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복수(復讐)’의 관점으로 본 <유정승따님애기> 서사 고찰 (A Study on 'Revenge' in shamanism--Focusing on Bonpuri, Jeju Island)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4.02
23P 미리보기
‘복수(復讐)’의 관점으로 본 &lt;유정승따님애기&gt; 서사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속학 / 48호 / 341 ~ 363페이지
    · 저자명 : 신연우

    초록

    제주도 일반신 본풀이를 읽어나가다 보면, 유정승따님애기 서사는 차원이 다른 이야기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본풀이는 악인의 악행에 고통을 겪는 선인의 사연과 함께 그 악인에게 행해지는 복수로 이야기의 결말이 맺어지는 경우가 많다. 복수를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정승따님애기 서사는 제주도 본풀이에서 대단히 예외적 설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대조점을 발판으로 하여 유정승따님애기 서사의 의미를 천착해 보았다.
    무속은 작게는 현세에서 잘 살자는 현실적 종교이고 크게는 인간이 하늘과 땅과 하나가 되어 생명과 문화를 창조하는 철학적 의의가 있는 활동이라고 하겠다. 여기에 복수는 어디에 자리하는 것일까? 굿은 현세 구복의 의례이다. 재수를 빌어서 현재의 삶을 번창하게 하자는 것이다. 방자는 자기의 문제를 부정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자는 의례이다.
    굿, 무속의 세계는 현세의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우주적 이상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지만, 인간 사이의 이상적 관계인 희생과 사랑의 관념을 생성하는데까지 이르지는 못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를 정당화하는 단계에서 복수에서 벗어나기 정도까지 이르렀지만, 이웃 사랑이나 자비의 단계로 진입하지는 못했다고 보인다. 불교가 필요했던 이유 중 하나는 그 부족한 점을 채워주었기 때문일 수 있다.
    유정승따님애기 무가는 제주도 무속에서 복수의 단계를 넘어서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되어야 한다. 이 무가는 심방의 조상이 된 유정승따님애기의 본풀이이다. 유정승따님애기가 그랬듯이 후대의 심방들도 같은 심사를 갖겠다고 한다. 심방이 되는 것을 ‘전생팔자를 그르친다’고 한다. 유정승따님애기가 죽어가는 아기를 되살아나게 한 것과 같이, 억울하게 펼쳐지는 자기 삶이지만 그에 대한 복수를 생각하지 않고 심방이 되어, 다른 사람의 복을 비는 굿을 하는 것으로 자기 삶을 살겠다는 것이다.
    유정승댁따님애기 이야기는 이런 관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아무 잘못도 없이 신병을 앓고 죽어가게 되었던 사람이 아무 관계 없는 다른 사람을 살려내고 자기는 자기 삶을 포기하고 무당이 된다. 무당이 되어 하는 일은 다른 사람을 구원하는 것이다. 자기를 내어주어 남을 살리자는 생각이 그 안에 들어 있다.
    제주도는 섬이어서 과거에 비교적 문화발달이 늦었다. 대다수의 본풀이에 보이는 복수담은 제주도민의 현실을 반영했을 것이다. 역사가 발전하고 문화가 진보하면서 사회는 개인적인 복수를 허용하지 않게 되었다. 개인의 복수를 사회가 처리해달라고 넘겼다. 제주도는 조선의 통치를 받았지만 법치보다는 개인적인 복수가 더 만연되었을 수 있다. 그런 속에서 유정승댁 따님애기 이야기나 바리데기 서사는 복수가 아닌 희생을 말하는 서사이다. 자기를 희생하여 다른 사람을 살린다는 생각은 문명을 향하여 나아가는 인류 집단에 공통적으로 출현했다. 유정승댁따님애기 이야기는 이 과정에서 생겨난 것으로 이해된다. 우리가 동아시아 문명권에 속해서 유교나 불교 윤리가 이를 대신하게 되었지만, 제주도에서도 이 과정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As I read the general shaman epic of Jeju Island, I think that the narrative of Yoo Jeong-seung's daughter is a different story. In general, Bonpuri often concludes the story with the story of the good man suffering from the evil deed of the evil man and the revenge performed on the evil man. In that it does not take revenge, the narrative of Yoo Jeong-seung's daughter can be said to be a very exceptional setting in Bonpuri, Jeju Island. Using this contrast point as a stepping stone,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of Yoo Jeong-seung's daughter was examined.
    Shamanism is a realistic religion to live well in the world, and it is a philosophical activity in which humans become one with heaven and earth to create life and culture. Where is revenge located here? Goot, the world of shamanism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esent world and further achieve cosmic ideals, but it has not reached the point of generating the ide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the idea of sacrifice and love.
    It should be noted that Yoo Jeong-seung's daughter shaman epic shows that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overcome multiple stages in Jeju shamanism. A person who suffered from a new disease and died without doing anything wrong saves another person who has nothing to do with it, and he gives up his life and becomes a shaman. Being a shaman is to save others. It contains the idea of giving oneself away to save others.
    Jeju Island is an island, so cultural development was relatively slow in the past. Most of the revenge stories in Bonpuri would have reflected the reality of Jeju residents. As history and culture progressed, society did not allow personal revenge. It was handed over to society to deal with individual revenge. Jeju Island was ruled by Joseon, but personal revenge may have become more prevalent than the rule of law. In the meantime, the story of the daughter of Yoo Jeong-seung’s daughter and the story of the baridegi are narratives that tell sacrifices, not revenge. The idea of saving others at the expense of oneself appeared in common in human groups moving toward civiliza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story of the daughter of Yoo Jeong-seung's daughter originated in this process. Although Confucianism and Buddhist ethics were replaced by the East Asian civilization, it is meaningful to show that this process took place in Jeju Isl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