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을 연출하다: 조선악극단의 일본 진출 공연과 국민화의 (불)협화음 (1933~1944) (Positioning Koreanness in Japanese Empire: Chosǒn Akgŭk Troupe and its Performanc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5.08
38P 미리보기
‘조선’을 연출하다: 조선악극단의 일본 진출 공연과 국민화의 (불)협화음 (1933~1944)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62호 / 167 ~ 204페이지
    · 저자명 : 김청강

    초록

    이 논문은 1930-40년대 전시체제기 조선악극단의 일본 진출 공연을 중심으로 식민지 조선의 대중문화가 어떻게 제국의 정치 및 자본의 전략 그리고 관객의 정체성과 깊은 연관을 가지며 공연되었는지 탐구한다. 식민지 조선에서 1930년대는 대중 공연문화가 규모나 영향력 면에서 매우 융성했던 시기였다. 이 중 악극은 서구와 일본의 대중문화의 영향을 받아 화려하고 근대적인 무대를 만들어내며, 조선뿐만 아니라 일본과 만주에서 해외 순회공연을 펼칠 정도로 인기 있는 대중문화로 성장하고 있었다. 특히 조선악극단은 식민지시기를 통틀어 악극단 중에서 가장 큰 규모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1930년대에 조선에서 큰 인기를 얻기 시작해서, 일본(내지)과 만주(북지)까지 원정 공연을 펼친, 조선을 대표하는 공연단이었다. 그러나 이들이 공연을 통해 쌓은 대중적 친밀성은 1940년대 전시체제기에 돌입하면서 국가(일본)에 의해 적극적으로 수용되었고, 점차 오족 협화와 내선일체의 슬로건 아래에 ‘조선적’이며 ‘국민적’ 공연을 하는 극단으로 변화했다. 더구나 1942년에 조선의 연예단체들이 연극문화협회로 통합되면서부터 악극은 일본의 ‘대동아공영’과 전쟁을 위한 동원문화의 선두에 섰다. 이 논문은 1930~40년대 조선악극단의 행적을 해외 공연을 중심으로 추적하여, 악극단의 세계진출을 위한 꿈과 제국의 국민화 정치가 어떻게 악극 공연에 녹아 ‘연출’되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다. 전시체제기 제국의 동화와 국민화 정치가 식민지인과 식민지 악극단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협력의 최전선에 있었던 조선인 악극단은 어떤 방식으로 이러한 시기를 생존하였는가? 다양한 제국의 관객들은 조선인 공연을 어떻게 소비하였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이 논문은 ‘연출’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조선악극단이 ‘조선의 기업’이라는 외피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연출’하였는지, 이것이 ‘조선붐’이 한창이던 제국의 일본인들에게 어떻게 젠더화, 인종화 된 방식으로 받아들여졌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1941년 이후 제국의 ‘국민화’ 정치가 공연의 내용에는 어떠한 변화를 만들어 내었는지, 또 이 과정이 공연자와 관객에게 어떤 사회적 의미를 만들어 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논문은 조선악극단의 일본 진출 공연은 대중문화가 국가의 정치에 깊이 개입하면서도, 일본 내지의 일본인, 조선인, 만주에 주둔한 일본인 군인 등 다양한 관객과의 만남 속에서 다채롭게 변주하였음을 밝힌다. 또한 조선악극단의 해외공연에 참여한 기획자, 공연자, 그리고 관객의 문화적 횡단의 경험은 자신들의 정체성(identity)에 대한 다양한 자각(identification)을 만들어 내었음을 주장한다.

    영어초록

    In the late 1930 and 1940s’ colonial Korea, akgŭk, a popular vaudeville performance reached a commercial pinnacle in term of its production quantity, popularity to general Korean audience and influence in constructing visual modernity. Fueled by the commercial success in Chosǒn, many recording companies, which owned giant size of akgŭk troupes, strove to expand their companies’ influence beyond their national boundary, targeting transnational audience within Japanese empire. Among these akgŭk troupes, I pay close attention to OK Grand Show Troupe(later changed their name as Chosǒn akgŭk troupe),one of the biggest Korean akgŭk troupes in colonial Korea. Owned by OK Record Company, this troupe initiated a bifurcated commercial strategy depending on audience’s geo-political location. They had endeavored to construct transnational modern performance style in Korea, whereas they highlighted their performance style resonated from“tradition”and local Korean idiosyncrasy when they started marketing in Japan and Manchu area. Through a careful analysis on the transformation of OK Grand Show Troupe’s performance repertories and iconic hybridity in the course of changing historical situation, and invented style of“Koreanness,”I argue that the commercial marketing strategy of Chosǒn akgŭk troupe, in fact, dually functioned to reposition Koreans as participants of modern popular art industry as well as exotic local subjects in a multi-ethnic Japanese emp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