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단채널 비디오아트 내 쇼트의 조합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Combination Effect of Shots in Single Channel Video art)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9.05
22P 미리보기
단채널 비디오아트 내 쇼트의 조합 효과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예술과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미디어 / 18권 / 1호 / 179 ~ 200페이지
    · 저자명 : 하임성

    초록

    지금까지의 비디오아트에 대한 연구는 카메라와 모니터가 작가 혹은 관객의 신체를 비추는 ‘즉시성’을 ‘나르시시즘적 속성’으로 분석하거나, 녹화됨에 따라 다큐멘터리적으로 특정 현상을 고발하며 사회 참여적인 입장을 견지하기도 하고 ‘현재 시간과 이전 시간의 동조화, 외부와 유리된 그것만의 자체적 시간’ 이라는 독자적인 시간 개념, 다양한 장르적 분화에 따른 특성 연구가 포괄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내용을 배제한 비디오아트 영상 구성의 최소 요건인 쇼트, 장면 변화만으로 의의를 도출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러한 흐름에서 본 연구는 단채널 비디오아트를 영상표현의 기본 단위인 ‘쇼트’의 조합 차이에 따라 어떤 효과가 야기되는지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 영상 내 내화면과 외화면에 대한 논의를 제시했던 앙드레 바쟁, 자크 오몽, 질 들뢰즈 등 선행 프레임 이론들과 몽타주 이론, 쇼트 개념 등을 정리하였고, 이를 분석틀로 비디오아트의 쇼트 조합에 따른 효과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 번째, 쇼트가 하나로 활용되는 비디오아트는 대부분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통해 관객의 몰입도를 외부로 상정한다기보다 공간 내부에만 머물게 하는 구심적 효과와 가시적인 공간적 한계를 지니고 있었고, 이것은 초기영화, 회화와 일부 유사하였다. 두 번째, 서로 연관되는 쇼트들이 조합되어 미시서사를 일구는 비디오아트는 각 쇼트들이 서로 관계를 맺으며 관객들에게 프레임 밖 화면에 대한 상상, 외화면을 인식하게 하였고, 바쟁의 ‘숨김’, 에스케나지의 ‘프레이밍’, 들뢰즈의 ‘집합과 전체’ 개념이 잘 표출됨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서로 관계없는 다수의 쇼트들이 조합되는 경우는 몽타주 기법처럼 의미들의 조합, 거시적인 주제 인식을 관객에게 제시했다고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단채널 비디오아트를 제작하는 작가들은 작품 내 그들의 메시지 구성방법의 차이에 따라 쇼트를 구성하고 있고, 각각의 효과들이 생성됨도 밝힐 수 있었다.
    물론 모든 비디오아트 작품들을 본문에서 시도한 쇼트 구성효과 연구방법으로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없지만, 본 연구를 통해 일부 단채널 비디오아트의 유형을 쇼트 구성만으로 유발되는 현상 및 의의를 정립하여 단채널 비디오아트의 형식적 연구의 폭을 확대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So far, few studies have drawn significance only from shot and scene changes, the minimum requirement for video art image composition that excludes content.
    In this flow of research,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ingle channel video art on the combination differences of 'shot', the basic unit of image presentation. Prior frame theories, such as André Bazin, Jacques Aumont and Gilles Deleuze, which suggested discussion of on-screen and off-screen in the video, the meaning of shot and montage, were compiled. And the effects of the shot combination of video art were studied with the analysis frame.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the video art, what is used as a single shot, had a centripetal effect and visible spatial limitations that allowed the audience to stay inside the frame space rather than to assume the audience's immersion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ubjects outside the frame. which was somewhat similar to early films and paintings. Second, video art, which has a combination of linked shots, have allowed the audience to recognize the foreign currency side, the image of off-screen. and the concept of Bazin’s "cache", Jean Pierre Esquenazi’s "framing" and Deleuze's "ensemble and tout" were well represented in it. Third, the combination of multiple unrelated shots, like montage techniques, presented the audience with a combination of meanings, macroscopic subject recognition
    This allowed artist of single channel video art to construct shots and reveal the effects of each of them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in their message composition in the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