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방 민족들에 대한 하느님의 호전성과 폭력성의 완화: 칠십인역 시편 109(110)편의 주석적 연구 (Mitigation of Belligerence and Violence of God against Foreign Peoples: An Exegetical Study of Septuagint Psalm 109(110))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7.06
42P 미리보기
이방 민족들에 대한 하느님의 호전성과 폭력성의 완화: 칠십인역 시편 109(110)편의 주석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톨릭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신학 / 30호 / 79 ~ 120페이지
    · 저자명 : 강수원

    초록

    군왕 시편으로 분류되는 마소라 시편 110편은 ‘이방 민족들과의 성전(聖戰) 준비’(1-3절)와 ‘하느님의 전투와 승리’(4-6절)라는 군사적 주제의 도식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특히 3절은 이스라엘 백성(군대)이 이방 민족들에 맞서 거룩한 장식으로 치장하고 전쟁을 위해 자원하여 나선 장면을, 6절은 메시아 왕과 그의 백성을 위해 직접 전투에 나서신 하느님께서 이방 민족들을 심판하여 그들의 머리를 깨부수고 그 주검들로 온 들판을 가득 채우시는 극도로 폭력적인 장면을 묘사한다. 시편집 전반에 걸쳐 이스라엘 구원의 특수주의(particularism)와 전 인류의 구원을 지향하는 보편주의(universalism), 이 두 가지 관점의 구원론이 병존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나, 특히 시편 110편은 이방 민족들을 상대로 한 하느님의 전투와 심판을 가장 잔혹하고 피비린내 나는 살육으로 묘사하는 구약성경 장면들(cf. 이사 34,1-6; 63,1-6; 에제 39장; 하바 3,12-14)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본 작업은 시편 110(109)편의 마소라 본문과 칠십인역 본문의 비교 작업으로서 다음과 같은 사실에서 출발한다: ‘두 본문 사이 뚜렷한 차이점들이 다른 구절들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반면, 왜 유독 하느님께서 이방 민족들과 벌이는 성전과 관련된 언급들인 3절과 6절에만 집중되어 있는가?’ 하는 점이다. 물론 이 차이점들을 언어적, 문법적 차원만으로도 어느 정도 설명할 수는 있지만, 그것들이 본문 안에 가져오는 의미론적 변화들이 하나의 뚜렷한 주제상의 방향성을 띠고 있다는 사실은 그 차이점들을 단순히 번역 중 발생한 언어적 현상으로만 치부할 수는 없음을 시사한다.
    칠십인역 시편은 이방 민족들에 맞서 자원한 메시아 왕의 군대가 전열을 갖춘 장면(3절MT)을 메시아 왕의 주권과 신적 탄생에 대한 언급으로 전환하면서, 하느님께서 이방인 적들을 전멸시켜버리는 구약성경의 구절들(ex. 판관 5-7장; 2역대 20장)과의 본문상의 연관성을 더 이상 고수하지 않는다. 또한 하느님께서 이방 민족들을 심판하여 그들의 머리를 깨부수고 그 주검들로 온 들판을 가득 채우시는 피비린내 나는 폭력적 장면(6절MT) 역시 더 이상 언급하지 않고, 마소라 본문이 묘사하는 종말론적 심판의 대상과 그 범위를 변경함으로써 잔혹하게 묘사된 장면들을 훨씬 ‘완화’된 형태로 재해석한다.
    이방 민족들에 대한 하느님의 호전성과 폭력성이 칠십인역 시편에서 현저히 완화되어 표현된다는 사실은 시편의 번역자가 이방 민족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었고, 그들과 하느님, 또 그들과 메시아 왕(이스라엘을 대표) 사이의 관계를 좀 더 긍정적으로 묘사하려는 하나의 편집 의도, 말하자면 주해적, 신학적 의도를 갖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칠십인역 번역의 특수성은, 적어도 본문 차원에서 말하자면, 번역자 또는 그의 공동체가 이방 민족들에 대해 가졌던 보다 열린 자세, 즉 보편주의적 관점의 반영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사실 이방 민족들과 함께 살며 그들과 좀 더 유연한 관계를 유지해야 했던 디아스포라 공동체들 안에서, 이스라엘의 전통적 신학 사상들이 이방 민족들에 대한 개방과 포용의 태도(보편주의) 안에 자연스레 녹아들었음은 주지의 사실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e Masoretic Psalm 110, which is classified as royal psalm, clearly shows the scheme of military theme called ‘preparation of holy war against foreign peoples’(vv. 1-3) and ‘battle of God and victory’(vv. 4-6).
    Specially, v. 3 depicts the people(army) of Israel who are adorned with holy ornament and volunteer to engage in the battle against the gentiles, and v. 6 describes an extremely violent scene where God, who goes into a battle in person for King Messiah and his people, judges foreign peoples and crushes their heads and fills the entire field with their bodies. It is a known fact that the two soteriologies as particularism of Israel’s salvation and universalism that reaches forward to the salvation of the whole human race are coexisting in the entire the Book of Psalms, but specially, Psalm 110 is considered as one of the scenes in the Old Testament that describe the battle and judgement of God against foreign peoples as most brutal and bloody slaughter(cf. Isa 34,1-6; 63,1-6; Ezek 39; Hab 3,12-14).
    This study starts from the following fact as a comparative work between the Masoretic text and Septuagint text of Psalm 110(109): ‘why ar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exts only concentrated in v. 3 and v. 6 – references related to the holy war that God staged against the gentiles – whereas such differences are not found in other verses?’ Of course, these differences can be explained to some degree at linguistic and grammatical level, but the fact that semantic changes they bring in the text show a clear thematic orientation implies that such textual differences cannot be regarded just as a linguistic phenomenon that occurred during translation.
    Septuagint Psalm no longer sticks to the textual link with the other passages of the Old Testament where God annihilates foreign enemies(cf. Judg 5-7; 2Chr 20) by changing a scene where the people(army) of King Messiah set the battle in array against the gentile enemies(v. 3MT) into proclamation of sovereignty and divine birth of King Messiah. Also, it does not mention any more about the violent bloody scene where God judges foreign peoples and crushes their heads and fills the entire field with their bodies(v. 6MT), and reinterprets the brutal scene in much more ‘moderated’ form by limiting the range of the object of apocalyptic judgement described in Masoretic text.
    The fact that belligerence and violence of God against foreign peoples getting expressed in noticeably mitigated form in Septuagint Psalm implies that the translator of Psalm had special concern over foreign peoples and had a editorial intention, meaning interpretative or theological intention to depict a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them and King Messiah(representing Israel) and them more positively. To speak at the text level,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Septuagint translation can be comprehended in an aspect of more opened attitude, meaning reflection of universalistic viewpoint, that the translator or his community had towards foreign people. It is also well known fact that traditional theological ideas of Israel are naturally melted into the attitude of openness and engagement toward foreign peoples(universalism) in Diaspora community who had to live with and maintain more flexible relationship with the genti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톨릭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