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병호와 대한민국청년외교단 활동 (Yeon Byeong-Ho and the Activities of the Young Diplomatic Corps of Kore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9.03
24P 미리보기
연병호와 대한민국청년외교단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98호 / 159 ~ 182페이지
    · 저자명 : 조은경

    초록

    연병호와 대한민국청년외교단 활동

    조은경



    청년외교단은 3ㆍ1운동의 결실로 수립된 임시정부 지원을 목적으로 국내에 결성된 비밀결사단체였다. 임시정부 수립 당시 중국에 머물던 연병호는 조용주와 함께 국내로 들어와 청년외교단을 결성했다. 청년외교단은 이병철, 안재홍 2인 총무제로 운영되고 연병호는 청년외교단의 외교원 자격이었지만 조용주가 상해로 떠난 후 국내에 남아 청년외교단의 실무를 주관했다.
    연병호는 청년외교단에서 조직 구성과 운영 이외에 임시정부와의 연계에 주도적으로 관여했다. 연병호는 1919년 7월 중순 임시정부 특파원 이종욱이 찾아오자 그와 협의 후 청년외교단 총무 이병철을 찾아가 임시정부로 보낼 독립운동 자금 모금을 주선했다. 또한 임시정부에 보낼 건의서 초안을 기초하고 안재홍의 교정을 받았다. 총 6개 항으로 구성된 건의서는 당시 임시정부의 정책과 궤를 같이했다. 건의서 작성이 이종욱의 상해행에 맞춰 급박하게 추진된 정황으로 볼 때, 건의서의 상당 부분은 초안을 작성한 연병호의 의견으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연병호는 각 독립운동 단체와의 통합을 위해서는 청년외교단의 확장 개편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추진했다. 그 일환으로 단체 명칭의 개칭을 건의하고 강령ㆍ규칙 작성을 안재홍에게 맡겼다. 청년외교단의 활동에 임시정부도 관심을 갖고 1919년 9월 이종욱을 특파원으로 다시 청년외교단에 파견하여 가납서와 애국금 수납위원 임명장 등을 전달하는 한편, 국내 정보 수집 등을 추가로 요청하며 연통제 역할을 해줄 것을 기대했다.
    하지만 1919년 9월 중순부터 10월 하순까지 청년외교단 관계 인사들이 잇따라 국내를 떠난데 이어 연병호 또한 1919년 10월 초순 피신하면서 청년외교단에서의 활동은 사실상 중단되었다. 이후 연병호는 1920년 6월 29일 대구지방법원에서 궐석으로 진행된 재판에서 징역 3년 형을 선고받았다. 이 때문에 연병호는 더 이상 국내에서 활동하지 못하고 20여 년 간 중국 만주와 관내를 오가며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연병호의 청년외교단 활동은 그가 처음으로 본격적으로 시작한 독립운동이자 유일하게 국내에서 전개한 활동이었다.

    영어초록

    Yeon Byeong-Ho and the Activities of the Young Diplomatic Corps of Korea

    Cho, Eun-kyung





    The Young Diplomatic Corps of Korea was a secret organization formed in the nation to support the provisional government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Yeon Byeong-ho was in China when the provisional government was established and returned back to Korea with Jo Yong-ju to form the Young Diplomatic Corps of Korea, which was run under the two-manager system between Lee Byeong-cheol and Ahn Jae-hong. Yeon held a place at the corps as a diplomatic and supervised its practical affairs in the nation after Jo left for Shanghai.
    Yeon took the lead and got involved in the connections between the corps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addition to its organizational composition and management. In middle July of 1919, Lee Jong-wook, a correspond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made a visit to the corps. Yeon had discussions with him and talked to Lee Byeong-cheol, one of the managers at the corps, to arrange a fundraising round to be sent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He also wrote a petition draft to be sent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had it proofread by Ahn Jae-hong. Consisting of total six items, the petition was in line with the polici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ose days. Given the urgency of the petition before Lee Jong-wook's return trip to Shanghai, a considerable part of the petition might have been opinions of Yeon that wrote its draft.
    Yeon believed that the corps should be reorganized for expansion to get integrated with other organization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pushed it forward. As part of the efforts, he proposed to change the title of the corps and left the enactment of codes and rules to Ahn Jae-hong. Taking interest in the activities of the corps, the provisional government dispatched Lee Jong-wook to the corps again in September, 1919, had him deliver the acceptance receipts and certificates of appointment as collectors of patriotic funding, and made another request for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in the nation in expectations of its role as Yeontongje.
    Individuals involved in the corps, however, left the nation one after another from middle September to late October, 1919. Yeon also escaped in early October, 1919. As a result, the activities of the corps were in fact suspended. On June 29, 1920, he was sentenced to three years in prison in judgment by default at the district court of Daegu. Since then, he was no longer able to perform in the nation and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for approximately 20 years by moving back and forth between Manchuria, China and the jurisdiction. His activities at the Young Diplomatic Corps of Korea represented his first full-blown involvement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his only activities done in the 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