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雪松門中 출신 畵僧 慈雲堂 指演의 활동과 助力者 (A study on monk-painter Jaundang Jiyeon and the assistance he received from the Seolsong Cla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7.12
26P 미리보기
雪松門中 출신 畵僧 慈雲堂 指演의 활동과 助力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22호 / 5 ~ 30페이지
    · 저자명 : 이용윤

    초록

    이 글에서는 조선후기 불교계에 존재했던 화승과 승려문중의 상호 관계를 해석하기 위해 慈悲畫師이자 禪德으로 칭송받았던 慈雲堂 指演을 주목해 보았다.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영남에서 활동한 지연은 任閑의 화풍을 계승한 화승으로 은해사와 통도사에는 그가 조성한 불화와 참여한 불사가 뚜렷하게 남아있으며 후대의 영향도 상당하였다. 이처럼 수화승이자 선덕으로 이름이 높았던 지연의 활동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그의 출신 문중인 설중문중과 연결하여 살펴보았다.
    18세기 후반 지연은 道峰有聞의 제자로 雪松門中의 일원이 되었다. 四溟門中과 鞭羊門中의 법맥을 계승한 설송문중은 지연이 화승으로 은해사와 통도사에서 활동하는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이를 반증하듯 1786년 도봉유문의 세거사찰인 백흥암 영산전 불사에서 수화승으로 두각을 나타낸 후 同門의 도움 속에 <은해사 거조암 영산회상도>를 조성하고 은해사의 산내암자인 普德窟과 彌陀庵을 창건·중수하여 은해사에 세거하는 설송문중으로써 역할을 다하였다. 한편 1792년에는 통도사에 진출하여 <통도사 괘불도>와 <통도사 삼장보살도>를 조성하면서 영남의 대표적인 수화승으로 부상하였다. 이러한 지연의 행보는 은해사 설송문중과 연결된 통도사 설송문중의 도움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통도사 불화 제작에서 주목되는 점은 지연이 문중에만 의존하지 않고 화주와 공덕주로 나서 조성비용을 마련하는 등 불사의 실질적 주체로 활동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연의 의지와 공덕은 1764년에 조성한 <통도사 괘불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1792년에 새롭게 괘불도를 제작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으며, 아울러 사명유정의 후손으로 <통도사 삼장보살도>에 진신사리를 수호하고 사찰을 중창한 사명유정을 호법신으로 그릴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Monk Jaun Jiyeon(慈雲智演), who obtained fame as a virtuous monk-painter, in an attempt to determine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monkpainters and Cians of monk-artist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1392-1910). Jiyeon(智演), who was active in Yeongnam province from the late eighteenth to early nineteenth century, inherited the painting style of his master Imhan. Both Eunhaesa Temple and Tongdosa Temple keep Buddhist paintings made by him, while some of their buildings contain traces left by him. He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his followers.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Jiyeon joined the Seolsong(雪松) Clan as a disciple of Dobongyumun(道峰有聞). Having inherited the Buddha’s teachings from the Samyeong(四溟) and Peonyang(鞭羊) Clans, the Seolsong Clan provided the basis for Jiyeon’s activities as a monk-painter at Eunhaesa and Tongdosa Temples. He came to distinguish himself as a monk-painter in his work on Yeongsanjeon Hall at Baekheungam Hermitage in 1786. At the recommendation of the same Clan, he did a Buddhist painting (The Vulture Peak Assembly) for Geojoam Hermitage at Eunhaesa Temple. He also took part in the work of building and rebuilding the Bodeokgul Grotto and Mitaam Hermitage of Eunhaesa Temple, thus fulfilling his role as a monk-painter.
    In 1792, he moved to Tongdosa and made a hanging painting and a painting of Three Bodhisattvas there. By then, he had become a monk-painter of Yeongnam Province. It can be said that he owed much to the assistance of the Seolsong Clan at both Eunhaesa and Tongdosa for his successful career as a monk-painter.
    One notable thing about his production of Buddhist paintings at Tongdosa is that h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construction of some buildings at the temple, raising funds for the work, without relying on the help of the Clan to which he belonged. Thanks to such efforts, he was able to start the work of making a new hanging painting for Tongdosa in 1792, in addition to the existing one made in 1764. Such a background enabled him, as a descendant of Samyeong Yujeong(四溟惟政), to portray his ancestor, who protected the genuine sarira of Sakyamuni Buddha and rebuilt the temple, as a guardian deity of Buddhism in his painting of the Three Bodhisattvas now kept at Tongdo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