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지용 「백록담」의 구조적 특징과 아이러니 (A Study on the Structural Traits and Irony of Jeong, Ji-Yong’s Baekrokdam(白鹿潭))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9.02
26P 미리보기
정지용 「백록담」의 구조적 특징과 아이러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57호 / 117 ~ 142페이지
    · 저자명 : 권유성

    초록

    이 글은 정지용 후기시의 대표작 중 하나인 「백록담」의 구조적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었다.
    2장에서는 일제강점 말기의 상황에서 「백록담」이 「도굴」을 대체해 시집 『백록담』의 표제작이 되는 맥락에 주목했다. 1941년의 시점에서 『문장』에 수록된 ‘신작 정지용시집’ 『도굴』과 시집 『백록담』은 연속선상에 놓인 시집들이었다. 그리고 사회비판적 성격 때문에 시집 『백록담』에 수록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는 「도굴」을 대체한 작품이라는 점은 「백록담」의 해석 과정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라고 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백록담」이 실제 한라산 등반의 경험을 바탕으로 창작된 ‘한라산 소묘’라는 점을 충분히 고려해 시의 구조적 특징을 밝히고 그것을 바탕으로 시가 가진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정지용의 제주도 여행 경험이 반영된 「백록담」은 비대칭적 반복구조라는 특징적인 구조를 보여주었다. 즉 정지용은 실제 한라산 등반의 경험을 두 번의 등반 과정으로 상상적으로 재구성해내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백록담」의 이런 비대칭적 반복구조는 그가 가지고 있었던 모순적인 욕망이 시적으로 구현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이라고 볼 수 있었다. 즉 한편으로 그는 피폐하고 피로한 현실을 초월해 새로운 존재로 거듭나고자 하는 욕망을 지니고 있었던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국토와 그 속에서 살아가는 식민지인들에 대한 애정과 연민을 동시에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애정과 연민이 강렬한 사회비판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었다고 하더라도, 이런 애정과 연민 때문에 일제강점 말기 그의 시는 산수로 도피하는 단조로움을 벗어나 그 속에 팽팽한 긴장감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백록담」은 「도굴」을 대신해 시집의 표제작이 되기에 부족함이 없었던 작품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tructural traits and meanings of Jeong, Ji-Yong’s Baekrokdam(白鹿潭) that is the representative piece of his late poems.
    The point in chapter two is that the reason why Baekrokdam become title piece of his anthology Baekrokdam published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His anthology Baekrokdam was continuous with illegal mining(盜掘) that was published in literary journal Munjang(文章) at 1941. His poem illegal mining(盜掘) could’nt publish in anthology Baekrokdam for it’s political criticism. And his poem Baekrokdam is that the alternatives of it.
    The point in chapter three is that examines the structural traits and meanings of Baekrokdam. At this tim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hat this piece sketched the experience of climbing Hallasan. In this process, it appears that Baekrokdam has dissymmetry repetitive structure. In other words, he recomposed the climbing Hallasan into process of twice climbing through imagination. And the reason why this characteristic structure was made is that he had contradictory desires. On the one side, he wanted to transcend the impoverished and tired real world. However on the other side, he could not disregard the beautiful nature and people in colonized land. Because his poems had such ironical tension, they could escape from poetic monotone. In this sense, Baekrokdam is fully qualified to become title piece in anthology Baekrokd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