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일본 대외원조 환경변화와자민당의 ODA 정책대응 (Changes of the ODA Politics and Liberal Democratic Party's Aid Strategy in the 1990s of Japa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08.02
32P 미리보기
1990년대 일본 대외원조 환경변화와자민당의 ODA 정책대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담론201 / 10권 / 4호 / 39 ~ 70페이지
    · 저자명 : 최은봉, 박명희

    초록

    본 논문은 일본ODA 정책결정 과정에서 주요 참가자의 영향력에 주목하고, 1990년대 자민당을 비롯한 정치집단의 영향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대외원조 정책영역이 직접적으로 득표와 연결되는 분야가 아니며, 정보수집 및 전문성 확보 면에서 관료우위의 분야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1990년대 자민당 일당지배 체제의 붕괴, 정관계 개편을 통한 정치개혁의 움직임, 경제의 악화, ODA관련 각종 부작용에 의한 여론년대 자민당은 지속적으로 대외원조 정책의 효율성과 전략성, 실시체계의 일원화 및 규모의 축소를 제안하고 있다. 자민당의 제안은 일본 대외원조 정책의 기본원칙, 규모, 실시체계 개편 등을 통해 실현되고 있다. 재정 악화가 정점을 이루었던 1997년 자민당은 당내 ODA관련 정책조직인 대외경제협력특별위원회 및 외교조사회에 나카야마(中山太), 오부치(小 三) 등의 영향력 있는 의원들을 배치시켰다. 또한 당내 ODA개혁워킹팀을 설치하고, 좌장으로 고우무라(高村正彦) 전 외상을 임명하여 전문성 확보 및 외무성에 대한 영향력 행사의 통로 활용하였다. 대외원조 정책결정 과정에서 정치집단의 영향력 확대는 일본의 ODA가 정치집단의 단기적 정치 이득을 위해 국제사회의 보편적 가치와 멀어지게 될 위험을 내포하는 한편, 일본 국내 시민의식을 보다 민감하게 정책에 반영할 것이라는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글로벌 차원의 부의 재분배에 대한 일본인의 시민의식이 기반이 된 일본 대외원조 정책의 재정비가 동아시아 및 국제 사회에서 일본이 도덕적 책무를 이행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explore that the influence of political groups including Liberal Democratic Party on ODA policy has been strengthened in 1990s. Existing researches have emphasized on mainly bureaucrats' predominance in the ODA policy making process.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ODA issue isn't directly conected with vote. Second, the bureaucrats have expertism and information gathering ability on foreign policy.
    However, in the 1990s the collapse of one-party rule system by the LDP, the economic deterioration and the aggravation of the public opinion about the ODA brought the situation to be changed. The LDP begun to engaged in ODA policy formulation process. It focused on modification of aid's system, review of scope and development of new strategy.
    There are conflicting prospects based on enlargement of politicians' influence on the ODA policy making process: increasing citizen's conscious on foreign aid and overwhelming impact of domestic politics on the ODA poli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담론201”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