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 三千幢의 性格과 推移 (A Study on the Nature and Progress of Samcheondang(三千幢) in Silla(新羅))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8.10
21P 미리보기
新羅 三千幢의 性格과 推移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탐라문화 / 59호 / 105 ~ 125페이지
    · 저자명 : 이경섭

    초록

    신라의 삼천당은 진흥왕 5년(544) 大幢과 함께 가장 이른 시기에 왕경지역에 설치되었던 군사조직이다. 이와 관련된 기록이 태종무열왕 때 인물인 취도 열전에서 확인되는데, 이 글에서는 삼천당의 운용 양상을 검토하여 그 성격을 분명히 밝히려 하였다. 태종무열왕 5년에 벌어진 조청성 전투는 신라가 백제와 고구려에게 북쪽 변경의 33성을 빼앗긴 국가적 위기 상황 아래에서 일어난 사건이다. 이에 태종무열왕은 김흠운이 출전한 낭당이 포함된 군사를 일으켜 조천성을 공격하였으나 실패하자 다시 취도의 삼천당을 출전시켰다. 이때 김유신의 부대가 함께 출전하여 조천성(도리천성)을 탈환하였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취도가 배속된 삼천당은 국가적인 위기상황에 해당하는 긴급한 상황에 주력군단들을 예비적으로 지원하는 부대로서 활동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취도처럼 승려였던 인물도 자원하여 배속될 수 있었던 병원 구성의 방식으로 보아 강력한 전투력을 보지한 군단은 아니었던 듯하며, 주력군단의 예비지원부대의 성격이 강했던 것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진흥왕 5년에 대당과 함께 삼천당이 설치되었던 이유 또한 예비지원부대의 성격으로 대당에 대응하여 창설되었던 것으로 보았다.
    태종무열왕대까지 이와 같이 성격으로 존재하던 삼천당은 통일 이후 신라의 왕경에 국왕권과 더욱 밀착된 대규모 군단인 9서당이 들어서게 되면서 왕경에서의 존재 이유가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마침 이 무렵 지방제도가 9주 체제로 정비되면서 지방의 군제 또한 새롭게 정비되는 계기를 맞이하였는데 왕경의 예비지원부대의 성격을 지녔던 삼천당은 삼천당주―삼천감―삼천졸 계열의 군관조직을 근간으로 10정 조직으로 전환되었다. 10정은 대대감―소감―화척 계열의 기병부대를 중심으로 하면서, 이를 예비적으로 지원하는 기존 삼천당의 삼천당주―삼천감―삼천졸 계열의 군관조직이 결합하여 새롭게 성립한 지방군 체제였음을 밝혔다. 이와 같은 이면의 역사적 사실 속에서 軍號 十停의 분주에 십정의 異稱으로 삼천당이 기록되었던 것이다.
    왕경의 삼천당이 십정 조직으로 전환 배치되어 지방군 체제 속에 새롭게 정립된 시기는 외삼천이라고도 불렸던 신삼천당이 설치되던 문무왕 12・16년 무렵이 아니라 9주 체제가 완비되는 신문왕 5년에 가까웠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Silla's Samcheondang(三千幢) was installed in the fifth year of King Jinheung(眞興王)'s reign(544), and its specific activities were introduced in the biography of Chuido(驟徒) in Samguksagi(三國史記) as the unit to which he was assigned. Furthermore, it was recorded as "Or call it Samcheondang[或云三千幢]" in the Bunju(分註) to explain the Sipjeong(十停) of Mugwan(武官) in Jikgwanji(職官志). As for the origin of Samcheondang during the middle ancient period(中古期) of Silla, it was estimated to have been run as an independent unit based in the Capital as a preliminary backup forces unit against Tang. Reflecting the corps organization and management in the old Tang-Samcheondang relations, Sipjeong installed after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was comprised of cavalry in the Daedaegam(隊大監) line and infantry in the Samcheondangju(三千幢主) line.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Silla's Samcheondang was present in the military system of early Silla and had certain impacts on the complete military system of Unified Sil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탐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