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중모형조합기법을 이용한 상품추천시스템 (Product Recommender Systems using Multi-Model Ensemble Technique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3.07
16P 미리보기
다중모형조합기법을 이용한 상품추천시스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능정보연구 / 19권 / 2호 / 39 ~ 54페이지
    · 저자명 : 이연정, 김경재

    초록

    전자상거래의 폭발적 증가는 소비자에게 더 유리한 많은 구매 선택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신의 구매의사결정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소비자들은 의사결정 절차를 간소화하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추천을 받아 들인다. 온라인 상점의 상품추천시스템은 일대일 마케팅의 대표적 실현수단으로써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기호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추천시스템은 사용자의 실망과 시간낭비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사용자의 기호 반영을 통한 추천기법의 정교화를 위해 데이터마이닝과 다중모형조합기법을 이용한 상품추천시스템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형은 크게 두 개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첫 번째 단계에서는 상품군 별 우량고객 선정 규칙을 도출하기 위해서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 의사결정나무 모형, 인공신경망 모형을 구축한 후 다중모형조합기법인 Bagging과 Bumping의 개념을 이용하여 세 가지 모형의 결과를 조합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상품군 별 연관관계에 관한 규칙을 추출하기 위하여 장바구니분석을 활용한다. 상기의 두 단계를 통하여 상품군 별로 구매가능성이 높은 우량고객을 선정하여 그 고객에게 관심을 가질만한 같은 상품군 또는 다른 상품군 내의 다른 상품을 추천하게 된다. 제안하는 상품추천시스템은 실제 운영 중인 온라인 상점인 ‘I아트샵’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토타입을 구축하였고 실제 소비자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제안하는 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제안 상품추천시스템의 추천과 임의 추천을 통한 추천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제안된 추천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후 대응표본 T검정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사용자의 만족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Recent explosive increase of electronic commerce provides many advantageous purchase opportunities to customers. In this situation, customers who do not have enough knowledge about their purchases, may accept product recommendations. Product recommender systems automatically reflect user’s preference and provide recommendation list to the users. Thus, product recommender system in online shopping store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most popular tools for one-to-one marketing. However, recommender systems which do not properly reflect user’s preference cause user’s disappointment and waste of time.
    In this study, we propose a novel recommender system which uses data mining and multi-model ensemble techniques to enhance the recommendation performance through reflecting the precise user’s preference. The research data is collected from the real-world online shopping store, which deals products from famous art galleries and museums in Korea. The data initially contain 5759 transaction data, but finally remain 3167 transaction data after deletion of null data. In this study, we transform the categorical variables into dummy variables and exclude outlier data.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two steps. The first step predicts customers who have high likelihood to purchase products in the online shopping store. In this step, we first use logistic regression, decision tree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to predict customers who have high likelihood to purchase products in each product group. We perform above data mining techniques using SAS E-Miner software. In this study, we partition datasets into two sets as modeling and validation sets for the logistic regression and decision trees. We also partition datasets into three sets as training, test, and validation sets for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The validation dataset is equal for the all experiments. Then we composite the results of each predictor using the multi-model ensemble techniques such as bagging and bumping. Bagging is the abbreviation of “Bootstrap Aggregation” and it composite outputs from several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raising the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prediction or classification. This technique is special form of the averaging method. Bumping is the abbreviation of “Bootstrap Umbrella of Model Parameter,” and it only considers the model which has the lowest error value. The results show that bumping outperforms bagging and the other predictors except for “Poster” product group. For the “Poster” product group,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performs better than the other models.
    In the second step, we use the market basket analysis to extract association rules for co-purchased products. We can extract thirty one association rules according to values of Lift, Support, and Confidence measure. We set the minimum transaction frequency to support associations as 5%, maximum number of items in an association as 4, and minimum confidence for rule generation as 10%. This study also excludes the extracted association rules below 1 of lift value. We finally get fifteen association rules by excluding duplicate rules. Among the fifteen association rules, eleven rules contain association between products in “Office Supplies” product group, one rules include the association between “Office Supplies” and “Fashion” product groups, and other three rules contain association between “Office Supplies” and “Home Decoration” product groups. Finally, the proposed product recommender systems provides list of recommendations to the proper customers.
    We test the usability of the proposed system by using prototype and real-world transaction and profile data. For this end, we construct the prototype system by using the ASP, Java Script and Microsoft Access. In addition, we survey about user satisfaction for the recommended product list from the proposed system and the randomly selected product lists. The participants for the survey are 173 persons who use MSN Messenger, Daum Café, and P2P services. We evaluate the user satisfaction using five-scale Likert measure. This study also performs “Paired Sample T-test” for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outperforms the random selection model with 1%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It means that the users satisfied the recommended product list significantly.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may be useful in real-world online shopping sto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능정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