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요당逍遙堂 박하담朴河淡과 병재甁齋 박하징朴河澄 형제의 시세계 고찰 (A study of the poetic world of Soyodang Park, Ha-Damand Pyungjae Park, Ha-Jing brothers)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6.04
49P 미리보기
소요당逍遙堂 박하담朴河淡과 병재甁齋 박하징朴河澄 형제의 시세계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29호 / 245 ~ 293페이지
    · 저자명 : 강구율

    초록

    밀양에서 청도로 이주한 재지사족의 후예로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중반까지 청도를 빛내었던 밀양 박씨 삼형제 가운데 그래도 문집이 남아 전하는 두 사람의 군자가 있으니 그들이 바로 맏이인 소요당 박하담과 막내인 병재 박하징이다. 이들은 자기 조부가 사화로 인해 귀양을 가는 역사적 비극을 목도하였고 고을 선배인 탁영 김일손과 9촌 아저씨인 오졸재 박한주가 사화에 피화한 엄혹한 역사적 현실 앞에서 환로로의 진출을 포기하기에 이른다. 이들 형제는 풍광이 빼어난 청도의 운문산을 배경으로 고향에 은거하면서 후진을 양성하거나 성리학에 심취하는 은거군자의 삶을 살아간다. 물론 아우인 병재는 출사하여 사간원정언을 지내기도 하였으나 형인 소요당은 끝내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재야지식인의 삶으로 일관하였다.
    이들 형제는 사화의 참혹한 여파가 미칠 것을 우려한 나머지 자신들이 저작한 작품을 소각처분하기에 이른다. 따라서 남아 전하는 작품이 많지 않기 때문에 작품세계를 살펴보는데 상당한 애로와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다행하게 후손들이 갖은 어려움을 무릅쓰고 백방으로 노력한 결과 소요당과 병재의 작품을 수습하여 오늘날 우리들이 볼 수 있는 정도의 『소요당선생일고』와 『병재선생문집』을 만들었다.
    이제 후손들이 수집한 자료를 근거로 하여 두 형제의 시세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소요당의 시세계는 현인을 바라고 성인을 배우려는 자세를 함축적으로 드러낸 ‘희현학성希賢學聖’의 세계를 들 수 있다. 둘째로 사물에 대한 관찰을 통해 자연경물의 저변에 내재하는 이치를 관찰해내어 그것을 그려내는 ‘관물찰리觀物察理’의 자세가 드러난 부분과 이를 사람의 문제로 결부시켜 표현한 세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자신이 타고난 분수를 지키며 세상에 대한 물욕을 잊고 평온하고 담담하게 살아가려는 의지가 반영된 ‘염담수분恬淡守分’의 시세계가 있다. 이상 세 가지 경우가 소요당의 시세계의 핵심을 이룬다고 하겠다.
    그리고 병재의 시세계는 첫째 유람이나 유상의 시세계를 들 수 있겠다. 여기에 해당하는 작품으로는 대략 10수 정도가 있다. 병재의 유람‧유상시는 가까이는 자기 고향의 운문산으로부터 멀리는 금강산에 이르기까지 넓은 공간을 아우른다. 둘째 역사적 유적지에서 느끼는 감회를 영사시의 형태로 표현한 시세계가 있다. 이러한 시세계에는 공적인 역사적 공간을 노래한 경우도 있고 자기 선조의 사적 공간을 표현한 경우도 있다. 마지막으로 증시贈詩의 세계를 말할 수 있겠다. 『병재선생문집』에는 당대의 명사들과 어울려 시를 짓고 이를 향유한 작품이 더러 보이고 또 일가간에 준 작품도 실려 있다.
    한편 소요당과 병재의 작품 가운데 어떤 경우에는 형이 먼저 짓고 어떤 경우에는 아우가 먼저 시를 지어 각각의 작품에 차운이나 화운을 한 작품이 상당수 남아있다. 많지 않은 작품 숫자에서 6수首 정도가 이에 해당하는데 전체 작품 숫자에 견주어볼 때 꽤 많은 편이라고 하겠다. 이들 작품은 어느 누구의 것이 특별히 우수하다고 하기는 어렵고 나름대로 작품성을 갖추고 있어서 그야말로 난형난제의 작품 세계를 형성한다고 하겠다.
    이상의 고찰로 소요당과 병재의 시세계가 제대로 드러났다고 하기는 어렵다. 앞으로의 본격적인 접근은 후속작업으로 미루기로 한다.

    영어초록

    As descendants of the high-born family of Miryang Park, who migrated from Miryang to Cheongdo, three brothers of Miryang Park brought honor to Cheongdo from the end of the 15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Among them, two gentlemen left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One is Soyodang Park, Ha-Dam, the eldest, and the other is Pyungjae Park, Ha-Jing, the youngest. They witnessed the historical tragedies of their grandfather being exiled due to a massacre of scholars and Takyoung Kim, Il-Son, their district senior, and Ojoljae Park, Han-Joo, their cousin five times removed, being sacrificed in a massacre of scholars. Faced with harsh reality, they gave up their dream of advancing to a government office. Against the backdrop of Woonmoon mountain, which boasted superb scenery, they retired to their hometown, fostering the younger generation and living the life of hermit-like gentlemen devoted to Neo-Confucianism. At one time, Pyungjae, the younger one, did find his way into a government office, becoming SaganwonJeongun. However, Soyodang, the older one, never entered government office, insisting on the life of an intellectual rather than an official.
    Fearing that the harsh aftermath of the massacre of scholars might be upon them, they finally incinerated their own literary works. As a result, not many of their works remain, which presents great difficulty and limitation in reviewing their literary contributions. Fortunately, their descendants endeavored, risking all the difficulties, to collect the works of Soyodang and Pyungjae, compiling the present versions of “Soyodang Ilgo” and “A Collection of Pyungjae Sunseng.” Now, let us examine the poetic world of the brothers based on the materials collected by their descendants. First, the poetic world of Soyodang can be described as “Huihyeonhaksung,” which implies the attitude of trying to become a wise man and to learn the ways of a saint. Secondly, it presents the world in which the authors’ attitude is to relate “Kwanmulchalee to observing things to find out and present the principles behind natural scenery” to how they look at and describe the affairs of people. Lastly, it present the poetic world of “Yeomdamsooboon” disinterestedly keeping within bounds, which reflects the will to keep within due bounds, forget worldly desires and live a life of peace and serenity. It can be said that the three principles above comprise the core of Soyodang’s poetic world.
    The poetic world of Pyungjae can be presented as appreciation of sightseeing or wandering. Approximately 10 pieces fall under the category. Yooramyoosangsi, the poem by Pyungjae, covers wide spaces, ranging from Woonmoon Mountain close to his hometown to far away Geumgang Mountain. Secondly, there is a poetic world that describes the sentiments he felt at the historic sites in the form of historical lyrics. In this poetic world, some describe historic space and the others describe the private space of his ancestors. Finally, we can examine the world of dedicated poems. In “A Collection of Pyungjae Sunseng,” there are occasional works showing that he mingled with contemporary celebrities to compose and enjoy poems as well as those he gave to his family members.
    Meanwhile, among the significant number of works remaining from Soyodang and Pyungjae, some are written by the elder brother first and others by the younger brother first and then the other used the rhymes according to the method called “Chaun” or replied to it with the method called “Hwaun” to write the next parts. Even though they only number about six, it is relatively significant numb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total number of works is rather small. It is hard to say whose works are better, as they have literary value of their own and create an almost equal level of works.
    I cannot say that the poetic world of Soyodang and Pyungjae has been amply covered through the above study. So, any full- scale approach should be open for follow-up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