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음자(多音字)에 대한 한·중 대조비교 (The Comparative Study about polyphone of Korean and Chines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0.12
23P 미리보기
다음자(多音字)에 대한 한·중 대조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중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중인문학연구 / 31호 / 347 ~ 369페이지
    · 저자명 : 한용수, 강영규

    초록

    한자는 본래 단음절 문자로 출발하였지만 현재는 그 음절수에 있어서도 변화가 있다. 이러한 변화의 양상은 특히 한자의 3 요소인 ‘형(形), 음(音), 의(義)’를 통해서 알 수 있는데, 이를통해 단어의 뜻과 음 등을 연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형, 음, 의’ 다변화 현상의 일부라고할 수 있는 다음(多音) 현상을 한ㆍ중 대조비교를 통하여 양 국가 간의 문자학적 차이를 살핌과 동시에 문화적 차이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음은 단어의 의미에서 알 수 있듯이 한 글자가 하나의 음이 아닌 그 이상의 독음을 갖는것을 말한다. 이는 한정된 글자의 수로 언어의 많은 어휘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가되었는데, 다음자의 양국 차이를 보면, 한국은 전래문헌의 글자 해석에 의한 다음다의자를 제외하면 대다수가 ‘一字一音’이기 때문에 변화가 없었지만, 중국은 조사, 접미사일 때 즉, 허사는 경성으로, 실사에서는 음이 다르거나 성조가 변화되었다.
    동일한 한자이지만 한국은 전통적으로 一字一音으로 다음자의 수효가 6%에 해당하지만,중국은 여러 현상으로 인하여 39%의 비율로 다음자 수의 비율은 차이가 나서, 현대중국 한자음에 나타나는 다음자의 문화적 배경이 문자학적 다의성을 초래했음을 일부나마 인식할 수있다. 한국의 경우 전래문헌의 글자 해석에 의한 다음다의자를 제외하면 다음자의 생성변화는없었지만, 중국 언어에 있어서 다음자의 생성 변화는 의사표현의 경제성에 의해 변화가 계속될 것이다. 그렇다면, 편리성과 합리성이 결합된 변화 발전이 바람직할 것이다.

    영어초록

    Chinese Characters originally started to be used within monosyllabic letters,but changed in various aspects at the present time. The changing aspects can be cheched from three essential parts in Chinese, which are the signifier, the sound and the signified. The meaning and pronunciation of words in Chinese can be associated from each signifier, sound and signified one in Chinese letters.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different features of ideographic letters and cultural areas between Korea and China within the comparative study about the fields in polyphone regarded as a part of changing processes of diversification in language.
    As seen from the meaning of Polyphone, this phenomenon in language indicates that one letter has more than one phonetic value. This is one way to express fluent vocabularies with the restricted numbers of characters. The differences between both countries can be considered as follows. Chinese character in Korea hasn't been drastically changed in the aspect of polyphone because of the linguistic phenomenon that one letter matches one sound, while Chinese character in China has been changed corresponding to postpositional particles, suffixes, expletive particles and so on.
    People in both countries have used same signifier in Chinese characters, but they have expressed within different sounds. Furthermore Chinese characters in China has lots of poly-phonetic words consisting in 39 percent of the whole in comparison with 6 percent of Chinese character in Korean language. This feature can explain that different usages in language based on cultural circumstance would be possible to cause the differences in ideographic fields.
    Different from Korean mainly consisting in phonogram, Chinese as ideogram cannot help being changed in its sounds and its ways of pronouncing. However,in this chang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make sure that the convenience and rationality should be regarded as a important part in using polyphone of Chinese let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중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