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뉴잉글랜드 초상화에 재현된 청교도주의 (Representation of Puritanism in the 17th-Century New England Portrait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19.08
30P 미리보기
17세기 뉴잉글랜드 초상화에 재현된 청교도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양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 51호 / 83 ~ 112페이지
    · 저자명 : 이은주

    초록

    본 논문은 17세기 뉴잉글랜드에서 종교적․경제적․정치적 변화에 의해 청교도 정체성이 어떻게형성되고 재현되었는가를 초상화를 통해서 고찰하는 연구이다. 또한 국가의 이데올로기, 종교적․사회적 규범이 어떻게 구축되었고 어떻게 미국 사회의 지배규범이 되어 초상화에 재현되었는지를 논의한다. 미국에서 초상화는 식민지 시대부터 19세기 말까지 주요 미술 장르였다. 그 이유는 초상화가기록물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는 동시에 국가의 이데올로기를 재현하기 때문이다. 초상화는 독립혁명 전까지 식민지 미국의 미술을 차지했다. 17세기 식민지 초기에는 1세대 젠트리로 불리는 성직자, 정치 지도자, 의사와 같은 전문직 종사자들이 주로 초상화를 남겼는데, 그들은 지도자의 덕목, 청교도 교리, 지배규범 등을 초상화에 나타내고자 했다. 검정색, 흰색, 갈색 톤만을 사용한간결하고 무거운 초상화는 모델이 독실한 청교도임을 강조하며 ‘청교도의 암울(Puritan gloom)’로 불렸던 근검, 절약, 금욕을 보여주었다. 이후 상업귀족으로 불린 2세대 젠트리는 대부분 1세대 젠트리의자녀들과 새롭게 유입된 영국 젠트리 출신의 부유한 상인들로서, 무역으로 부를 축적하여 새로운 젠트리 계층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금욕적인 종교적 교리를 중시했던 1세대와는 달리, 2세대 젠트리는 열심히 일해서 얻은 물질적 번영은 곧 하나님의 축복이라고 생각했고 이를 초상화에 적극적으로 드러내고자했다. 1세대 젠트리의 초상화는 청교도의 엄숙함이라는 이미지를 강조하면서 지도자로서의 덕목을 보여주는 것이 목적이었던 반면, 2세대의 젠트리는 초상화를 통해 상업귀족의 부유함을 보여주기를 원했다. 1세대와 2세대 젠트리의 초상화에 나타난 변화는 각각의 세대가 중요시한 청교도적 덕목이 변화하였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how the Puritan identity was formed and represented by religious, economic, political changes in the seventeenth-century New England through portraits. It also discusses how the ideology, religious and social norms of state was constructed, and how they became the dominant norms of American society and represented in portraits. In the seventeenth century, ministers and political leaders, referred to as the first-generation gentry, mainly portrayed their likeness. They wanted to reflect the virtues of the leader, Puritan doctrine, and the rules of governance in their portraits. The simple, serious portraits with black, white and brown tones emphasized that the models were devout Puritans, and conveyed Puritan austerity. The mercantile aristocracy were the children of the first-generation gentry and the newly introduced wealthy merchants from the British gentry. They formed the second-generation gentry. Unlike the first-generation gentry, the second-generation gentry thought that their material prosperity proved God’s blessing and reflected it in their portraits positively. While first-generation gentry’s portraits emphasized Puritan’s solemnity and aimed to demonstrate virtue as a leader, the second-generation gentry’s wanted to convey the richness of the mercantile aristocracy. The changes in the portraits prove that Puritan virtues of each generation have been chang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