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다문화공생 이념의 논리와 상생으로의 전환 (The logics in the idea of multicultural coexistence and its transition to co-living in Japa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0.09
26P 미리보기
일본 다문화공생 이념의 논리와 상생으로의 전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아시아인문융복합연구소
    · 수록지 정보 : 日本學硏究 / 61권 / 81 ~ 106페이지
    · 저자명 : 김경희

    초록

    본고에서는 일본 ‘다문화공생’ 사회의 ‘공생(共生)’ 이념에 주목하여 비판적 입장에서 공생의 논리에 대해 검토하였다. 공생의 개념은 국적・민족・언어・문화가 서로 다른 사람들이 함께 살아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일본의 다문화공생이 외국인을 단순히 지원의 대상으로만 보지 않고 공생의 대상으로 규정했다는 점은 일본의 외국인 수용정책에 커다란 전환점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 다문화사회의 형성배경과 특징을 살펴보고 다문화공생의 공생 논리를 검토해본 결과, 실제로 일본 정부의 공생 논리는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었다. 공생은 단순히 낯선 이(타자)들을 지역의 주민으로서 받아들이는 것으로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공생하는 사람들 간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는가 하는 점이 실로 중요하다. 일본 다문화공생의 논리를 살펴보면,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대등한 관계가 언급에 그치고 있으며 그 의미도 매우 모호하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체와 타자와의 관계에서 주체의 자리를 내어주고, 자기동일성을 파괴하는 적극적인 주체의 참여가 요구된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한국에서는 일본 지자체 중심의 다문화공생 사례가 국내에 소개되면서 그에 관한 관심이 점차로 높아지고 있다.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이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여러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도 공생에 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주체와 타자와의 관계, 마조리티와 마이너리티와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는가는 중요한 관점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가 타자를 받아들이는 데에 관용과 시혜의 차원에서 만족하며 낯선 이들과 평화로운 상황을 유지해가려고만 한다면 상생하는 사회의 실현은 더욱 요원해질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set its main focus on the idea of coexistence in Japanese multicultural society and its writer tried to contemplate on the logics of co-existence or co-living (means “Living Together”) from the critical view point. The concept of coexistence means that people who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nations, languages, or, cultures, all live together in the same living space. From such a point, it can be estimated as a major turning point in the Japanese immigration policy that the policy defined foreigners not as objects of public support, but as subjects of living together in its idea of multicultural co-existence.
    However, after consideration of the background and its characteristic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Japan, I found a lot of problems implied in the logic of co-existence of the Japanese government. Co-existence can not be achieved by just simply accepting strangers (“the Others”) as local inhabitants and how the relationship are being formed between people living together are very important.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nothing like equal-level relationships in the logics of multicultural co-existence in Japan . To solve this problem, the majority party of the society should give away its “Subject” posi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and actively participate to destroy its self identity.
    As the cases of multicultural coexistence in Japan were introduced in Korea, the interest are getting higher. Korean society, itself also facing many problems surrounding rapid change to multicultural society. need to dispute on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coexistence sufficiently. It is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and, between majority and minority, become very much important viewpoint. If our society is satisfied to keep peaceful status with strangers, accepting the Others in the level of tolerating and giving mercy, we are still very far from establishing real “Living Together”, co-living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