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東岳 李安訥의 哀悼詩 硏究 ―石洲 權韠의 죽음과 관련하여― (Study on Dongak Lee, Ahn-nul's Monody ―With regard to Seokju Kwon, Pil's Death―)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2.02
30P 미리보기
東岳 李安訥의 哀悼詩 硏究 ―石洲 權韠의 죽음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34권 / 34호 / 275 ~ 304페이지
    · 저자명 : 이재숙

    초록

    본고는 석주의 죽음을 소재로 한 동악 이안눌의 哀悼詩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어렸을 때부터 석주와 절친한 벗이었던 동악은 석주의 죽음과 관련하여 많은 시를 남겼는데, 조선 후기 필기류 인신돈복의 ≪左溪浮談≫ 중에 별도로 “哀權韠詩”라는 항목으로 따로 회자되기도 하였다.
    동악은 석주가 잡혀가 국문을 당한 소식을 접하고 석주의 부음(訃音)을 듣기까지의 과정을 서사적 기록을 통해 탄식하며 시로 형상화하였고, 석주가 세상을 떠난 후에도 오랜 동안 벗에 대한 잔상과 그리움을 토로하였다.
    석주의 죽음은 동악에게 오랫동안 영향을 끼치면서 동악 시세계 국면에 일정한 殘像을 남겼다. 궁극적으로 詩作에 대한 그의 의식세계에 변화를 가져오게 된 점, 詩語의 배치와 일상의 감정의 분출, 돌출되거나 자유로운 형식의 시 창작 등을 주목해볼 수 있다.
    동악의 석주 애도시에는 詩會를 열고 동지적 결속을 다졌던 과거에 대한 회고가 강하게 표출되었다. 동시에 당대 정치적 굴곡을 겪으며 죽음을 당한 동료들에 대한 비탄이 함축되어 있다. 한편, 두보를 추숭한 용재 이행의 시풍을 닮으려 한 동악 이안눌은 애도시 창작에 있어서도 증조의 것을 많은 부분 본받으려 한 것을 알 수 있다. 자신과 석주를 용재 이행-읍취헌 박은, 중국의 두보-이백에 관계에 비유하였다.
    석주의 죽음과 관련한 동악의 애도시에는 喪失感에서 오는 삶의 허망함과 좌절, 凋落의 意象들이 표출되었다. 그러나 경물을 통해 여과시켜 죽음을 통해 다시 상생하는 이치를 찾는 달관된 경지를 찾아보기 어렵다. 오히려 당대의 정치적 상황과 행태에 대해 역설적으로 풍자하는 “굴복하거나 체념하지 않으려는 의식”이 엿보인다.

    영어초록

    This writing considered Dongak Lee, Ahn-nul's monody about the death of Seokju, Kwon, Pil. Dongak, who had been a great friend with Seokju from childhood, left a lot of poems in relation with the death of Seokju, and his poems were once on everyone's lips separately as the heading of “Aejeonpilsi” out of the contents included in ≪Juahgyebudam≫―a kind of writing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epic narrative recording of the process ranging from the time when Dongak heard of the news that Seokju was taken to the national interrogation of a suspect under torture to the time of hearing of Seokju's death,Dongak embodied Seokju's misfortune in a poem sighing for a grief, and gave vent to his feelings about afterimage and yearning for his bosom buddy for a long time.
    Since then, Seokju's death left a certain afterimage to Dongak's world of poetry while impacting on Dongak for a long period of time. Ultimately, it's worthwhile to take note of bringing changes to his world of consciousness of writing poetry;the arrangement of poetic words and a gush of emotion in everyday life, and unexpected or freewheeling form of creative poetry, etc.
    Dongak's monody for Seokju strongly expressed his recollection of the by-gone days when he held a poetic meeting and firmed up a comradely solidarity with its members. In addition, the monody implied his grief over his colleagues who lost their lives while going through political ups and downs of the day. And this research result shows that Dongak, Lee, Ahn-nul, who tried to take a leaf out of the poetic style of Yongje, Lee, Haeng with great admiration for the poet Dubo, tried to follow his great grandfather's poetic style in many portions even in writing a monody.
    Dongak compared the poetic relationship between himself and Seokju to the relationship between Yongjae Lee, Haeng and Eupchiheon Park, Eu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ubo and Lee, Baek in China.
    In the monodies by Dongak, Dongak expressed the vanity and frustration of life arising from the sense of loss, and image of downfall in relation to the death of Seokju. However, it's hard to find the philosophical state in pursuit of the reason of win-win by filtering the life and death through the scenery of the season.
    Rather, there is a suggestion of “the consciousness of trying not to yield or resign to reality” paradoxically lampooning the political situation and behavior of the 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8 오후