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용담할매, 근수당 최윤(謹守堂 崔潤)에 대한 소고 (Essay on “Yongdam Grandma,” Geunsu-dang Choi Yoon (謹守堂 崔潤))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0.12
44P 미리보기
용담할매, 근수당 최윤(謹守堂 崔潤)에 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57호 / 205 ~ 248페이지
    · 저자명 : 이상임

    초록

    본고는 동학의 2대 교주 해월의 딸이며, ‘용담할매’라고 알려진 근수당 최윤(謹守堂 崔潤)에 대한 전기사적 논문이다. 경주 용담정을 현재의 동학·천도교 성지로 회복시키기 위해 본격적으로 포덕이 시작된 시점은 1951년 양이제 종법사가 용담정으로 들어간 이후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양이제 종법사가 용담에 오기 이전인 1931년부터 용담정을 지키고 있었던 인물이 바로 해월의 딸 근수당 최윤이었다. 실제로 양이제 종법사가 큰 포덕을 이룰 수 있었던 것도 근수당 최윤의 소리 없는 포덕이 밑받침되었으리라는 점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최윤은 해월의 딸이라는 자신의 출생 때문에 평범함이 가져다주는 행복을 누리기가 너무 어려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불평 없이 최선을 다해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견디어내었던 것 같다. 최근에 최윤에 대한 관심은 유명한 동요 작곡가인 아들 정순철에 대한 연구가 좀 더 활발해지기 시작하면서부터라고 생각된다. 이렇게 이제까지 최윤은 동학의 2대 교주 해월의 딸로서 그리고 정순철의 어머니로서만 알려져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에서 더 나아가 근수당 최윤 자신으로서의 삶과 신앙에 대해 조명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바탕을 전제로 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첫 번째는 근수당 최윤의 일생을 전기사적 관점에서 소개한다. 즉 ‘해월의 딸’로서의 인간 최윤에 초점을 맞추어 시간적인 흐름에 따라 그 삶을 기술한다. 두 번째는 경주 용담정에 들어간 후 ‘용담할매’로서의 본격적인 그녀의 삶과 신앙에 대하여 살펴본다. 세 번째는 그녀의 삶과 신앙의 의의를 재조명해 본다. 여기에서는 앞 두 장의 논의를 염두에 두고 최윤의 삶과 신앙을 시간적 측면과 공간적 측면으로 나누어 그 의미를 논의한다. 즉 ‘글로컬리제이션(Glocalization)’ 개념을 염두에 두고 ‘전통(tradition) - 모더니티(modernity) - 포스트모더니티(postmodernity)’ 및 ‘로컬리티(locality) - 트랜스로컬리티(translocality)’ 개념을 매개로 최윤의 삶과 신앙을 살펴보면서 그 역사적 의미를 평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biographical thesis about Geunsoodang Choi Yoon (謹守堂 崔潤), the daughter of Donghak’s second-generation leader Haewol, and known as “Yongdam Grandma.” It can be said that the time when the mission began in earnest to restore Yongdamjeong in Gyeongju into the current holy land of Donghak·Cheondogyo was in 1951 after Yang Yi-Che, the highest honory leader entered Yongdamjeong. However, it was Haewol’s daughter, Geunsoodang Choi Yoon, who has been guarding Yongdamjeong since 1931, before Yang Yi-Che came to Yongdam. In fact, it can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Yang Yi-Che was able to make a great achievement in the missoin of Cheondogyo, based on Choi Yoon’s quiet evangelism.
    Because of her birth as a daughter of Haewol, it was too difficult for Choi Yoon to enjoy the happiness that ordinaryness brings. Nevertheless, she seems to have endured the life given to her without complaining. It is believed that the recent interest in Choi Yoon has been due to the more active research on her son Cheong Soon-Cheol, a famous nursery rhyme composer. So far, Choi Yoon has been known only as a daughter of Haewol, the second-generation leader of Donghak, and the mother of Jeong Soon-Cheol. In this study, however, I would like to go further and shed light on the life and faith as Choi Yoon herself. On this premise, this essay proceeds as follows.
    At first, I will introduce the life of Geunsoodang Choi Yoon from the perspective of biographical history. That is, it will be focused on Choi Yoon, a human being as a “daughter of Haewool,” and describes her life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Secondly, I will look at Choi Yoon’s life and faith as a “Yongdam Grandma” after entering Yongdamjeong in Gyeongju. Thirdly, I will reexamine the significance of her life and faith. Here, with the discussion of the previous two chapters in mind, Choi Yoon’s life and faith will be discussed from the aspects of time and space. In other words, with the concept of “globalization” in mind, I will evaluat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Choi Yoon’s life and faith as the medium of the concepts of “tradition - modernity – postmodernity” and “locality - transloc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학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