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봉수당진찬도>의 소리풍경 연구 (A Study on the Soundscape of Bongsudangjinchand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0.11
26P 미리보기
&lt;봉수당진찬도&gt;의 소리풍경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문사회질학회
    · 수록지 정보 : 융합인문학 / 8권 / 4호 / 69 ~ 94페이지
    · 저자명 : 도지원, 노시훈

    초록

    이 연구는 1795년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와 함께 화성에 머문 8일 동안의 주요 행사를 그림으로 기록한≪화성능행도병(華城陵行圖屛)≫ 중 한 작품인 <봉수당진찬도(奉壽堂進饌圖)>의 의례 속에 어떤 소리가보이는지, 그리고 그 소리에 무슨 의미가 담겨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그림 속에 나타난 당시의 소리풍경을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화성능행도병≫의 바탕이 되는 『원행을묘정리의궤』를 통해<봉수당진찬도>에 나타난 의례의 순서와 절차, 쓰인 정재와 음악, 창에 대해 분석하였다. 정조가 직접 하교하여 시행된 정재로는 헌선도, 포구락, 무고, 아박, 향발, 학무가 추어졌으며, 반주곡으로는 여민락, 환환곡, 오운개서조곡, 천세만세곡, 유황곡이 연주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정재와 함께 불린 창의 가사를분석한 결과 송축, 나라의 풍요로움, 올바른 음악 추구, 어머니를 향한 자식의 효의 의미가 있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결국 정조는 이 의례를 통해 효를 강조함으로써 억울하게 죽은 아버지 사도세자를 신원하여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고자 한 것이다. 그림에서는 상단에 많은 소리가 보였는데 정재를 추는 여령들과 악기를 연주하고 있는 악공들의 모습이 두드러져보였다. 진찬연에서 종합적인 의식을 이끌며 진행하는사회자 역할을 한 여집사와 정리사의 소리도 보이며 의빈척신에게 음식과 술이 부족한지 물어보며 나눠주는 여관들의 소리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봉수당진찬도>는 되도록 의례의 많은 소리를 화폭에 담아 재현함으로써 정조의 정치적 의도를 충실히 반영하려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그림에 나타난의례의 소리풍경을 분석하여 소리를 정치적으로 활용하는 정조 시대의 소리문화를 밝힌 데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undscape of King Jeongjo era by analyzing what sounds are visible in the rituals of Bongsudangjinchando, one of the paintings of Hwaseongneunghaengdobyeong, which recorded major events during the 8 days that Jeongjo spent in Hwaseong with his mother Hyekyeonggung Hong in 1795, and what meanings are contained in the sounds. To this end, the order and procedure of the rituals shown in Bongsudangiinchando, the jeongjae (dance), the music, and the chang (song) used in it were analyzed through Wonhaengeulmyojeongriuigwe, which is the basis of Hwaseongneunghaengdobyeong. Heonseondo, pogurak, mugo, abak, hyangbal, and hakmu were performed as jeongjae that Jeongjo ordered directly, and yeominrak, hwanhwangok, oungaeseojogok, cheonsemansegok, and yuhwanggok were performed as accompaniment music.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lyrics of the chang sung together with jeongjae, it was confirmed that they contained meanings of blessing, the richness of the country, the pursuit of right kind of music, and the filial piety toward the mother. After all, through these rituals, Jeongjo emphasized filial piety to relieve the resentment of his father, the Crown Prince Sado, who died unjustly, and to strengthen his political position. In the picture, there were many sounds appearing at the top, and the appearances of the yeoryeong (dancers) dancing the jeongjae and the court musicians playing musical instruments stood out. The voices of the yeojipsa (mistresses of ceremonies) and the jeongrisa (director of ceremonies) who led the rituals of the jinchanyeon (60th birthday banquet) were also seen, along with the voices of the yeogwan (court ladies) asking people if they needed more food and alcohol. As such, it can be said that Bongsudangjinchando tried to faithfully reflect Jeongjo's political intentions by reproducing as many sounds of the rituals on canvas as possibl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ound culture of the Jeongjo era, when sound was politically utilized, by analyzing the soundscape of the rituals shown in the pi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