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 발굴 자료 한글가사 필사본 <님낭자가랴>에 대하여 (The study on the new material Hangul-gasa manuscript of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2.06
32P 미리보기
새 발굴 자료 한글가사 필사본 &lt;님낭자가랴&gt;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35호 / 399 ~ 430페이지
    · 저자명 : 구사회, 김영

    초록

    새 자료 한글필사본 <님낭자가랴>는 사대부가 여인 임낭자의 삶을 노래한 소설체 형식의 가사이다. 두루마리본으로 크기는 가로 791cm, 세로 26cm이며, 본문은 무려 352행, 글자 수는 7,000여 자에 달하는 장편가사이다.
    말미에 ‘신 구월 증양일 등셔랴’라는 필사 기록이 있는데, 본문에 나오는 ‘우포’라는 어휘를 통해서 구체적인 시기를 가늠할 수 있다. 추정되는 필사 시기는 1884년 우정총국 설립 이후에 해당되는 신사년, 즉 1941년 9월 9일이다. <님낭자가랴>는 문학적으로 가사의 성격과 서사구조의 소설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독창적인 작품이지만, 국어학적으로도 경상도 지역의 방언의 요소를 풍부히 내포하고 있어 문자생활 연구에도 일조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당시의 문자 활용과 향유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어휘의 표기 형태와 음운, 문법적 특징들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1940년대에도 전통적 표기법과 현대 한글맞춤법과 서로 공존한 채, 필사ㆍ유통ㆍ향유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다양한 경상도 방언의 실태를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e new material Hangul-gasa manuscript <Namnangjagarya> is a nonfiction styled gasa which describes the life of Nimnangja(임낭자), a laday from a Sadaebu(士大夫) family. It is a scroll 791 centimeters wide and 26 centimeters long. The text of this full-length gasa contains nearly 352 lines and 7,000 words.
    With the transcribed passage '신 구월 증양일 등셔랴' at the end of the text, the word 'Upo(우포, 郵票)' can also be an evidence to estimate the specific time. The estimated period of this transcription is Sinsa(辛巳), Sep. 9, 1941, the year after the foundation of Ujeongchongguk(Centeral post office) in 1884.
    <Namnangjagarya> is a creative work which features the descriptive structure of novel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gasa in literature, it, moreover, is full of the elements of Gyeongsang dialects in Korean linguistics that is a contributing factor to the study of Korean characters in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the utilization and enjoyment of letters of those days and studied in its word notations, sounds,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is work has verified that traditional notations and modern orthography coexisted, at the same time, being transcribed, distributed, and enjoyed even in 1940's and identified the actual status of Gyeongsang dial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