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보다’ 구문과 ‘-다/라기보다’ 구문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giboda’ construction and ‘-da/ragiboda’ constructio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1.03
31P 미리보기
‘-기보다’ 구문과 ‘-다/라기보다’ 구문의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글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글 / 88권 / 61 ~ 91페이지
    · 저자명 : 정연주

    초록

    본고에서는 조사 ‘보다’가 사용되었으되 동사구 또는 절 단위가 비교되면서 비교내용이 서술어로 드러나지 않는 구문을 의사 비교구문으로 칭하고, ‘-기보다’ 의사 비교구문과 ‘-다/라기보다’ 의사 비교구문의 문법적, 의미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의사 비교구문에서 쓰이는 ‘-기보다’와 ‘-다/라기보다’는 ‘-기+보다’, ‘-다/라+(하-)+-기+보다’의 투명한 결합으로부터 벗어난 문법적 특수성을 보여 준다. 전형적인 비교구문과 달리 의사 비교구문의 ‘-기’에는 형용사가 선행할 수 있다. 또한 의사 비교구문의 ‘-다/라기보다’는 ‘-다/라 하기보다’로 환원하기 어렵고, ‘-기보다’ 의사 비교구문과 달리 비교되는 선행 내용과 후행 내용이 통사적으로 비대칭적인 구조를 이루는 경우가 보인다. 이로 보건대 ‘-기보다’와 ‘-다/라기보다’는 각각 그 자체의 문법적 특수성을 지닌 채 의사 비교구문을 이룬다.
    ‘-기보다’ 의사 비교구문에서는 선행 사태보다 후행 사태가 우세하다는 의미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고, 선행 사태를 선택하지 않고 후행 사태를 선택한다는 의미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다/라기보다’ 의사 비교구문에서는 선행 표현보다 후행 표현이 사태를 묘사하는 더 적절한 표현법이라는 의미가 나타난다. 즉 ‘-기보다’ 의사 비교구문은 사태의 ‘내용’ 측면을 비교하는 데 쓰이는 반면, ‘-다/라기보다’ 의사 비교구문은 ‘표현’ 측면을 비교하는 데 쓰인다.
    ‘-기보다’ 구문과 ‘-다/라기보다’ 구문은 모두 헤지(hedge) 표현과 공손성 실현의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선행 사태/표현을 완전히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선행 사태/표현의 존재도 인정할 수 있다는 태도, 또는 선행 사태도 선택할 수 있는 후보가 된다고 보는 태도를 드러낼 수 있기 때문에, 강력한 주장의 의미를 줄이고 결과적으로 상대방의 반박/공격의 여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선행 사태/표현이 청자의 견해와 관련된 것일 때에는 청자의 견해를 완화하여 부정하는 의미를 나타낼 수 있어 공손성 실현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pseudo-comparative constructions which are ‘-giboda’ construction and ‘-da/ragiboda’ construction: a ‘boda’ construction in which the linguistic unit being compared is VP or clause, and the compared content is expressed other than the predicate is defined as a pseudo-comparative construction.
    ‘-da/ragiboda’ of pseudo-comparative construction is rather a simplex unit than a complex unit of ‘-da/ra+(ha-)+-gi+boda’ for its function can not be derived compositionally from its elements. For the same reason ‘-giboda’ is also a unit. For example, ‘-giboda’ of pseudo-comparative constructions can attach to adjectives, but not that of typical comparative constructions. Also it is not possible to rephrase the ‘-da/ragiboda’ of pseudo-comparative constructions to the original form ‘-da/ra hagiboda’. Note, ‘-da/ragiboda’ pseudo-comparative construction is different from ‘-giboda’ pseudo-comparative construction in terms of syntactic structure: the two compared units of ‘-da/ragiboda’ pseudo-comparative construction are sometimes syntactically asymmetric. These suggest that ‘-giboda’ and ‘-da/ragiboda’ form a pseudo-comparative construction, respectively.
    ‘-giboda’ pseudo-comparative construction has two functions: of the two compared events, 1) the latter is predominant, or 2) the latter is chosen over the former. The function of ‘-da/ragiboda’ pseudo-comparative construction is to deliver the speaker’s attitude about the two compared expressions: of the two compared expressions, the latter is more adequate to express the situation in question. To sum, ‘-giboda’ pseudo-comparative construction is to compare the contents of two compared events, and ‘-da/ragiboda’ pseudo-comparative construction is to compare two different expressions of a same event.
    Sometimes the two pseudo-comparative constructions are used as hedge expressions and/or a mean of expressing politeness. From these pseudo-comparative constructions, the addressee may catch or infer the speaker’s attitude that does not totally deny the former of the two compared items so that the speaker may admit the former. As a result they sometimes reduce the force of assertion and the force of addressee’s antipathy. In case that the former item of a pseudo-comparative construction is related to the addressee’s opinion, it can deliver the speaker’s attitude of being polite because it may lessen the denial force. This is why it is sometimes used as a mean of expressing polite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