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다이마만다라(當麻曼茶羅)의 조성과 전사본(轉寫本)의 유통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Japanese Taima Mandala)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12
40P 미리보기
일본 다이마만다라(當麻曼茶羅)의 조성과 전사본(轉寫本)의 유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77권 / 183 ~ 222페이지
    · 저자명 : 이승희

    초록

    다이마만다라는 서방극락정토를 표현한 불화의 한 유형이다. 763년 다이마데라(當麻寺)에 최초로 봉안된 이 불화는 이후 수많은 전사본(轉寫本)이 제작되는데, 그 원형이 되는 작품과 전사본을 총칭하여 다이마만다라라고 부른다. 다이마만다라는 쥬조히메(中将姫)라는 나라시대 귀족의 딸이 처음 제작하여 다이마데라에 봉안하였다고 알려진 불화이다.
    이 불화는 화면의 구성과 도상이 당대 정토종의 대가인 선도(善導, 613-681)의 교학적인 해석에 근거하여 제작되었다. 하지만 다이마만다라의 연기설화는 후대에 성립된 것으로 400여년이 지난 가마쿠라시대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연기설화를 만들어내고 다이마만다라가 재인식되는 배경에는 11세기 중반 쇼토쿠태자의 신격화와 고묘의 성지화, 그리고 일본 고유의 산악종교인 슈겐도(修験道)의 영향으로 인한 타이마데라의 성지화, 그리고 정토종의 개창이 있다. 특히 호넨의 제자 쇼쿠화상(證空和尙, 1177-1247)은 다이마만다라를 적극적으로 전사(傳寫)하여 널리 유포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쇼쿠 주변의 정토종승 뿐 아니라 타종단의 사찰에서도 점차 다이마만다라를 전사하여 신앙의 대상으로 모셨다. 이러한 전사문화는 13세기 중엽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무로마치와 에도시대까지 이어졌다. 다이마만다라를 전사하는 방식은 동일한 크기, 혹은 1/4, 1/16, 1/100 크기의 불화로 제작하는 방식과 목판에 판각하여 인쇄한 후 채색하는 방식 두 가지가 널리 활용되었다.
    일본에서 다이마만다라는 일반 불화와 다른 성보(聖寶)로서 독보적인 가치를 지닌다. 크기와 방식은 다르지만 다이마만다라를 모사하는 전사 문화는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독특한 일본의 전통문화이다. 전사 방식 뿐 아니라 다이마만다라와 그 연기설화에서 파생된 <산월아미타내영도>와 그밖에 다이마만다라 에마키, 그리고 본문에서는 자세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다이마데라에서 행해지고 있는 이십오보살내영회 등은 매우 일본적인 정토문화현상이다.

    영어초록

    The Taima mandala is a type of Buddhist image representing the Western Pure Land. First enshrined at Taimadera in 763, it has since been copied in numerous transcriptions in the exact same form, and these original works and transcriptions are collectively known as Taima mandala. The Taima mandala is a Buddhist painting first created in 763 by the daughter of a Nara nobleman named Chūjōhime and dedicated at Taimadera Temple. The painting’s composition and iconography were based on the doctrinal interpretations of the great Pure Land Buddhist master of the dynasty of Tang China, Shandao (善導, 613-681). However, the story about the origin of the Taima mandala is a later creation that is believed to have been formed in the Kamakura period, more than 400 years later. The creation of the story about the origin and the reappreciation of the Taima mandala are attributed to the deification of Prince Shotoku and the sanctification of the tomb in the mid-11th century, as well as the sanctification of Taimadera due to the influence of Shugendo (修験道), Japan’s indigenous mountain religion, and the founding of the Jōdo shinshū. In particular, Hōnen’s (法然, 1133-1212) disciple Shōkū (證空, 1177-1247)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ctively copying the Taimadera and disseminating it widely, and the temples of other religions as well as those of the Pure Land Buddhists around Shōkū gradually copied the Taimadera and enshrined it as an object of worship. This culture of copying began to take shape around the middle of the 13th century and continued through the Muromachi and Edo periods. Two methods of copying Taima mandalas were widely used: the same-sized Buddhist images, or images in 1/4, 1/16, and 1/100 scale, and woodblock prints, which were then coloured. In Japan, Taima mandalas have a unique value as sacred images that differ from ordinary Buddhist texts. The culture of transferring images such as Taima mandalas, which are copied in the same shape even if they are different in size, is unique. Not only the copying method, but also the Sanwoel Amitabha Naeyeongdo, which is derived from the Taima mandala and the story about its origin, the Taima mandala Emaki, and the Twenty-Five Bodhisattva Naeyeonghoe, which is not mentioned in this text, are very distinctive Japanese Pure Land cultural phenome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