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조 유불교섭과 불교 심성론에 나타난 개성실현의 의미 -유가의 태극논변과 운봉 대지(雲峰 大智) 선사의 다성론(多性論)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Realized Personality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e Nature of the Mind within the Buddhist Community of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Argument Concer)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1.09
25P 미리보기
조선조 유불교섭과 불교 심성론에 나타난 개성실현의 의미 -유가의 태극논변과 운봉 대지(雲峰 大智) 선사의 다성론(多性論)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33권 / 3호 / 135 ~ 159페이지
    · 저자명 : 정혜정

    초록

    흔히 “전통교육은 인간 개성을 몰각한 전체주의에 서있다.”고 비판하는 교육학자들이 있다. 홍익인간의 이념이나 ‘一切衆生 悉有佛性’ 을 주장하는 불교 등 모두 전체와 보편성을 강조할 뿐 개인 주체나 개성의 다양성을 논의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통 사유에서 개성실현의 문제는 핵심적인 사유 과제였다. 특히 운봉은 중생이 갖추고 있는 불성이나 여래장이 모든 부처의 법신으로서 하나의 법신인 일성(一性)이 아니라 다성(多性)으로서 각자의 性이 다양하게 드러나는 온전한 법신임을 강조하였다. 이는 16․17C 유가의 태극논변의 영향과 교섭의 산물로 보여지는데 법신은 개체를 초월해 있는 것이 아니라 관찰하는 주체이자 대상이다. 이를 운봉은 “갠지스강 모래알 같이 많은 모든 붓다”라 이름하였고 이것이 각각원만(各各圓滿)한 증거라 하였다. 현대교육에서 개인의 다양성과 공동체성의 겸비는 중요한 과제이다. 개인의 존엄과 권리를 존중하고 개성실현을 위하는 교육은 어떤 보편적인 준거를 객관적으로 설정하여 이에 맞추거나 학습자 개인의 자유에 무한적으로 맡겨지는 것은 아닐 것이다. 운봉의 심성론에서 개성의 실현은 우주근원의 보편성에 뿌리를 두면서도 스스로의 삶 가운데서 이를 다양하게 실현하는 실존적 특수성을 지닌다. 이는 전체와 분리·독립된 개별적 주체로서의 자아실현이 아니라 인간 개체 스스로에서 전일적 보편성을 표현하고 그 보편성이 각자의 활동에서 다양하게 창조되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In the late 17th century, there was an argument concerning the nature of the mind (心性) within the Buddhist community. A Buddhist monk named Woonbong Daeji published a book titled “Shimseongnon (心性論 a thesis on the nature of the mind)”. This book tells us that the argument was mainly about the theory of a monistic nature of the mind (一性論) and the theory of a pluralistic nature of the mind (多性論). The former theory asserts that all beings possess dharma-kāya (法身 the body of dharma), but that it only achieves completion and perfection when all minds are united(人人法身摠爲一者). The latter theory asserts that all beings possess an autonomous mind and all beings are complete and contain perfect dharma-kāya (人人法身各各圓滿). But in the late 17th century, there was another argument about Taekeuk (太極 the source of the dual principle of yin and yang). Chu Shi had derived ideas of ‘the whole embodies a single Taekeuk(統體太極)’ and ‘each things contain their own Taekeuk (各具太極)’ from the theory of the one principle and its diversity. The theory of Taekeuk consists of the ideas, and it is the ontology of the mi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gard the argument about Taekeuk as the beginning of the argument about Mookeuk(無極) and Taekeuk(太極) which was led by Cho Han-bo, Lee Eon-Jeok and Park Se-chae, Kwon Sang-yu. Especially Kwon Sang-yu is a younger brother of Kwon Sang-ha, a leading authority of the theory of different natures of human and animal. Thus his theory of Taekeuk was likely to be the foundation of the theory of Iilboonsu(理一分殊). The diversity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in modern education combines the castle is a major challenge. Dignity and respect for the rights of the individual and unique care for the realization education is not conform to some common objective or set to match the learner such as individual freedom of being put in would not be infinite. The personality of each individual to be achieved through universal, rather than a priori, which is defined as individuals realize themselves in their own lives will g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