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뉴 미디어 아트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 -포스트 해체주의의 다원적 시론으로서- (A Study on the Interface of Digital New Media Art)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12.08
10P 미리보기
디지털 뉴 미디어 아트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 -포스트 해체주의의 다원적 시론으로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 수록지 정보 : 조형미디어학 / 15권 / 3호 / 73 ~ 82페이지
    · 저자명 : 박상숙

    초록

    인터페이스(interface)는 두 가지 시스템 또는 장치(equipment)가 결합해 있는 경계(boundary)이며, 하드웨어적으로도 소프트웨어적으로도 사용되는 것으로 디지털 뉴 미디어의 확장성의 근간이라 할 수 있다. 현대미술은 포스트 해체주의를 지나며 다원적 특성과 불가공약적인 현상을 보이는데 그 중심에 디지털 뉴 미디어의 인터페이스가 자리한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미술의 해체와 변이의 중심에 디지털의 인식소가 있다고 보고 해체주의 예술론과 포스트 해체주의 테크놀로지인 디지털 뉴 미디어의 특성을 분석 연구하였다. 또한 다원적 확장의 원동력인 인터페이스에 주목하여 어떠한 시지각적 가능성과 현상을 보이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한 디지털 뉴미디어의 매체적 확장과 가능성을 예진해 보았다. 연구결과 현대미술의 다원적 추구는 양식의 분화를 가져왔고 전통적인 사고로는 해독되지 않는 불가공약의 특성을 가지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디지털 뉴 미디어는 확장과 분화를 가속하였는데 특히 디지털 기술과 예술매체의 인터페이스로 기존 예술의 관념들이 전복되고 포스트해체주의 시대의 새로운 문화현상을 확장 가속하는 중심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디지털 뉴 미디어의 인터페이스는 탈경계와 상호작용성과 융합하여 매체적 효용의 확장을 가져다주는 원동력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디지털 인터페이스는 화가들이 표현하던 빛의 느낌을 자체발광과 상호작용 그리고 동시편재 등의 현상을 가져와서 포스트해체주의적인 특징을 갖게 한다. 이로서 원본의 개념은 물론 작가와 관람자의 역할의 변경과 인식소의 변환을 요구하게 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를 통한 동시편재, 상호작용의 연동의 변주는 디지털 예술매체에 노마드의 속성을 갖게 하였다. 이제 디지털 뉴미디어의 매체예술로서의 가능성과 그 가치의 식별은 인터페이스하는 디지털 기술의 속성을 주목함에서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광범위한 영역을 다룸에 따르는 체계의 견고치 못함과, 인터페이스의 현상에 주목하여 그 기술적 특성을 간과하고 있는 부족함이 있다. 앞으로 이 두 부분을 충족하는 연구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The Interface can be the boundary integrating two types of systems or equipment and the foundation on expanded digital new media used in H/W or S/W. Contemporary Art shows the plural characteristics and non-pledging phenomenon with passing the post de-constructivism, and the interface of digital new media is in the center of the contemporary art.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digital's cognition source is in the center of contemporary art's de-construction and changes, and analyzed the art theory of de-constructivism and the characteristic of digital new media as the technology of post de-constructivism. Besides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face as the driving force of plural expansion and analyzed about which visual, cognitive possibilities and phenomena showed. Through such analysis, this study estimated the instrumental expansion of digital new media and further possibilities. From the research, it came to know that the contemporary art's plural pursue brought the style differentiation and had non-pledging characteristics. Such characteristics accelerated the digital new media's expansion and differentiation. Especially, the existing art concepts have been reversed by the interface between digital technology and art media. From this research, it came to know that such characteristics expand and accelerate new cultural phenomena in the post de-constructivism age, and the digital new media's interface integrates with the beyond-boundary and the interaction, which takes the role of driving force for expansion of medium utilization. Digital interface has the characteristics of post de-constructivism by bringing the feelings of light expressed by artists into the phenomena of self-glowing, interaction and ubiquity at the same time. By doing so, the original work's concept request to change the roles of artist and audience and to convert the cognition source. The variation of ubiquity at the same time, the interlock of interactions came to give the nomad's attribute to the digital art media. Now it can be said that the digital new media's possibility as the media art and the identification of its values are started from paying attention on the attributes of interfacing digital technology. However this study has limits that its system is not solid because it deals extensive fields, and dismiss the interface's technical characteristics because it focuses on the interface phenomenon. So it hopes future researches to fill these gap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형미디어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