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조선기독교단 남부대회와의 관계 연구: 신탁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Central Council and the South Convention of Choseon Council of Churches: Focusing on Trusteeship)

6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7.06
60P 미리보기
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조선기독교단 남부대회와의 관계 연구: 신탁문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 수록지 정보 : 복음과 선교 / 38권 / 2호 / 169 ~ 228페이지
    · 저자명 : 장금현

    초록

    일제 강점기에 선교사들의 정교분리 정책은 한반도에서의 선교전략이었다. 정교분리 정책에 따라 한국 기독교는 현실정치 문제에 침묵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일제가 물러간 후에 기독교는 정교분리 정책을 그대로 유지할 수 없는 상황에 맞닥뜨렸다. 해방은 되었으나 진정한 독립이 요원하였고, 좌우파의 갈등 속에서 새로운 국가의 정체성이 시급히 확보되어야 하는 상황이었다.
    한국인들은 일제의 항복으로 독립이 이루어 졌다고 확신했다. 그러나 미국과 소련에 의한 다른 통치가 기다리고 있었다. 신탁문제는 특히 38선 이남에서 매우 민감한 문제였다. 한국인들은 미소의 신탁정책에 반대했다. 한국인들의 마음을 하나로 묶어 신탁반대운동에 참여했던 대표적인 단체는 독립촉성중앙협의회였다. 이승만 중심의 독촉중협은 우파 성향이었고, 여기에 기독교 지도자들이 많이 참여하였다. 또한 기독교의 대표성을 가진 조선기독교단 남부대회(남부대회) 소속교회와 교회 지도자들은 진정한 독립과 신탁이라는 현실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독촉중협과 협력하였다. 두 단체가 공식적으로 만남을 가진 때는 제1회 남부대회에서였고, 이후 힘을 합쳐 반탁운동을 확대시켰다. 특히 남부대회 소속 교회와 교회 지도자들은 독촉중협의 지방조직을 확산시키는데 공헌하였다. 제1차 남부대회의 영향으로 탄생한 기독신민회와 독립촉성기독중앙협의회 역시 반탁운동을 확산시키는 중요한 단체가 되었다.
    혼란스러웠던 해방정국에서 기독교인들의 정치참여는 이전의 정교분리 선교전략을 넘어서는 작업이었고, 그 결과 진정한 독립과 신앙의 자유와 새로운 국가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계기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한국의 즉각적인 독립에 대한 미국의 소극적인 태도를 극복할 수 있었고, 남한에 대한 소련의 공산화 전략을 막을 수 있었다. 해방정국에서 기독교는 시대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며 기독교인의 정치참여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olicy to separate religion from politics adopted by missionaries was a kind of strategy to do missionary work o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the separation policy, Christianity in Korea had to remain silent to real political issues. However, after liberations, Christianity faced a situation where it could not continue to maintain the policy. It was the situation which required the urgent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in the midst of conflict between left and right wing while true independence was still far away.
    Koreans were sure that they achieved independence due to the surrender of Japanese. However, another kind of rule by the U.S. and the Soviet Union were waiting for them. Trusteeship was a very sensitive issue especially in the South under the 38 parallel line. Koreans were opposed to the trusteeship by the U.S. and the Soviet Union. The Independent Central Council was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which participated in the anti-trusteeship movement uniting Koreans’ wishes. The Independent Central Council which was organized under the leadership of Rhee Syngman, was politically right-wing and a lot of Christian leaders also joined the organization. Churches and church leaders that belonged to the South Convention of Choseon Council of Churches(South Convention) representing Christianity took part as executives and took care of practical business affairs. The South Convention cooperated with the Independent Central Council in order to resolve real issues of true independence and trusteeship. The two organizations had a first official meeting in the 1st South Convention and afterwards, joined forces to expand the anti-trusteeship movement. In particular, churches and church leaders that belonged to the South Convention made a big contribution to expand local organizations of the Independent Central Council. The Christian New People Society and the Independent Christian Central Council which came into being after the 1st South Convention ended became important organizations to spread the anti-trusteeship movement.
    In the midst of confusion after liberalization, Christians’ political participation was a task to exceed the previous policy to separate religion from politics adopted for doing missionary work and as a result, contributed to securing true independence, political freedom and new national identity.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overcome the passive attitude of the U.S. towards the immediate independence of Korea and to prevent the Soviet Union’s communization strategy of the South Korea. Therefore, it is meaningful in that Christianity presented a new paradigm of Christians’ political participation to Korean churches by exercising leadership of the times in political situation after liber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복음과 선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