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주민 환대의 당위성: 우리도 이방인이었다! (The Necessity for Hospitality toward Immigrants: We were Once Refugees and Immigrants, too!)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9.06
43P 미리보기
이주민 환대의 당위성: 우리도 이방인이었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전망 / 205호 / 157 ~ 199페이지
    · 저자명 : 김영선

    초록

    외국인 이주민들의 수는 늘어나고 있지만 우리 사회의 다문화 수용성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볼 때 비교적 낮다. 이 때문에 이주민들을 어떻게 환대하고 수용할 것인지에 대한 신학적 연구가 요청된다. 본고는 구약 성경의 이주민(게르)에 관한 그동안의 연구들을 종합하면서 구약 성경에 나타난 이주민에 대한 규정들이 현대의 이주민 정책을 마련하는 데 준거점이 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구약 성경에 나타난 이주민을 보살펴야 하는 세 가지 이유가 우리 사회의 다문화 수용성을 키우는 데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우리는 다음 세 가지 질문을 바탕으로 이방인들을 사랑하고 환대할 것을 요구하는 구약 성경의 본문들에 접근할 것이다. 첫째, 누구를 수용 가능한 이방인으로 보고 있는가?(환대의 대상이 되는 이방인의 범위) 둘째, 그들을 어느 수준까지 수용하는가?(환대의 정도) 셋째, 어떤 조건으로 그들을 환대하는가?(환대의 조건) 넷째, 왜 그들을 받아들이고자 하는가?(환대의 이유) 구약 성경에서 보호와 환대의 대상으로 주로 언급되는 것은 게르(rg)이다. 게르는 반드시 외국인을 의미하지 않으며 이스라엘 백성 중에서 삶의 터전을 잃고 다른 곳에 정착할 수밖에 없게 된 이들을 가리키기도 한다. 구약 성경의 법전은 사회·경제적으로 취약 계층이 된 게르를 어떻게 보호하고 돌볼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을 담고 있다. 이런 규정에 따르면 게르는 여전히 본토인(에즈라흐)과는 구별되는 존재이지만 이스라엘 공동체 안에서 일정한 정도의 경제적, 사법적, 종교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었다. 보편적 인권의 관점에서 보면 구약 성경의 이런 규정들은 여전히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방인을 사랑하고 억압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법문에 덧붙여진 세 가지 이유들은 오늘날 이주민에 대한 환대와 배려를 위한 대책을 마련할 때 중요한 준거점이 될 수 있다. 우리는 이 가운데 첫 번째 이유를 주제어로 삼아 구한말에서 해방 시기까지의 우리 이민사를 읽고 우리 역시 중국, 러시아, 일본, 하와이, 멕시코에서 이방인이었다는 결론을 이끌어 낸다. 본고는 다른 나라에서 소수 집단으로서 경험하였던 사회적, 경제적 차별과 심각한 인권 침해, 편견과 고정 관념, 소외와 배제의 역사를 현재로 소환하면서 이 기억이야말로 우리 사회의 이주민들을 환대하고 배려하는 다문화 수용성의 근거가 된다고 주장한다.

    영어초록

    Though foreign work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are present in every corner of the country, our multicultural sensitivity is relatively low. This reality requires theological studies on how to welcome and host them. This article reviews previous researches on immigrants(gēr) in the Old Testament to examine if the statutes and regulations for immigrants in the Old Testament could be helpful criteria to make immigration policies and measures. The pro-immigrant texts in the Old Testament present three different reasons for being hospitable to them. This article also explores these reasons to question how they contribute to cultivate multicultural sensitivity. First, we approach the pro-immigrant texts, posing the following questions: Who is considered to be acceptable?(types of strangers to be provided with hospitality), to what extent are they accepted?(the level of acceptance) with what conditions are they accepted?(conditions for receiving hospitality) and why are they accepted?(reasons for hospitality).
    It is the gēr which is most frequently mentioned in the Old Testament as an object of being provided with hospitality. The gēr does not necessarily mean a foreigner. It could refer to any Israelite who lost his own land and are impelled to find his/her residence among other tribes. The law codes in the Old Testament contain the statutes and regulations for the gēr, a vulnerable social class. The gēr, according to these statutes, should be provided with economic, legal and religious benefits, even though he/she was still distinguished from the native(xrza). Human dignity should be respected without any discrimination whether he/she is foreigner or not. In this sense, the provisions of pro-immigrants texts in the Old Testament have limitations to be applied to modern realities. Nonetheless, the three reasons for the protection of immigrants, presented in the Old Testament, are worthwhile to be considered when the immigration policies and measures are being established.
    Due to the space limit, we pay more attention to the first reason, applying it to our own history to find a way to justify ethical duty for hospitality toward immigrants. Focused is the period from the final years of Korean Empire(Daehan Jeguk) to the year of liber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1945). In this period, so many Koreans(almost 25% of the total population) lived as refugees and immigrants in China, Russia, Japan, Hawaii and Mexico. We were indeed refugees and immigrants, too. This history should be remembered and considered as the reason why we should be hospitable and supportive to foreigners knocking on our do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전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