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천도교청년당의 지도이념과 조직체계 (The guiding principle and structural system of the Young Men’s Party of the Cheondogyo)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09.08
36P 미리보기
천도교청년당의 지도이념과 조직체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3호 / 381 ~ 416페이지
    · 저자명 : 성주현

    초록

    1920년대 들어 국내민족운동은 크게 민족주의세력과 사회주의세력으
    로 분화되었다. 1920년대 초반에는 민족주의세력들이 중심이 되어 민족
    운동을 주도해 갔다. 그러나 사회주의사상을 수용한 청년들이 사회운동
    의 중심세력으로 교체되면서 민족운동은 그 주도권을 놓고 경쟁과 연대
    를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1920년대 중반 들어 민족운동의 중
    추기관으로 성장하고자 하였던 천도교청년들은 선전적 단체의 성격을
    가진 기존의 천도교청년회를 ‘근대적 정당’의 개념을 도입한 천도교청년
    당을 창당하였다. 뿐만 아니라 청년당의 개념을 새롭게 인식하고자 하
    였다. 즉 당이란 ‘동일한 주의와 목적, 구성원, 조직, 지도자 그리고 방책
    이 있어야 하며, 이를 유기체로서의 운영이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청년당은 ‘천도교의 주의·목적을 사회적으로 달성코자 이에
    시종할 同德으로써 조직된 유기체’였던 것이다. 나아가 이를 실현하기
    위해 주의·강령·약속·실행조건 등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를 ‘절대
    적 복종’이라는 규율로 청년당의 운영을 규정화하였다.
    한편 청년당의 창당 초기에는 ‘불문율에 의한 결의제’를 통해 조직을
    운영하였다. 이는 당으로써 조직체계를 갖추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보혁 분규로 인한 내분 때문이었다. 그렇지만 점차 교단이 안정되고 지
    방조직을 확대됨에 따라 조직체계의 정비가 요구되었다. 더욱이 민족운
    동의 중추기관으로서의 역량을 갖추기 위해서는 일사불란한 조직체계가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요구되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청년당은 불문제
    를 폐기하고 성문당헌을 제정하고 당 조직의 계선화를 도모하였다. 그
    결과 청년당은 인내천집중제를 거쳐 민주집권제를 확립하였다. 민주집
    권제를 채택한 청년당은 상하관계의 당본부-지방부-접-연이라는 조
    직체계를 갖추었다. 또한 의결기구로서 당본부에는 전당대표대회과 중
    앙집행위원회, 지방부에는 지방당원대회 혹은 지방집행위원회, 그리고
    접에는 접원회를 두었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성문당헌을 제정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청년당이 강력한 민주집권제를 마련한 것은 첫째 당의
    효율적 운영, 둘째 천도교단의 전위적 역할, 셋째 민족운동의 중심세력
    으로 확고히 하기 위함이었다.

    영어초록

    The force for the domestic racial movement was divided into the force of
    nationalism and socialism in 1920s. In the early 1920s the force of
    nationalism led the campaign for liberation of the Korean people, however,
    as young people that accepted socialism appeared as the central force of a
    social movement, the two forces of the racial movement tried to expand
    their influence through competition and solidarity in order to hold the
    leadership.
    In the middle of 1920s young people of the Cheondogyo who wanted to
    grow into the wheels of the racial movement established the Young Men’s
    Party of the Cheondo religion with the concept of a modern political party
    from the existing Young Men’s Association of the Cheondogyo with the
    disposition of propaganda. And also they wanted to newly recognize the
    concept of the Young Men’s Party, that is, they recognized that a party
    should have the doctrine and aim of identity, its members, organization,
    leader and strategy, and it should be operated like an organism.
    Accordingly, the Young Men’s Party was an organism formed by the
    believers of the Cheondogyo to accomplish its doctrine and aim socially.
    Besides they prepared the terms to realize its doctrine, code of conduct,
    promise and fulfillment. And they enacted the provisions of its operation
    under the rules of “unconditional obedience”.
    They operated its organization through resolution system based on the
    common law in the early stage of its establishment because of the
    unpreparedness of its organizational system as a political party and its
    internal trouble due to a dispute between conservatives and reformists,
    however, as the Cheondogyo order settled down and its local system
    expanded, it was required to organize its system. Furthermore, ordered
    organizational system was required first to be equipped with capabilities as
    a central organization for the racial movement.
    Accordingly, the Young Men’s Party abolished its resolution system based
    on the common law and enacted its written party constitution. As a result,
    it established a democratic power system through the centralization on the
    basis of the equality of human rights, and then it organized a system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composed of a party headquarters, district
    department, Jeob and Yeon. As its decision-making body, there were a
    party representative convention and a central executive committee in the
    party headquarters, and there was a convention of district party members or
    a district executive committee in the district department, and in Jeob there
    was a Jeob committee. The written party constitution was established in
    order to support its organizational system. The reason why the party
    established its strong democratic power system was to operate the party
    efficiently, and secure the role of the vanguard of the Cheondogyo and
    central force of the racial m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