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해와 달」 전래동화의 텍스트 양상 -일본인 편저자의 자료를 중심으로 (Textual Aspects of “The Sun and the Moon” in Modern Korea ‒Focusing on the Japanese-edited Material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3.10
20P 미리보기
근대 「해와 달」 전래동화의 텍스트 양상 -일본인 편저자의 자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93호 / 1 ~ 20페이지
    · 저자명 : 강상대

    초록

    본고는 근대 시기에 일본인 편저자가 기록한 「해와 달」 전래동화인 미와 다마키의 「해와 달」(1919), 조선 총독부의 「천벌 받은 호랑이」(1924), 나카무라 료헤이의 「두 남매와 호랑이」(1926)를 자료적으로 살피고 그 텍스트 양상을 고찰하였다. 우선 이들 서사 텍스트의 편저자와 서지 사항, 자료상의 의의를 검토하였다. 일본 인 편저자의 텍스트 3편은 모두 콩 모티프를 구현한다는 공통점이 있고, 이 점은 한국인 편저자가 기록한 다른 텍스트와의 차별점이었다. 나카무라의 텍스트는 조선총독부의 텍스트를 개작하며 제목을 바꾼 것인데, 전반적 인 사건의 전개 과정과 서술상의 묘사가 맥락을 같이 하였다. 특히 호랑이가 어머니에게 가해하는 시간적 배 경이 낮 시간대라는 점이 두 텍스트의 유사성을 밝히는 지점이었다. 그리고 서사 내용과 구성을 분석하기 위 하여 등장인물의 기능 양상에 주목하였으며, 텍스트의 변이가 뚜렷한 금지/위반, 직분부여/직분교체, 가해/기 만/추적 기능 단락을 논의하였다. 조선총독부와 나카무라의 텍스트는 일반적으로 「해와 달」 이야기에서 활성 화되지 못한 금지/위반 내용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3편의 텍스트에서 모두 하늘로 올라간 오누이가 해와 달 이 되는 직분부여 단락은 보유하고 있지만 그들이 직분을 바꾸는 직분교체 단락은 결여하고 있었다. 그리고 가해/기만/추적 단락에서는 일반적인 서사 법칙에 따른 반복성이 적극적으로 구현되고 있음을 보았다. 근대에 채록·수집된 옛이야기 텍스트는 오늘날 어린이들에게 널리 읽히는 전래동화 장르의 서사적 원형이자 원천이 다. 유아·아동 독서물인 옛이야기그림책, 전래동화책이 아동문화 콘텐츠 현장이나 출판 시장에서 매우 큰 비 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아동문학 문단이나 출판계에서 전래동화를 재화·각색하는 과정에서 무엇보다 유 념해야 할 것은 작품성이 담보될 수 있는 텍스트를 확보하는 일이다. 이를 위하여 근대에 문자 기록으로 정착 된 옛이야기 텍스트를 발굴하고 연구하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 근대 시기의 「해와 달」 이야기가 보여주는 텍스트 양상을 충분히 고려하여 아동문화와 아동교육 현장에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Sun and the Moon,” a traditional fairy tale written by the Japanese. The works studied are Tamaki Miwa(三輪環)’s “The Sun and the Moon(太陽と月)”(1919), Government-General of Chosun(朝鮮總督府)’s “The Punished Tiger(虎の天罰)”(1924), and Ryohei Nakamura(中村亮平)’s “The Two Brothers and the Tiger(二人の兄弟と虎)”(1926). These works were examined materially. I then discussed their structure and textual aspects. I first examined the authorship of these works, followed by their bibliographical and material significance. The works all have in common that they embody the ‘bean’ motif. This fact distinguishes them from works written by Korean authors. Nakamura’s text is an adaptation of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s text. Although the title has been changed, the overall course of events and narrative descriptions are similar. In particular, the temporal setting of the scene where the tiger eats the mother is set during daylight hours, which reveal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texts. To analyze the narrative content and organization, I paid attention to the function of the characters. The narrative variations in the texts were evident in the scenes of prohibition and violation, the granting and replacement of titles, and the infliction, deception, and pursuit. The texts of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and Nakamura generally have prohibitions and violations that are not activated in the story of the Sun and Moon; all three texts have a title-granting section, but not a title-swapping section in which they switch titles; and the assault, deception, and pursuit sections actively implement repetition according to general narrative rules. These texts, collected in modern times, are the narrative prototypes and sources for the genre of folk tales widely read by children today. Picture books and traditional fairy tales, which are infant and children’s reading materials, occupy a very large share of the children’s cultural content scene and publishing market.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keep in mind in the process of adapting traditional fairy tales in the children’s literature field or publishing industry is to secure texts that can guarantee workability. To this end, efforts should be made to discover and study texts of old stories that have been settled as written records in modern times. The textual aspects of the story of “Sun and Moon” in the modern era should be fully considered and utilized in children’s culture and children’s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