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의 자녀양육 경험 이야기 (A study on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experience of child rearing)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3.02
24P 미리보기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의 자녀양육 경험 이야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열린유아교육연구 / 18권 / 1호 / 71 ~ 94페이지
    · 저자명 : 양시내, 김우영, 김영옥

    초록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양육에서 나타나는 자녀에 대한 그들의 기대와 그에 따른 부모로서의 노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에 3~5세 자녀를 두고 유아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 4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은 사회․심리적 측면에서 ‘독립적인 자녀로 자라기 바라며 집안일에 참여시키기’, ‘차별이나 무시로 인한 스트레스 받지 않기 위해 당당한 모습 보여주기’, ‘한국인 또래와 사이좋게 지내기를 바라며 친구들과 사귈 기회 만들기’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학습적 측면에서는 ‘높은 학업 성취 기대하며 자녀와 같이 집중하여 공부하기’ 또는 ‘자녀의 능력을 개발하기 위하여 교육적 환경 제공하기’가 나타났다. 또한 정체성의 측면에서 ‘한국인으로 자라나기 바라며 어머니가 먼저 한국인 되기’와 ‘어머니 나라에 친숙해지기 위하여 모국어와 모국문화 가르치기’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이 자녀에게 어떤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부모로서의 노력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은 자녀에 대한 기대에 호응하는 어머니들의 노력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살펴봄으로써 그러한 어려움과 만나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을 보다 깊이 있게 들여다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의 입장에서 필요한 양육 지원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view on mothers' expectation seen in child rearing and endeavors in multi-cultural family whose children attend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were performed targeting 4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whose children were 3 to 5 year olds and attend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in G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rom a socio-psychological aspect,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had their children participate in household affairs for them to grow independently, showed their dignified attitudes for them to have less stress emotionally caused by discrimination or ignoring, and made opportunities for them to meet Korean peer friends to get along with them. Also, for children's learning, they studied intensively with their children for their great achievement in learning or provided an educational environment to develop their ability. For children's identity, they tried to become a Korean for their children to have a Korean identity, and taught their mother tongue and culture for them to get familiar with their mother’s home country. It is important to know what expectations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have for their children, what endeavors they do for their children. It could help find out various problems the mothers would face in rearing their children.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offer basic information about necessary support for child rearing to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린유아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