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엘레나 뽀니아또프스까의 소설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전복적 이미지: 『오 하느님, 당신을 볼 수 없을 때까지』의젠더인식과 양성성(androgyny)을 중심으로 (Female Character’s Subversive Images in Elena Poniatowska: Focusing on Female Protagonist’s Perceptions of Gender and her Androgyny in Hasta no verte, Jesús mío)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8.08
20P 미리보기
엘레나 뽀니아또프스까의 소설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전복적 이미지: 『오 하느님, 당신을 볼 수 없을 때까지』의젠더인식과 양성성(androgyny)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이베로아메리카 연구 / 29권 / 2호 / 137 ~ 156페이지
    · 저자명 : 조혜진

    초록

    이 연구에서는 엘레나 뽀니아또프스까의 대표작인 『오 하느님, 당신을 볼 수 없을 때까지』의 중심인물 헤수사(Jesusa)가 재현되는 모습을 통해 그녀의 정체성이 변화하는 모습과 그 전복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것은 주인공 헤수사의 젠더에 대한 인식과양성적 특성(androgyny)이다. 그녀는 남성중심적인 멕시코 전통사회에서 가부장제도에 의해 억압당하고 휘발되는 여성들의 모습을 다양하게 경험하면서 팔루스중심적 사회가 갖는 위선과 한계를 깨닫는다. 그 결과, 그녀는 가부장 사회가 여성에게 요구하는 젠더규범을 거부한다. 헤수사는 전통적인 멕시코 사회에서 여성에게 요구하는 수동성, 유순함, 인내를 거부하고 때로는 성의구별을 흐릿하게 한 채, 남성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행동을 수행한다. 그리고 차츰 자신이 두 젠더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행동의 범주를 확장하고 인간으로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특징을향유할 수 있다고 인식한다. 헤수사는 성격 면에서도, 전통적으로 남성적인 면으로 여겨지는 품성과 여성적인 면모를 두루 드러내면서 남성/여성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세계관을 초월하고전인격적인 모습을 드러낸다. 그녀의 행동양식은 가부장 사회에서 생존을 도모하면서 자신의 자유의지로써 제 삶을 주도적으로 이끌고 진정한 정체성을 찾아가기 위한 도정으로 읽힌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젠더 이론과 수행성(performativity) 개념을 적용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a female protagonist’s experience, her identity transfiguration, and her subversiveness in a male-dominated Mexican society in Elena Poniatowska’s Hasta no verte, Jesús mío. Most of all, this study focuses on gender perceptions and androgyny of Jesusa Palancares, a soldadera. She does not only witness various type of oppression against women in patriarchal society of Mexico, but also she experiences extreme violence that comes from her male protector-soldier-male citizen, in short, from phallocentrism. Observing volatile women as a victim including herself, she condemns the hypocrisy and restraints imposed by social institutions. Consequently, Jesusa rejects gender norms imposed by male-centered society and she challenges gender stereotypes for survival and freedom. Making her gender ambiguous, she tries to break down barrier that limits her behavior. Performing both gender roles, Jesusa gets to realize that she can broaden her behavioral boundary enjoying diverse features a human-being can experience. She incarnates androgyny and as a result she transcends dichotomous way of dividing masculinity/femininity. Her struggle is a journey to survive, to achieve self-fulfillment and to find her true identity. This paper uses Judith Butler’s gender theory and her ‘performativity’ concep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베로아메리카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