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트라우마상담 학부 교과목 개발 및 운영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rauma Counseling in the Undergraduate Course)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09
20P 미리보기
트라우마상담 학부 교과목 개발 및 운영 사례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1권 / 17호 / 707 ~ 726페이지
    · 저자명 : 이은아

    초록

    목적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에서 7년간 ‘트라우마상담’ 전공 교과목을 개발 · 운영한 사례연구이다.
    방법 이를 위해, ADDIE 모형에 기반하여 교과목을 설계하였고 매년 형성평가를 적용하여 교과목 내용을 수정하였다. 2015년부터2021년까지 7년간 7학기에 걸쳐 경북 소재 K대학 심리치료학과포함 16개 학과의 194명이 수강한 트라우마상담 수업의 내용 · 운영을 분석하여 사례연구로 제시하였다.
    결과 범죄피해케어 현장전문가의 심리학적 유능성을 함양하는 것을 교과목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교과목 내용중 지식역량으로 트라우마상담 이론을 구성하였고 실습역량으로 안전지대 그리기, 그라운딩 실시 및 녹음,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개정판(IES-R-K) 실시 및 해석, 모의 면접평가 촬영을 고안하였다. 또한 전문 직무역량으로 범죄피해면접평가보고서 작성, 면접평가역할극 실시 및 촬영, 발제자료 편집 등을 포함하였다. 본 교과목은 프로젝트기반학습(PjBL), 문제기반학습(PBL), 사례기반학습(CBL), 팀기반학습(TBL)의 통합적 형식으로 운영되었다. 본 교과목의 7년의 수업만족도 평균은 개설학과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주관식 수업만족도에서도 실습역량 향상과 현장과 높은 연결감을 나타냈다.
    결론 국내 학부과정에서 최초로 개설되어 7년간 운영된 트라우마상담 교과목을 개발하여 그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이론과 실습역량, NCS역량 등을 획득하기 위해 PjBL 등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학부 수준의 실습교육 운영의 실례를 남겼다. 16개 학과생의참여는 향후 트라우마(상담)교육에 있어, Trauma Informed Care의 적용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향후, 유사교과목 개설을 원하는대학에서 참조할 수 있는 사례로서의 의의를 지니며, 학부교과목으로서의 적합성과 실효성을 비교 및 검증하는 연구가 이어지길 제안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about developing and operating 7 years of ‘Trauma Counseling’ in the undergraduate course.
    Methods To this end, the curriculum was designed based on the ADDIE model and was revised by applying formative evaluation every year. The contents and operation of the trauma counseling class taken by 194 students in 16 departments including the Department of Psychotherapy at K University in Gyeongbuk over 7 semesters from 2015 to 2021 were analyzed and presented as a case study.
    Results A psychological competnecy as a Crime Victim Care Specialist was the subject objectives. in order to achieve this, trauma counseling theory was included as the area of knowledge competence. For the practical competence, drawing safety zone, practicing and recording Grounding, testing and interpreting Impact Event Scale-Revised, and filming simulation interview evaluation were included. For the counseling job competency, preparing a crime victim interview evaluation report, conducting and filming a role play for interview evaluation, and editing presentation materials were also included. This course was operated in an integrated format of project-based learning(PjBL), problem-based learning(PBL), case-based learning(CBL), and team-based learn ing(TBL). The average class evaluation for 7 years was higher than the average of the one of the department. In the subjective class evaluation, the improvement of their practical skills and a high sense of connection with the field were reported.
    Conclusions A trauma counseling course that was first opened in domestic undergraduate courses and operated for 7 years was developed and its prototype was presented. In order to acquire competencies of theory, practice, and NCS, PjBL, PBL, CBL and TBL were integrated to provide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practical education at the undergraduate level. The participation of 16 departments showed the applicability of Trauma Informed Care in future trauma (counseling) education. In the future, it can be case referenced by universities that want to open a similar course. Also, following studies are suggested to compare and verify the suitability and effectiveness as an undergraduate 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