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봉암ㆍ진보당ㆍ사회민주주의 (Cho, Bong-amㆍJinbo-dangㆍSocial Democrac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0.09
26P 미리보기
조봉암ㆍ진보당ㆍ사회민주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4호 / 441 ~ 466페이지
    · 저자명 : 노경채

    초록

    조봉암은 일제강점기에 조국의 독립과 민족의 해방을 위해 사회주의 노선에 서서 적극적인 민족해방운동을 펼쳤으며, 해방공간에서는 ‘비좌비우’, ‘비미비소’의 중간파 노선을 견지하면서 자주적 민족국가 건설을 위해 힘썼다. 그리고 분단국가가 성립된 이후 그는 진보당운동을 통해 사회민주주의 사회의 건설을 지향한 평화통일론자였다. 즉 그는 역사적 과제를 외면하지 않은 실천적 민족해방운동가이자, 정치지도자였다.
    하지만 조봉암의 정치사상과 관련하여, 그는 일제강점기에 공산주의자였으나, 8ㆍ15 후 ‘전향’하여 민족적 사회민주주의자가 되었다는 것이 일반적 평가이다. 이러한 분절적 인식은 사회주의와 민족주의를 대척적 개념으로 파악한 데에다, 사회민주주의 지향성을 8ㆍ15 이후의 소산으로 이해한 데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조봉암이 사회민주주의적 견해를 대외적으로 밝힌 것은 1946년 6월 성명서를 통해서였지만, 8ㆍ15 이전에 그 지향성을 지녔을 개연성은 충분히 있다고 하겠다. 그의 ‘비미비소’ 노선 또한 사상적 전환에서 비롯된 측면보다 ‘해방’ 후 자주적 민족국가 건설을 위한 국제정세 인식의 변화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조봉암의 단독정부 참여는 이승만의 장기집권과 미국의 대한정책에 일조하였지만, 자신의 정치노선을 실현하기 위해서도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몇 차례 시도 끝에 어렵사리 혁신 대중정당을 표방한 진보당을 조직하였다. 진보당의 정치 이념과 노선은 사회민주주의와 평화통일론으로 압축될 수 있다.
    무엇보다 진보당 강령, 정책의 내용이 8ㆍ15 이전 민족해방운동정당이 내세운 정강, 정책이나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1941년에 발표한 「대한민국 건국강령」의 그것과 전체적 맥락에서 내용을 같이하며, 많은 조항에서 거의 비슷하다는 점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이는 자주적 통일민족국가 수립과 민족구성원 모두의 권익을 염두에 둔 결과라 하겠다. 때문에 진보당의 사회민주주의 지향은 일제강점기 민족해방운동의 연장선 위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조봉암, 진보당의 평화통일 노선은 그들이 지향하는 사회민주주의의 이념적 특성과도 결부된다. 따라서 8ㆍ15 이전, 민족해방을 전취하기 위해 통일전선을 형성하던 시기에 민족국가 수립방안이 사회민주주의적 국가건설로 모아졌고, 8ㆍ15 이후 중간파 정치세력이 좌파나 우파에 비해 적극적인 민족통일전선 노선을 걸었던 것은 당연한 귀결이라 하겠다. 조봉암의 진보당이 사회민주주의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서도 조국의 평화적 통일은 가장 시급한 선결과제였다.
    요컨대 조봉암이 이끈 진보당은 당면한 민족모순의 해결과 불합리한 사회적 요소의 척결을 동시에 추구하였다. 그 노력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평화통일 노선으로, ‘진정한 복지사회’ 건설을 위한 사회민주주의 노선으로 귀결되었다. 그들이 견지한 노선은 일제강점기 우리 민족해방운동의 발전적 계승이자, 분단체제하 민족민주운동의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는 점에서 매우 큰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영어초록

    Cho, Bong-am participated in the active national independent movement as a socialist for Korean independence and liber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ince Korean independence in 1945 he focused on establishing a thoroughly independent country by maintaining a neutral attitude from “non-leftist and non-rightist parties” and “non-U.S. and non-Soviet.” He was a peaceful unionist desiring to establish a social democratic society through the progressive party movement after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r. In other words, he was a political leader and national liberationist who tried to perform historical duties.
    In relation to Cho, Bong-am’s political ideas, he was a communi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turned into a national social democrat after 8ㆍ15 Korean Liberation. It seemed that this segmental knowledge was based in understanding socialism and nationalism to antipodal concept and intension of the social democracy to production of 8ㆍ15 Korean Liberation hence. Even though Cho, Bong-am made public a view of social democracy in June 1946 through an official statement, it could be understood as him already having the intention of adopting social democracy before 8.15 Korean Liberation. His “non-U.S. and non- Soviet” line will need to be understood from a change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wareness for construction of independent nation after the Korean Liberation than a change of his political ideas.
    Even if Cho, Bong-am helped the Lee, Seung-Man government to remain in rule and to improve the American policy toward Korea, he also had worked very hard to establish his own political line. At last he organized the Jinbo-dang(Progressive Party). The political ideas and lines are classified as social democracy and peaceful unification.
    Above all, we need to consider that the contents of the platform and policy of Jinbo-dang were almost the same as the platform of The National Independent Movement Party before 8.15 Korean Liberation and 「Founding Platform of the Republic of Korea」 published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1941. This is the result of the efforts to establish an independent unified nation, by considering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nation.
    I consider Cho, Bong-am, the Jinbo-dang’s peaceful unification line in relation to social democracy ideals. Therefore, before 8ㆍ15 Korean Liberation, Jinbo-dang focused on building a social democratic nation during times for the development of a united front to achieve national independent, and after the 8ㆍ15 Liberation, it was the natural product of the centrist political force who leaned toward the line of active democracy uniting both leftist or rightist parties. It was one of the top prerequisites for achieving Korean peaceful unification that Cho, Bong-am’s Jinbo-dang had established the social democracy nation.
    In brief, Cho, Bong-am’s Jinbo-dang pursued to solve the urgent national problems and to eradicate the illogical social requisites. These efforts accomplished the social democracy line to build a ‘real welfare society’ with the peaceful unification line following the procedures of democracy. Their persistent line had kept developing the Korean independent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had a great historical meaning for Koreans in terms of offering clues of the national democracy movement after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