 지역 명승 형성양상 – 「밀양십경」ᆞ「금시당십이경」을 중심으로 (Formation of Famous Spots in Miryang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Ten Scenes of Miryang and The Twelve Scenes of Geumsidang)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06
25P 미리보기
조선시대 밀양 지역 명승 형성양상 – 「밀양십경」ᆞ「금시당십이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지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지도연구 / 13권 / 1호 / 41 ~ 65페이지
    · 저자명 : 김지현

    초록

    본 논문은 조선시대 밀양의 명승에 대한 인식과 형성양상을 살피기 위해 조선시대 문집과 고지도, 그림을 중 심으로 살펴보았다. 밀양의 명승을 읊은 작품으로는 15세기 서거정의 「밀양십경」, 19세기로 추정할 수 있는 「금시 당십이경」 두 작품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이 두 자료를 중심으로 현 밀양팔경의 명승지를 고찰하였다. 서거정 의 「밀양십경」 속에 보이는 우령산, 마암산, 응천, 삽포, 용두산, 율도, 산성산, 나현(날치고개), 삼문동 들, 남포 등 의 장소와 「금시당십이경」에 보이는 산성산, 용두산, 무봉산(아동산), 마암산, 영남루, 밀양읍성 그리고 율도, 삼문동 들은 모두 영남루를 중심으로 펼쳐진 공간 속에 자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금시당십이경」 속에서 월연 정이 현재 밀양 팔경이 되었음을 살폈다. 지금의 밀양 팔경 중 조선시대에 시제 및 소재가 된 곳은 영남루와 월연 정을 제외하고 거의 전하지 않는다. 이처럼 밀양 명승과 관련한 시문이 적은 것에는 밀양지역 문인들의 문집이 임 진전쟁 이후 18세기 이전까지 간행되지 못했던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이후 개별적으로 밀양 지역의 개인의 정 자를 읊은 작품과 화첩이 있으나, 작품 속 장소가 밀양의 명승으로 밀양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곳으로는 자리 잡지 못하였다. 살펴본 바처럼 밀양의 승경을 읊은 작품은 도리어 많지 않으며, 현 밀양팔경을 만든 것은 조선 시대의 시문이 아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In order to examine the recognition and formation of famous Buddhist temples in Miry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school focused on the literature, maps, and paintings of Joseon Dynasty. Among the works that introduced the famous Buddhist temples of Miryang, only two works were identified: Seo Geo-jeong's "The Ten Scenic Views of Miryang" in the 15th century and Geumsidang 12th Scene, which can be presumed to be the 19th century. Therefore, these two materials were used to consider the scenic spots of the Eight Scenic Views of Miryang. Uryeongsan Mountain, Maamsan Mountain, Eungcheon Mountain, Sappo, Yongdusan Mountain, Yuldo Mountain, Nahyeon(nalchi hill), Sammundong-dong, Nampo Mountain, and Mt. Yongdusan Mountain, Mubongsan Mountain(Ai Mountain), Maamsan Mountain, Yeongnam-ru, Miryang-eupseong Fortress, and Yul-dong. In "The Twelve Scenes of Geumshidang," it was observed that Wolyeonjeong is now the Eight Scenic Views of Miryang. Among the current Eight Scenic Views of Miryang, few of them were mentioned except for Yeongnamnu and Wolyeonjeong. The fact that there are so few poems related to the famous Buddhist temples in Miryang is related to the fact that literary works of writers in Miryang were not published until the 18th century after the Imjin War. Since then, there have been works and albums that recited individual pavilions from Miryang, but the place in the work has not been established as a place loved by Miryang people due to the famous scenery of Miryang. As we have seen, there are not many works that recite the Eight Scenic Views of Miryang,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ot a poem of the Joseon Dynasty that produced the Eight Scenic Views of Miry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지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