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한국연예주식회사의 설립과 활동 연구- 자유가극단, 코리아가극단의 악극 공연활동을 중심으로 -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Hangukyeonyejusikhoesain the 1950s)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17.03
46P 미리보기
1950년대 한국연예주식회사의 설립과 활동 연구- 자유가극단, 코리아가극단의 악극 공연활동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55호 / 85 ~ 130페이지
    · 저자명 : 유인경

    초록

    이 논문은 한국연예주식회사의 설립취지와 악극을 중심으로 한 공연활동을 재구함으로써 1950년대 중후반 극장 흥행업의 역학구조 및 악극계의 쇠퇴과정을 분석한 글이다. 1950년대 악극수요가 감소하고 공연시장의 경쟁강도가 높아지면서, 악극단 경영주들은 대작 위주, 관련 연예(entertainment)사업으로의 확장이라는 제작운영상의 생존전략을 모색했다. 일부 악극 경영주들은 대통합하여 1955년 8월 한국연예주식회사를 설립했다. 한국연예주식회사는 대중의 위안·오락을 목적으로 한 공연・영화를 제작하고, 배급/유통을 담당하고, 극장까지 구비한 대형 연예기획사 겸 제작사로서, 운영자는 이승만 정권과 유착되어 연예・영화 분야에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른 임화수 사장이었다.
    ‘한국연예’는 기성 악극단의 창작진을 흡수 통합하여 전문적이고 조직적인 제작역량을 결합하면서, 악극의 대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했다. ‘한국연예’는 악극・국극・연극・영화를 함께 제작하고, 배급과 제작이 통합된 체계적인 기업 시스템을 지향했다. ‘악극다운 악극을 하자’는 설립취지와 연중무휴 공연을 위해 자체 내 문예제작국, 기획선전국, 공연업무국, 교육출판국, 음악무용연구소, 무대미술제작소를 조직하여 악극의 기업화, 전문화를 추구하였다. 창작진・출연진・무용단・악단・기획제작진으로 구성된 방대한 직영 가극단은 인기와 화제를 집중시킨 대형공연을 연속 발표했다. 이로써 ‘한국연예’는 악극활동을 통해 메이저 공연기업으로 등극하였고, 영화제작에 주력한 1957년 이후 메이저 영화사로도 성장했다.
    본고는 1950년대 극장 흥행업 전반에 관한 사정을 검토하고, 악극계의 종사자들과 대중 관객의 추이를 통해 근대 대중문화계의 총아였던 악극계의 몰락, 대중문화지형도의 변모 과정을 조명한다. 악극 부흥의 자구책으로 주류 악극인이 결집된 자유가극단과 코리아가극단은 만 2년의 활동으로 단명했다. 이후 악극계는 완연히 쇠퇴일로에 접어들었다. 그 원인에 대한 답변은 남한으로 국한된 좁은 내수 시장, 무료관객이 횡행했던 비합리적 극장 관행, 육성정책의 부재 등 외부적이고 거시적인 요인에서 찾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전후 복구기 촬영 여건이나 녹음 시설이 재건되면서 영화, 음반, 라디오 드라마의 보급과 상승으로 인해 인적 이동 또한 매우 활발하게 전개된 사실도 쇠퇴원인으로 제시될 수 있다. 특히 1950년대 후반 국산영화가 양적 확산과 더불어 전국의 극장가가 영화만을 상영하고 공연일정을 주지 않자, 악극계를 포함한 무대예술의 쇠퇴와 몰락을 재촉했다.
    남한의 악극은 일제강점기부터 축적된 역량과 다양성이 존재했지만 그것을 견고화하기 위한 정책이나 제도가 미비했다. 심지어 한국영화처럼 제작사는 보호육성하고 영화는 통제의 대상으로 보는 이중적 정책지원마저 없었다. 오직 연예사업으로서의 위상만을 지녔던 남한의 악극은 종국에 음악의 극적 기능이나 표현기법이 축소되고 버라이어티쇼 중심으로 변모하면서, 장르적 발전이라는 온전한 수순을 밟지 못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dynamics of the theater industry in the mid-to-late 1950s and its subsequent decline by reconstructing the Hangukyeonyejusikhoesa's founding principle and its Akgeuk(Musical Drama)-oriented performances. With dwindling demand for Akgeuk and growing competition within the performing arts sector, managers of Akgeuk troupes sought means of survival, i.e. focusing on larger productions and expanding into related entertainment industries. A handful of Akgeuk managers came together to establish the Hangukyeonyejusikhoesa in August of 1955. Hangukyeonyejusikhoesa grew into an entertainment and production company whose primary goal was to create and distribute performances and films to comfort and entertain the general masses. At the pinnacle of the company was Lim Hwasu, whose power, augmented by his close relations with the Rhee Syngman government, permeated the entertainment and film industries.
    Hangukyeonyejusikhoesa sought to lay the groundwork for expansion of Akgeuk by recruiting the creative staffs from existing troupes and integrating them into professional and systematic production scheme. 'Hangukyeonye' strived for an integrated corporate system where Akgeuk, Gukgeuk, plays and films can be both produced and distributed. With 'to make Akgeuk as Akgeuk should be' as its founding principle, the company created departments for writing, planning and promotion, performance, education and publication, as well as research center for music and dance and the stage art crew to allow for year-round performances, and promoted corporat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art form. The massive Gageuk troupe consisting of the creative team, the cast, the dancers, the band and the production team constantly put on large performances, garnering immense popularity. 'Hangukyeonye' became a reckoning force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through its Akgeuk-related endeavors, and after diverting its efforts toward film-making in 1957, earned a reputation as an esteemed film company as well.
    This paper will evaluate the circumstances of the theater industry in the 1950s, then examine the developmental path of Akgeuk workers and the general public to assess the decline of Akgeuk and transformation of the popular-cultural landscape. Jayu Gageukdan and Korea Gageukdan, coalitions of Akgeuk workers who sought for promotion of the art form, were short-lived and perished two years after their establishment. The Akgeuk scene met its denouement shortly after. Such decline can be attributed to external and macroscopic causes such as South Korea's small domestic market, theater practices that gave way to free loading audiences and absence of training initiatives. Post-war restoration of shooting and recording facilities lead to increased distribution of films, recordings and radio dramas, and the ensuing consumer shift may have contributed to the Akgeuk's demise as well. Proliferation of domestic films in the late 1950s further prompted the decline and fall of Akgeuk and other stage arts, as theaters nationwide refused to schedule performances to accomodate more screening time.
    South Korea's Akgeuk had rich potentials and diversity owing to its legacy dating back to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but lacked policies or legislation to consolidate it. There was no dual institutional support for Akgeuk unlike domestic films, whose dual policy protected and cultivated producers while treating the films as objects of sanction. South Korean Akgeuk, whose esteem was confined to the entertainment industry, saw its dramatic musical features and expressive techniques compromised and eventually reaching likeness to a variety show as it neared its end, and failed to take the steps necessary for proper genre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극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