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 사회를 위한 정보전달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Information Delivery for a Multicultural Society)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7.09
8P 미리보기
다문화 사회를 위한 정보전달 방안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3권 / 3호 / 695 ~ 702페이지
    · 저자명 : 정희진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 속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이에우리사회의 다문화 사회로의 변모와 특성을 알아보고, 다문화 사회를 위한 해외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의 다문화인들의 사회적응 교육을 위한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외 데이터베이스와 인터넷 자료를포함한 문헌연구과 사례연구이다. 연구의 범위는 시각커뮤니케이션 디자인으로 한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 시대를 맞이하여 디자인의 손길을 필요로하는 곳은 인쇄매체에서부터 멀티미디어, 공공디자인영역까지 무한하다. 지금까지 다문화주의를 근간으로하는 국내 디자인의 사고와 활용은, 다문화주의를 교육시키기 위한 포스터 혹은 이주민들을 위한 브로셔제작에 국한되어져 왔다. 일찍이 다문화주의를 받아들인 해외 디자인은 다중언어 사용 뿐 아니라, 정보를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디자인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 특성을 정리하자면, 첫째, 공간별이주민의 수치와 모국어를 고려한 다중언어의 사용이다. 다음으로는 정보의 특성에 맞추어 픽토그램, 실루엣 일러스트레이션, 그리고 사진 등과 다양한 시각매체가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이 때 정보의 이해력을 높이기 위해 주의 집중을 방해하는 요소들은 가급적 간소화하거나 제거된다.
    다문화인들의 시각교육 자료를 위한 디자인 전략은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내용을 전달하기 전에 핵심정보의 내용과 기능을 간단한 글과 이미지를 사용하여 명확히 한다. 둘째, 첫 번째 단계의 이해를 전제로, 과정 및 순서 위주의 정보를 정보의 특성에 따라서 픽토그램, 사진, 또는 일러스트레이션 등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제시한다. 가급적 장식적 요소는 배제하고, 정보를 쉽고 흥미롭게 이해할 수 있는 방안을모색한다. 셋째, 사회문화 환경의 차이를 이해할 수있는 정보를 제안한다.
    본 연구가 다문화주의 기반의 복지사회 구현을 위한 기초적인 시각기반 교육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began with a certain concern about a society’s role in communication design in a multicultural society. Accordingly, I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our increasingly multicultural society, and analyzed multi-cultured design examples from other countries, and proposed design strategies that can be utilized for visual -based education contents for others come from different places.
    The main method of this study was the analysis of research, publications, text books, and case studies including Internet database domestic and foreign. As a limitation of this study, it focused o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among the many design areas in multicultural societies.
    The results of the article are as below.
    In this multicultural age, people’s need about design for communication is vast, from print media and multimedia to even public design. Until now, the approach and strategy of design based on multiculturalism in our society has been limited to creation of posters and brochures for immigrants.
    Other countries which have to deal with multiculturalism have used a variety of design strategies as well as multiple-languages in order to convey information effectively. To sum up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trategies, writing multiple-languages should be used while considering the language of the users. Next, pictogram, silhouette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should be clearly designed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While creating graphics, some factors which disrupt the information should be eliminated, and while other factors should be simplified.
    Design strategy for the visual-based education for people from other countries is as follows: First, before delivering the entire contents,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key information should be clarified using some texts and images. Secondly, based on the assumption of the first step's understanding, the process, and sequence of the information should be designed using pictogram, illustrations, or photograph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If possible, the way to show information interestingly and easily should be explored, while eliminating the decorative factors.
    Third, the contents which help users understand differences of different cultures should be proposed.
    Lastly, the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by users should be reviewed by summary, diagram, or some type of quiz. Based on the above strategies, I designed a prototype with essential inform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ve been neglected group.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communication design can be used more actively as a visual-based education tool for improving the welfare of our multicultural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