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찬국의 신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의’ (God’s Righteousness in Chan Kook Gim’s Theolog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9.09
31P 미리보기
김찬국의 신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86호 / 71 ~ 101페이지
    · 저자명 : 유윤종

    초록

    이 글은 김찬국의 구약신학의 핵심을 ‘구약성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의’라고 주장한다. 필자는 그 뿌리를 1954년 연희대학교 대학원에 제출 한 그의 신학 석사 학위 논문인 “구약성서에 나타난 계약적 하나님의 구속적 의를 논함”에서 찾는다. 그 논문에서 김찬국은 하나님의 의라는 주제를 계약과 심판, 용서와 속죄, 구원과 관련지어 그 상관관계를 설명한 다. 이 신학적 패러다임은 그 후에 전개된 김찬국의 신학에 그대로 드러난다. 그의 신학은 주로 예언서 연구에 집중된다. 김찬국은 하나님의 의 가 하나님의 속성에서 비롯된다고 확신한다. 하나님의 의가 실현되는 장은 역사라고 본다. 그런 의미에서 그는 하나님의 의를 구원사로 설명한 다. 하나님의 의가 현실에서 구현되는 방식은 그의 석사 학위 논문에 서 술되어 있다. 예언서 연구에서는 계약과 심판(8세기 예언자), 용서와 속죄 (예레미야, 에스겔, 제2이사야), 회복과 구원(예언서의 종말론)의 패러다임으 로 전개된다. 하나님의 의에 대한 그의 확신은 현시대의 인권, 여성, 제3 세계로 확대된다. 하나님의 의에 대한 김찬국의 신학은 지금까지 부분적으로 진행되어 온 하나님의 의에 대한 연구를 통전적 관점에서 조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늘날에도 그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김찬국 구약신 학의 핵심인 하나님의 의는 한국 신학이 계승·발전시켜야 할 유산이라고 결론 내린다.

    영어초록

    The respectable professor Chan Kook Gim had lived as a pastor, scholar, and prophet in Korea from 1927 to 2009. This paper pursues Chan Kook Gim’s theology of God’s righteousness. The previous study shows that Chan Kook Gim’s social involvement started with the Min-Cheong-Hak-Ryun affair in 1974. This study argues that Chan Kook Gim’s social consciousness started started when he was In his 20s. This fact is well attested in his two master’s theses: “Debate on Covenantal God’s Redemptive Righteousness in the Old Testament”(Graduate School of Yon Hee University, 1954), “The Origin of Ședeq in Isaiah 40-55”(Union Theological Seminary in New York, 1955).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how his understanding of God’s righteousness attested in two master’s theses developed in his academic writings with a focus on the prophetic literature. I argue that Gim tried to understand God’s righteousness from God’s characteristics and the paradigm of redemptive history. In his thesis of “Debate on Covenantal God’s Redemptive Righteousness in the Old Testament,” Gim debated God’s righteousness connected with five major topics: covenant, judgement, redemption, and salvation as well as the concept of righteousness. I induced a theological paradigm through Gim’s debate in the thesis: covenant and judgement-forgiveness and redemptionrestoration and salvation. Gim’s most academic writings are concentrated on the prophetic literature. It is notable that the prophetic literature suits Gim’s theological paradigm of salvational history well. In this paper, I categorized the prophetic literature into three stages according to Gim’s theological scheme of salvational history. First, it was the 8th century prophets who delivered the message of judgement based upon the Mosaic covenant. Amos, Hosea, and Isaiah delivered the message of judgement, because Israeli people violated the law of social justice in which God’s righteousness is expressed. Second, the prophets before and during exile proclaimed the message of forgiveness and redemption. Jeremiah and Ezekiel before the fall of Jerusalem delivered the message of judgement in the same line with the 8th century prophets. However, after the fall of Jerusalem their messages were transformed into forgiveness and redemption. It was the second Isaiah in whom Gim had the deepest interests, because the second Isaiah announced God’s righteousness with plentiful prophetic imaginations such as creation and exodus etc based upon various previous traditions. Third, Gim explained Israel’s restoration and salvation in the eschatological vision of prophetic literature. His understanding on God’s righteousness was extended to human rights, feminism, and the third world which were considered to be practices of God’s righteousness in the contemporary context of Korea. In comparison with current research on God’s righteousness, it is noteworthy that Gim’s theology on righteousness is holistic. His deep emphasis on righteousness as Yahweh’s character and on protection of the weak should be received as an inheritance and developed as a valuable theological heritage of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